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밖으로 걸어 나온 시 - 김선우, 손택수가 들려주는 시와 시인 이야기 담쟁이 교실 17
김선우.손택수 지음 / 나라말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3 -문

호그와트 가는,
나니아로 가는,
이상한 나라로 가는,
신비한 세계로 가는,
이상한 경험을 하는,
토토로를 만나게 되는,
다른 세상으로 통하는
문. 
 

해리포터 시리즈, 나니아 연대기, 이상한 나라의 폴, 신비한 스쿨버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웃의 토토로를 만날 수 있는 기회. 이는 꼭 책이 아니어도 좋다. 단순히 영화여도 좋고, 그림이어도 좋다. 세상의 모든 것에서 책을 찾을 수 있고, 책을 찾아야 한다. 

 

책은 이렇게 신비한 세계로 우리를 데려다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책 중에서도 우리를 다른 세계로 데려다 주는 대상은 바로 시이다. 

시를 통해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의 경이를 만나게 된다. 

그래서 시를 아는 사람과 시를 모르는 사람은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삶을 바라보는 눈이 다를  수밖에 없다. 

우리가 시 하면 짜증나고 어려운 존재로 인식하게 된 데에는 학교 교육에서 시험을 통한 시교육에 책임이 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시는 애매한 것, 도저히 무슨 생각으로 썼는지 해석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그러나 시가 과연 그러한가? 

시가 모호한가? 

김상욱은 "시의 길을 여는 새벽별 하나"에서 시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이 이야기가 우리가 시를 대해는 태도를 잘 반영한다고 생각하는데... 

사과를 하나 갖다 놓고 분석을 하면 우리는 사과에 대해 많은 것을 놓치게 되는데, 그냥 과감하게 사과를 한 입 베어물면 맛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단 이야기. 

즉 사과는 먹어보아야 사과를 알 수 있듯이 시도 잘게 잘게 무슨 요소별로 쪼개지 말고, 시 자체를 그냥 맛보듯이 읽어보면, 낭송해보면 된다는 이야기.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교실 밖으로 걸어나온 시다. 김선우, 손택수 시인이 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책이다. 

이들은 시를 분석하려 하지 않는다. 시를 읽고 시에 대해 느낀 점을 솔직하게 풀어가고 있다. 그래서 교실에서 배운 시하고는 사뭇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이해가 되지 않지만 이상하게 마음에 울리는 시는, 그 마음의 울림을 즐기면 되고, 눈에 확 들어오는 시는 그렇게 즐기면 되고, 어느 순간 내 마음과 같은 상태의 시는 나에게 위로가 되고 친구가 된다는 사실. 

이 사실을 두 시인이 해주는 시 이야기를 통해 느낄 수 있다. 

그렇다.  

시는 교실 밖으로 나와야 한다.  

아니 교과서 밖으로 나와야 한다. 

교과서 밖으로 나와, 우리가 언제나 손에 잡고 싶어하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시는 나와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바로 내 자신이어야 한다. 

내 주변에 얼마나 많은 시들이 있는가. 

이 시들이 어느 날 나에게 다가오면 나는 시와 하나가 되고, 내 삶은 더욱 더 풍요로와진다. 

 

이 책의 시 한 구절. 

천양희 시인의 최고봉이란 시 중에서(252쪽) 

울면서 짐을 싼 적이  있다 그에게 산이란 가야 할 곳이므로/울면서 떠나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무서워 울면서도/가야 할 길이 있는 것이다 

 

우리에게 시는 울면서 가야 할 길이 아니라, 웃으며 가야 할 길이다.
  

 

시를 읽자. 

우리 맘을 풍요롭게 하자. 

그런 면에서 이 시는 시를 즐길 수 있는 입문서 역할을 한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