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희의 영감 - 포토그래퍼 조선희 사진 에세이
조선희 지음 / 민음인 / 2013년 12월
평점 :
솔직히 사진은 어렵다.
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사진전이 아닌 책으로 보아서는 도대체 이 사진이 왜 그렇게 좋은지 잘 모를 때가 많다.
특히 내가 찍은 사진과 작가라고 하는 사람의 사진에서 차이를 발견해야 하는데, 그 차이를 제대로 발견해내지 못할 때, 사진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내 눈을 한심스러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처음부터 전문가는 없다. 자꾸 보아야 한다. 자꾸 보아야 차이가 눈에 들어오고, 좋은 사진과 그렇지 않은 사진을 구별할 수 있는 눈이 생긴다.
좋은 사진과 그렇지 않은 사진이라는 구별이 뭣하다면 내 마음을 파고드는 사진이 무슨 이유로 파고드는지를 알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이 구절이 마음에 쏙 들어왔따.
"사진은 멈춘 걸 찍는 것이 아니다. 다만 멈춘 것처럼 찍히는 것이 사진이다." (194쪽)
나는사진은 순간을 영원으로 잡아둔다고 생각했었다. 자꾸만 사라지는 것들을 기억 속의 형상 그대로 존재하게 하는 것, 그것이 사진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다. 사진은 멈춤이 아니라 멈춤처럼 보인다는 말...
그래서 사진은 관계 속에서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내고, 느낌을 전달해 준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결국 사진 역시 교감이다. 사진을 통해서 작가와 나와 사진 찍히는 대상이 서로 교감을 한다. 이런 교감을 풍요롭게 이끌어내는 사진이 바로 좋은 사진이 아닐까 한다.
최민식의 사진집에서 보이는 "인간" 시리즈들... 그런 인간들을 통해 "나"를 볼 수 있듯이 사진은 사진을 통하여 나를 보게 만들어준다. 그래야 한다.
이 책 제목이 바로 "영감"인 이유도 그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조선희가 사진을 찍으면서 영감을 받았듯이 우리 역이 이 사진에세이집을 보면서 어떤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거라는 것.
적어도 이 책은 빠르게 넘어갈 필요가 없다. 천천히 사진을 음미하며, 그 사진과 관련된 글을 읽으며 내 삶과 교감하면 된다.
이런 교감을 통하여 직접 카메라도 사진을 찍지는 않더라도 자신의 삶을 남길 수 있는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음 속에 자신만의 사진을 간직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최민식의 사진이 흑백을 주조로 이루어졌다면 조선희의 사진은 화려하다. 화사한 색감들이 잘 드러나고 있다. 물론 이 색감이 전부는 아니지만.
그림과 사진, 그리고 건축... 알게모르게 서로 통한다는 생각이 들고, 아직은 문외한이지만, 계속 보다보면 어느 순간 눈이 떠지게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읽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