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51 | 152 | 153 | 154 | 1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기차를 놓치다 애지시선 6
손세실리아 지음 / 애지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는 말 그대로 절의 말이다. 극도로 절제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언어 자체가 이미 대상에서 미끄러짐을 경험하였다면, 우리는 언어를 통해 미끄러짐의 미끄러짐을 경험하게 된다. 

결국 모든 텍스트 읽기는 오독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오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문학이 바로 시다.  

시에서 오독은 잘못 읽기가 아니라, 다르게 읽기이고, 기존의 읽기에서 자기만의 미끄러짐을 경험하는 행위다. 

즉 시 읽기는 언어라는 썰매를 타고, 시라는 미끄럼틀을 신나게 내려오는 재미있는 놀이이다. 

그렇다면 손세실리아의 이 시집에서 나는 어떤 즐거움을 느꼈는가. 

우선은 따뜻함이다. 이 시집에는 어렵지만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나온다. 비참하다는 생각보다는 따뜻하다는 생각, 참, 세상 이렇게 볼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시집의 제목인 '기차를 놓치다'는 시가 바로 그렇다. 없는, 노숙인이라 할 수 있는 사람들의 따뜻한 모습을 보다 기차를 놓치고 말았다는 내용의 이야기에서 왠지 추워야 하는데, 추위보다는 따뜻함이 더 느껴졌다고나 할까. 

다음은 비움에 대한 생각이다. 굳이 노자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비워야지만 채울 수 있다. 비움이 없으면 더 이상의 채움은 없다. '시를 버리다'에서 버리기 위해서 시를 쓴다는 말이나, '봉안터널'에서 길을 내기 위해 비워야 한다는 내용을 보면 결국 우리 삶은 어떻게 비우냐에 따라 더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음을 깨달았다고나 할까. 

여기에 덧붙여 '곰국 끓이던 날'과 '늙은 호박'을 보면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온 모습이 느껴지고ㅡ 우리 삶 역시 이렇듯 최선을 다해, 자신의 전존재를 삶에 걸고 온 길이었음을 생각하게 되었다. '얼음호수'란 시에서 '세상으로 부터 나를 완전히 봉해 본 적 있던가'고 외치고 있는데, 세상으로 부터 나를 완전히 봉한다는 말은 결국 나를 완전히 비울 수 있는 존재가 되어 본 적이 있는가라는 말로 바꿀 수도 있지 않을까. 호수가 얼음으로 자신을 완전히 봉한다는 것은 자신을 완전히 드러내기 위해서 하는 행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채우기 위해 비워야 한다. 이 비움을 통해 채움이 일어날 수 있음을, 더 아름다운 충만함은 비움에서 온다는 사실을 이 시집을 읽으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이웃에 대한 따뜻한 관심, 내 삶에 대한, 내 주변 사람들의 삶에 대한 관심, 그리고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생각해보게 하는, 그러나 결코 어렵지 않은, 언제고, 어느 장이나 펼쳐 눈에 들어오는 시를 읽어도 좋은 그런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실 밖으로 걸어 나온 시 - 김선우, 손택수가 들려주는 시와 시인 이야기 담쟁이 교실 17
김선우.손택수 지음 / 나라말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3 -문

호그와트 가는,
나니아로 가는,
이상한 나라로 가는,
신비한 세계로 가는,
이상한 경험을 하는,
토토로를 만나게 되는,
다른 세상으로 통하는
문. 
 

해리포터 시리즈, 나니아 연대기, 이상한 나라의 폴, 신비한 스쿨버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웃의 토토로를 만날 수 있는 기회. 이는 꼭 책이 아니어도 좋다. 단순히 영화여도 좋고, 그림이어도 좋다. 세상의 모든 것에서 책을 찾을 수 있고, 책을 찾아야 한다. 

 

책은 이렇게 신비한 세계로 우리를 데려다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책 중에서도 우리를 다른 세계로 데려다 주는 대상은 바로 시이다. 

시를 통해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의 경이를 만나게 된다. 

그래서 시를 아는 사람과 시를 모르는 사람은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삶을 바라보는 눈이 다를  수밖에 없다. 

