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 오늘 불면이다
강은교 외 지음, 한국작가회의 저항의글쓰기실천위원회 엮음 / 아카이브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에 자신을 비치지 말고 사람에 자신을 비추라. 경어인(鏡於人)이라는 말로 대변되는 이 말은 물은 자신의 겉모습만 비치지만, 사람은 자신의 삶의 모습까지 비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람에게 자신을 비추어본다면, 내 주변에 있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말인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 놈이 그 놈인 세상에서, 끼리끼리, 유유상종의 세상에서 경어인이라는 말은 자신을 합리화하는데 이용될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물에 자신을 비추어볼 수 있어야 하는데, 자신의 겉모습이라도 제대로 파악해야 하는데, 과연 지금 비출 물이 있는가? 

그나마 있는 물도 '살리기'란 명목의 '죽이기'로 다 죽이고 있지 않은가. 

물에 비친 내 모습이 탁하게 보인다는 김용택 시인의 한탄이 남의 이야기로 들리지 않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문학인들을 이 책에서 최성각은 잠수함의 토끼, 광산의 카나리아라고 하고 있다. 그만큼 문인들은 생명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하다는 말이리라. 즉 문인들을 생명의 파수꾼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강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고, 마치 자신의 일인양 괴로워하는 문인들이 그냥 지나칠 수 없다고 글들을 모아 낸 책이 이 책이다. 강에 대한, 물에 대한 산문을 모아놓은 책이다 

읽으면서 그래, 그래 맞장구를 치다가도, 이제는 강에 대한, 물에 대한 기억도 사진 속에서나, 아니면 이러한 글 속에서나 찾아볼 수밖에 없겠구나 하는 생각에 안타까움만 늘어나고 있었다. 

차창룡의 글에 '강은 지구의 창자다. 아니, 우리의 창자다....음식이 입에서 항문까지 가는데 오래 걸린다고 창자의 길을 넓힌다며 어떻게 될까?'하는 구절을 읽고, 4대강 사업에 대한 본질을 이렇게 명확하게 집어낼 수 있는 작가들이 있다는 사실에 아직은 희망이 있다고, 강은 완전히 죽지 않을 거라는 위안을 느끼기도 하지만. 

초식동물의 창자를 육식동물의 창자로 만들기 위해 구불구불한 창자를 팍 잘라내어 일직선으로 펴내면 과연 그 동물이 살 수 있을까? 지구를 동물에 비유하면 육식동물이라기보다는 초식동물에 해당할텐데, 강은 그 동물의 창자일텐데...어떻게 창자를 인위적으로 넓히고, 펼 생각을 하는지... 

우리 관절의 굽는 부분에 이렇게 굽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깁스를 해버리는 상황이 지금, 4대강 사업 아니던가. 아니면 우리의 창자가 너무 구불구불하고 길다고 펴고 잘라내야 한다고 하는 상황을 4대강 살리기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과연 우리의 장이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강(江). 

말 그대로 강은 우리의 생명줄이다. 

이 생명줄을 우리 맘대로 어떻게 조작할 권리가 우리에겐 없다. 

이런 권리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증언자로 나서 증언기록을 남기고 있다. 

자, 자신의 삶을 물에라도 비추어볼 수 있게 하자. 

제발, 사람들, 끼리끼리인 사람들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 왜 비판하는지, 그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을 비추어보자. 그 다음 물에, 강에 자신을 비추어 보라. 그러면 과연 4대강 사업이 살리기인지, 죽이기인지 그 때는 확연히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지구, 현재의 우리들 것이 아니다. 당연한 얘기 아니던가. 과거에 살았던 생명체들, 단지 생명체라 이름하지 못하는 존재들과 현재 살고 있는 생명체들, 그를 존재하게 하는 존재들과 그리고 미래에 존재할 모든 존재들의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면 당연히, 강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