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한도' 하면 김정희 그림이 떠오른다. 그 그림에는 사람이 나오지 않는다. 허름한 집과 눈 덮인 나무가 나올 뿐.

 

  사람은 나오지 않는데, 그림 속에 사람이 있다. 절절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어려운 시대를 견뎌내는 사람들.

 

  '세한도'는 그림 자체보다는 그림과 함께 있는 글이 더 그림의 가치를 높여주는지도 모른다.

 

  어려운 지경에 처한 사람을 대부분은 모른 체하는데, 그때서야 진정 자신을 위해주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는.

 

  어려울 때 곁에 있어주는 사람, 그래서 더 빛을 발하는 사람. 그런 사람이 '세한도'에는 있다. 그래서 '세한도'는 절망의 그림이 아니라 희망의 그림이다. 희망이다. 사람에게서 느끼는 희망.

 

세한(歲寒) : 설 전후의 추위라는 뜻으로, 매우 심한 한겨울의 추위를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렇게 뜻풀이가 되어 있다. 매우 심한 한겨울의 추위다. 세한은, 세한도는 그런 추위를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에서 희망을 느끼는 것은 그림이 아니라 바로 글이다. 글을 통해서 한겨울 심한 추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진가를 알게 하는 사람을 만나기 때문이다.

 

이랬으면 좋겠다. 삶에 어찌 굴곡이 없겠는가.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는 법.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이 있는 법. 이게 바로 삶, 아니겠는가.

 

그런데, 이런 삶의 법칙(?)이 깨어져버린 사건이 일어났다. 바로 IMF사태. 이때 우리나라 사람들, 거꾸러졌다. 넘어졌는데, 일어날 수가 없었다.  나라는 아무 것도 해주지 않았다. 사람들이 쓰러졌는데, 일으킬 생각을 하지 않았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서로 살 길을 찾기 시작했다. 살아야했기에.

 

그럼에도 따스한 희망의 끈이 사라지지는 않았다. 김정희의 세한도에서 사람은 없지만 사람을 찾을 수 있듯이, 이 IMF라는 거대한 추위 속에서도 사람들은 온기를 나눠주기 시작했다. 시를 보자. 

 

  歲寒圖

     1998년 6월 2일. 비

 

비오는 날

우산을 어깨에 걸치고 더러는 우산도 없이

굽은 등허리에 고스란히 비를 맞으며

일렬횡대로 쪼그려 앉아

밥을 먹는다

용산역 앞 광장

담벼락을 앞에 하고 주기도문을 마친 다음

다같이 슬픔으로 따뜻한 국물을 떠서

무료 제공의 한끼 식사로

하루를 사는 사람들

집을 나온 우리나라의 아버지들

빗속에 나란히 앉아서

추운 겨울 하늘 오선지에 앉은 참새들처럼

우산을 어깨에 걸치고 더러는 우산도 없이

오전 열한 시에 땅바닥에서

밥을 먹는 사람들.

 

강인한, 황홀한 물살, 창작과비평사, 1999년 초판. 54쪽.

 

얼마나 추운 모습인가. 때는 6월. 더운 여름으로 건너가는 때이지만, 사람들의 생활은 한겨울이다. 그래서 세한도다. 이 추위에 그래도 온기가 느껴지는데... 다시 20년이 되었다. 이때보다 나아졌는가.

 

이때는 아버지들이 이렇게 길바닥으로 쫓겨나 땅바닥에서 밥을 먹었다. 지금은 그 아들들이 길바닥으로 쫓겨날 위기에 처해 있다. 청년실업이 심각하단다. 아예 직장을 처음부터 얻지 못한 청년들도 많단다.

 

이들은 자신의 노동력을 팔아 생계를 유지할 기회조차 갖기 못했다. 그렇게 한참 여름으로 접어들어야 할 청년들의 삶이 한겨울에 머물고 있다. 여전히 '세한'이다. 20년 전에 아버지들이 '세한도'의 인물이었다면, 이제는 그 아들들이 인물이 되고 있다.

 

그래도 '세한도'다. 이런 세한이 반복되고 있어서 슬프지만, 엄연한 한겨울 추위지만, 분명 희망이 있다. 그 희망은 바로 사람이다. 우리는 여전히 사람에게서 희망을 느낀다.

 

'사람이 먼저다'라고 말하는 정치인... 이젠 그 희망을 믿고 함께 가야 한다. 그래야 한겨울을 날 수 있다. 이렇게 '세한도'에는 희망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