우리가 시 하면 짜증나고 어려운 존재로 인식하게 된 데에는 학교 교육에서 시험을 통한 시교육에 책임이 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시는 애매한 것, 도저히 무슨 생각으로 썼는지 해석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그러나 시가 과연 그러한가? 

시가 모호한가? 

김상욱은 "시의 길을 여는 새벽별 하나"에서 시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이 이야기가 우리가 시를 대해는 태도를 잘 반영한다고 생각하는데... 

사과를 하나 갖다 놓고 분석을 하면 우리는 사과에 대해 많은 것을 놓치게 되는데, 그냥 과감하게 사과를 한 입 베어물면 맛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단 이야기. 

즉 사과는 먹어보아야 사과를 알 수 있듯이 시도 잘게 잘게 무슨 요소별로 쪼개지 말고, 시 자체를 그냥 맛보듯이 읽어보면, 낭송해보면 된다는 이야기.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교실 밖으로 걸어나온 시다. 김선우, 손택수 시인이 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책이다. 

이들은 시를 분석하려 하지 않는다. 시를 읽고 시에 대해 느낀 점을 솔직하게 풀어가고 있다. 그래서 교실에서 배운 시하고는 사뭇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이해가 되지 않지만 이상하게 마음에 울리는 시는, 그 마음의 울림을 즐기면 되고, 눈에 확 들어오는 시는 그렇게 즐기면 되고, 어느 순간 내 마음과 같은 상태의 시는 나에게 위로가 되고 친구가 된다는 사실. 

이 사실을 두 시인이 해주는 시 이야기를 통해 느낄 수 있다. 

그렇다.  

시는 교실 밖으로 나와야 한다.  

아니 교과서 밖으로 나와야 한다. 

교과서 밖으로 나와, 우리가 언제나 손에 잡고 싶어하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시는 나와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바로 내 자신이어야 한다. 

내 주변에 얼마나 많은 시들이 있는가. 

이 시들이 어느 날 나에게 다가오면 나는 시와 하나가 되고, 내 삶은 더욱 더 풍요로와진다. 

 

이 책의 시 한 구절. 

천양희 시인의 최고봉이란 시 중에서(252쪽) 

울면서 짐을 싼 적이  있다 그에게 산이란 가야 할 곳이므로/울면서 떠나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무서워 울면서도/가야 할 길이 있는 것이다 

 

우리에게 시는 울면서 가야 할 길이 아니라, 웃으며 가야 할 길이다.
  

 

시를 읽자. 

우리 맘을 풍요롭게 하자. 

그런 면에서 이 시는 시를 즐길 수 있는 입문서 역할을 한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은 오늘 불면이다
강은교 외 지음, 한국작가회의 저항의글쓰기실천위원회 엮음 / 아카이브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에 자신을 비치지 말고 사람에 자신을 비추라. 경어인(鏡於人)이라는 말로 대변되는 이 말은 물은 자신의 겉모습만 비치지만, 사람은 자신의 삶의 모습까지 비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람에게 자신을 비추어본다면, 내 주변에 있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말인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 놈이 그 놈인 세상에서, 끼리끼리, 유유상종의 세상에서 경어인이라는 말은 자신을 합리화하는데 이용될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물에 자신을 비추어볼 수 있어야 하는데, 자신의 겉모습이라도 제대로 파악해야 하는데, 과연 지금 비출 물이 있는가? 

그나마 있는 물도 '살리기'란 명목의 '죽이기'로 다 죽이고 있지 않은가. 

물에 비친 내 모습이 탁하게 보인다는 김용택 시인의 한탄이 남의 이야기로 들리지 않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문학인들을 이 책에서 최성각은 잠수함의 토끼, 광산의 카나리아라고 하고 있다. 그만큼 문인들은 생명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하다는 말이리라. 즉 문인들을 생명의 파수꾼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강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고, 마치 자신의 일인양 괴로워하는 문인들이 그냥 지나칠 수 없다고 글들을 모아 낸 책이 이 책이다. 강에 대한, 물에 대한 산문을 모아놓은 책이다 

읽으면서 그래, 그래 맞장구를 치다가도, 이제는 강에 대한, 물에 대한 기억도 사진 속에서나, 아니면 이러한 글 속에서나 찾아볼 수밖에 없겠구나 하는 생각에 안타까움만 늘어나고 있었다. 

