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밖 국어 공부 - 세상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국어로 인문적 사고하기
오은주 지음 / 팜파스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말 할 줄 알고, 우리글 쓸 줄 아는데 국어 왜 배워야 해요? 이런 질문들을 자주 한다. 국어교과가 만만하게 여겨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입시에서 국어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학생들이라면 당연히 말하고 쓸 줄 아는데도 국어라는 과목의 비중이 큰 이유가 있을 것인데, 그 이유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설명을 하거나 납득을 시키는 경우는 별로 없다.

 

국어라는 과목을 배우는 학교에서는 정해진 교과서에,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내용을 수업하고, 그것을 토대로 평가를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른 활동을 할 시간적 여유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국어를 왜 공부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고 그냥 배우게 한다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국어 교육을 할 수가 없다.

 

왜 배워야 하는지, 우리의 삶에서 국어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이해한다면 국어에 대해서 배우고자 하는 욕구가 더 강해질 것이고, 배움의 효과도 훨씬 클 것이다.

 

이 책은 그 점에서 시작한다. 교과서 밖 국어공부. 국어지식을 하나하나 알려주지 않는다. 오로지 국어가 우리 삶에서 얼마나 유용한가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주고 있다.

 

국어의 영역을 네 가지로 나누어 각 영역이 실생활에 필수적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읽기 / 듣기 / 쓰기 / 말하기

 

이렇게 국어의 영역을 크게 나누어 이것들이 얼마나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국어공부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안 된다. 국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책이니까.

 

우리는 단순히 읽고/듣고/쓰고/말하는 것 같지만, 이것들은 여러 번의 반복과 학습을 통하여 우리 몸에 배어 있는 것이다. 그냥 읽고/듣고/쓰고/말하는 것이 아니라 읽고/듣고/쓰고/말하기 위해서는 배움이 필요하다.

 

그 배움을 채워주는 교과목이 바로 국어다. 그러므로 국어를 제대로 배웠다는 것은 자신의 생활에서 잘 읽고/듣고/쓰고/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잘 읽고/듣고/쓰고/말한다는 것은 다른 말로 하면 다른 사람과 소통이 잘 된다는 뜻이다. 소통이 잘 되는 사람, 관계맺기를 잘하는 사람이고, 이런 사람들이 모인 사회는 서로가 서로를 배려하는 좋은 사회가 된다.

 

결국 국어는 입시만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공부가 되는 것이다.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옛사람의 말인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우선 자기의 이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국어 공부를 통해 자연스레 습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국어란 입시뿐만이 아니라 우리 삶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공부, 너무도 중요한 공부라는 것을 이 책이 보여주고 있다.

 

다만, 이 책은 중학생이 되기 전에, 또는 중학생 때 읽어야 하는데... 저자가 우려하는 것과 같이 너무도 바쁜 우리 아이들, 스마트폰 속에 얼굴을 묻고 사는 우리 아이들이, 이 책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이나 마음을 지닐 수 있을까 우려된다.

 

그래도 국어교사들이 아이들에게 왜 국어 공부를 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데 참고자료로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면 학생들이 국어를 왜 배워야 하는지, 한 번이라도 더 생각해 보지 않겠는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11-18 07: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문자의 문맹율은 낮아도 문장의 문맹률은 높으니 국어를 배워야죠.

kinye91 2016-11-18 10:05   좋아요 1 | URL
맞습니다. 단지 한글이라는 문자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자들이 문장을 이루었을 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소통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어떤 말들을 써야 하는지, 잘 읽고/쓰고/듣고/말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 바로 국어라는 과목이라고 생각해요. 참 중요한 과목이지요. 요즘 세상 돌아가는 모습을 보고 국어교육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