차창룡의 글에 '강은 지구의 창자다. 아니, 우리의 창자다....음식이 입에서 항문까지 가는데 오래 걸린다고 창자의 길을 넓힌다며 어떻게 될까?'하는 구절을 읽고, 4대강 사업에 대한 본질을 이렇게 명확하게 집어낼 수 있는 작가들이 있다는 사실에 아직은 희망이 있다고, 강은 완전히 죽지 않을 거라는 위안을 느끼기도 하지만. 

초식동물의 창자를 육식동물의 창자로 만들기 위해 구불구불한 창자를 팍 잘라내어 일직선으로 펴내면 과연 그 동물이 살 수 있을까? 지구를 동물에 비유하면 육식동물이라기보다는 초식동물에 해당할텐데, 강은 그 동물의 창자일텐데...어떻게 창자를 인위적으로 넓히고, 펼 생각을 하는지... 

우리 관절의 굽는 부분에 이렇게 굽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깁스를 해버리는 상황이 지금, 4대강 사업 아니던가. 아니면 우리의 창자가 너무 구불구불하고 길다고 펴고 잘라내야 한다고 하는 상황을 4대강 살리기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과연 우리의 장이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강(江). 

말 그대로 강은 우리의 생명줄이다. 

이 생명줄을 우리 맘대로 어떻게 조작할 권리가 우리에겐 없다. 

이런 권리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증언자로 나서 증언기록을 남기고 있다. 

자, 자신의 삶을 물에라도 비추어볼 수 있게 하자. 

제발, 사람들, 끼리끼리인 사람들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 왜 비판하는지, 그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을 비추어보자. 그 다음 물에, 강에 자신을 비추어 보라. 그러면 과연 4대강 사업이 살리기인지, 죽이기인지 그 때는 확연히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지구, 현재의 우리들 것이 아니다. 당연한 얘기 아니던가. 과거에 살았던 생명체들, 단지 생명체라 이름하지 못하는 존재들과 현재 살고 있는 생명체들, 그를 존재하게 하는 존재들과 그리고 미래에 존재할 모든 존재들의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면 당연히, 강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뮤지컬을 꿈꾸다 나의 문화 교과서 2
정재왈 지음 / 미래엔아이세움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듯이 사실, 무얼 좀 알고 있어야 더 재미가 있다. 

야구장에 가도, 야구 규칙을 하나도 모르는 사람과 야구 규칙뿐만이 아니라 감독, 선수 등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은 경기를 관람하는데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뮤지컬이라는 자주 접하기 힘든 예술 장르는 더더욱 그렇다. 

뮤지컬이 많이 대중화되었고, 오페라에 비하면 대중예술이라고 하지만, 공연할 수 있는 극장이 필요하다는 점에 있어서는 아직도 많은 대중들이 관람하기에는 힘든 예술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도 대학로에는 많은 공연장이 있어서 그 근처에 사는 사람이라면 쉽게 관람하겠지만, 그 지역이 아닌 사람들은 한 해에 한 번 정도도 관람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와 비슷하게 미국도 브로드웨이라는 장소를 빼놓고, 사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영화처럼 접하기는 어려운 장르가 뮤지컬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사람들은 뮤지컬에 대해서 잘 알지 못 한다. 

아니, 알려고 하지도 않고, 이 장르가 학교에서 다루어진 지도 얼마되지 않아, 많은 사람들에게 그다지 친숙한 예술 장르도 아니다. 

이 책은 이런 면에서 초보자들에게 상당히 유익하다.  

우선 쉽다. 뮤지컬의 역사, 종류, 그리고 특성까지 쉽게 청소년들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고 있다. 

뮤지컬이 저 먼나라 얘기가 아니라 바로 내 곁에 있는 예술이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전문적인 내용을 빼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뮤지컬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기에 읽기에도 힘이 들지 않고, 다 읽은 다음에는 뮤지컬이 이런 것이구나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을 읽으면 뮤지컬에 대한 흥미가 생긴다. 어 나도 한 번 관람해봐야겠네란 생각이 들게 만든다. 특히 부록으로 있는 뮤지컬 음악은 그 음악만으로도 훌륭하다. 이를 직접 공연 현장에서 듣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확실히 아는 만큼 보인다.  

그리고 많이 알면 알수록 변화를 이끌 수 있다. 

뮤지컬에 대해 많이 알고 많은 관심을 가진다면 뮤지컬 공연을 할 수 있는 장소도 더 많이 확대되고, 더 쉽게 뮤지컬을 접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어 선생님의 시 배달 국어 선생님의 시 배달 1
김영찬 외 엮음 / 창비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내가 학교 다닐 때는 책받침을 많이 쓰던 때였는데, 그 때 책받침을 꾸민 것은 주로 시였다. 

서시, 별헤는 밤, 진달래꽃, 못잊어, 엄마야누나야, 조그만 사랑노래, 님의 침묵, 광야 등등 교과서에서 배우기보다는 책받침이나 공책의 표지에서 이 시들을 보곤 했다. 

거기서 본 시는 교과서를 배울 때와는 너무도 달랐다. 비유, 상징, 종류, 운율, 주제 등을 익히지 않아도 되고, 오직 내 마음에 드는 시만을 골라 그냥 들고 다니거나 외우면 되었으니까. 

이렇게 우리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시를 접하게 되었다. 이런 만남이 중학교 때 입시가 끝나고 남는 시간에 우린 시를 외우며 지내기도 하였지. 

이 때를 생각하면 시는 억지로 다가가는 것이 아닌, 자연스레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도 나는 시는 내 맘을 열어놓는 것, 나와 남을 하나로, 나와 자연을, 세계를 하나로 만들어 주는 것, 마음에 울림을 주어 온몸을 떨리게 만드는 것, 지성이 작동하기 전에 감정이 먼저 작동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긴 시는 읽어가면서 마음보다는 이성의 힘에 의지하기에 짧은 시를 좋아한다. 간혹 긴 시를 좋아할 때가 있는데, 이 때는 어느 한 구절이 맘에 들어서이다. 시 전체보다는 그 구절 때문에 시에서 눈을 떼지 못할 때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의 말처럼 내가 시에게 다가간다는 표현보다는, 시가 내게로 다가온다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어느 순간까지 나도 시에게 다가가겠지만, 시도 내게 다가오고, 우연히 시와 내가 만나는 지점에서 큰 울림이 생기지 않을까 한다. 

이 책은 우리에게 시를 배달해주고 있다. 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즉 시가 우리를 향해 오고 있는 것이다.  

선생님들이 학생들에게 배달한 시도 있고, 이런 시를 배달받은 학생들이 자신이 보내고 싶은 사람에게 배달한 시도 있고, 시인과 대화를 한 내용도 있다. 시를 접하는 행위가 결코 어려운 행위가 아님을 잘 알려주고 있는 책이다.  

이 책에 나온 선생님들처럼 우리도 어느 시를 마중할지만 결정하면 된다. 내 맘에 드는 시, 그 시를 마중해서 내 맘에 담아두고, 또 시 시를 내가 좋아하는 누군가에게 다시 배달하면 된다. 이런 일이 활발해질 때 우리 사회는 좀더 따뜻해지지 않을까. 

인터넷에서도 문학나눔이라고 시와 문장을 배달하는 사이트가 있다. 매주 한 편의 시와 좋은 문장을 배달하는 사이트. 모든 시와 문장을 배달받고 내 것으로 삼을 필요는 없다. 내 맘에 드는 시, 내 맘을 울리는 시, 누군가에게 선물하고 싶은 시를 배달받고, 배달하면 된다.  

그럴 때 시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각자의 마음에 받아들인 사례로 이 책은 추천할 만하다. 자기에게 다가온 시를 이야기하고 있으니까. 

이제 우리도 우리들의 시를 배달해 보자. 얼마나 좋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51 | 152 | 153 | 154 | 1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