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를 잊은 그대에게 -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
정재찬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시를 잊은 그대에게"
그렇담, 시를 잊은 그대가 읽어야 할 책일까? 작은 제목엔 이렇게 되어 있다.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저자가 교양과목으로 시 강의를 했다는 얘긴데... 그것도 시하고는 가장 거리가 멀듯한 공대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했을 거고(아마도 공대생만이 아니라, 그 강의 수강생 중에 공대생도 있었단 얘기겠지), 공대생들이 시를 이해하고, 시를 느끼고, 시를 가까이 하게 만들었다는 광고 문구가 있으니...
공대생도 이 강의를 듣고시를 느끼고 가까이 하기 시작했다면, 한 때 시를 좋아했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시하고 멀어진 사람, 또 시는 자신하고 전혀 상관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사람도, 이 책을 읽으면 시하고 가까와질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시가 사람들하고 멀어진 이유를 굳이 찾자면...
나는 우선 시인들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교과서에 나오는 시는 그래도 읽으면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책에서 인용한 시들 역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적어도 읽으면 내용 파악은 된다는 얘기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시에서 함축하고 있는 의미라든지, 그것을 자신의 삶으로 확장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로 하더라도 말이다.
그런데 요즘 시들은 읽어도 뭔 내용인지 알 수가 없다. 도무지, 배경지식을 총동원해서 이게 뭔 말이야 하고 만다. 우선 시의 내용이 들어오지 않으니, 그것을 자신의 삶으로 확장한다는 것은, 또 마음으로 느낀다는 것은 남 얘기가 되어 버린다. 시에서 점점 멀어진다. 마치, 시인들이 자신만의 자위 행위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다음엔 학자-비평가들도 책임이 있다는 생각을 한다. 이들은 시를 독자에게 가까이 하게 만드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오히려 이들의 해설이나 비평이 독자들을 시에서 멀어지게 한다. 시보다 해설이 더 어렵다.
왜 그렇게 어려운 전문용어를 써야 하며, 우리나라 시에 굳이 외국 비평가, 학자들의 이론을 동원해야 하는지. 정말로 시를 이해하고 비평, 설명하고 있는지... 오히려 비평가나 학자의 글을 읽어서 더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시는 점점 더 멀어지기만 한다.
마지막으로는 늘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하는 학교에 책임이 있다. 솔직히 학교에서 배우는 시들은 좋은 시들이다. 검증된 시다. 그런데 이 시들이 마음에 들어오기 전에 머리에서 갈갈이 찢겨 분해된다.
시험 때문이다. 시를 마음에서 음미하고, 그것을 자신의 삶으로 확장하기 전에 시는 해부실에 들어가 부분부분으로 해체된 그 무엇처럼 전체적인 의미를 잃고 부분으로만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해체된 시들은 학생들로부터 외면당한다.
그리고 학창시절 외면받았던 시는 다시 그 사람에게 돌아올 수 없게 된다. 그만큼 시를 멀어지게 하는데 학교가 큰역할을 하기도 한다. (학교는 그래서 동네북이다. 어느 문제에 대해서도 책임을 면할 수가 없다. 학교가 좋은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문제가 불거졌을 때는 사방에서 얻어맞기 딱 좋다.)
자, 그렇다면 여기서 고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시인이야, 시인이 시에 다가가는 것이 아니라, 시가 시인에게 다가왔을 때 그를 언어로 형상화한다고 치면, 시인은 빼고, 그렇다면 학자-비평가와 학교가 시를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의 저자는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시하고 거리가 멀 듯한 공대생들에게 시를 가까이 할 수 있게 해주었으니 말이다.
시에 대한 책이라고 어려운 용어들과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말들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 이 책은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이야깃거리들이 나온다. 그래서 시에 대한 책이라기보다는 많은 이야기를 듣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런 이야기 속에서 시가 툭 튀어나온다. 상황에 딱 맞게. 이렇게 잘 어울리리는 시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이야기 상황속에 시가 존재한다.
아, 시는 이런 거구나. 이렇게 시가 다가오는구나. 시는 결코 어렵지 않구나. 오히려 마음에 더 쏙 들어오는구나 하는 감정을 느낄 수가 있게 해준다.
학자-비평가로서의 역할을 너무도 잘해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가 대학에서 강의를 해서 중고등학교처럼 객관식 문제를 내지 않고, 시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평가하게 되어, 학생들도 시를 음미하고 곱씹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시를 멀어지게 한 학교의 책임에서도 벗어나고 있다.
게다가 저자가 미래의 국어교사들을 양성하는 일을 하고 있으니, 이런 저자에게 배운 미래의 교사들은 학교에 가면 기존의 해부학 시교육을 하지는 않을테니, 중고등학교 시교육이 변할 수 있는 씨앗을 심고 있으니... 더 괜찮다고 본다.
읽는 재미, 시를 느끼는 재미, 시를 이렇게 받아들일 수 있구나 하는 깨달음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책이다. 좋다.
시가 가슴으로 들어온다.
시를 잊는 그대에게, 또 시를 잃은 그대에게, 이 책은 시를 찾아주고 있다.
덧글
다 좋은데... 옥의 티가 하나 있다면, 아무리 눈씻고 봐도 오타인데... 차례에 2. 별이 빛나던 밤에 장에 김광석 <저녁에>라고 되어 있다. 김광석이 아니라, 김광섭인데... 오타, 수정 바람.
226쪽, 유치환의 <깃발>이란 시를 인용하면서 '아아 누구던/'이라고 나오는데... '아아 누구던가'이다. '가'자가 빠졌다. 이것도 오타임에 분명, 수정이 필요하다.
다음 좀 아쉬운 점이 두 가지 있었는데... 하나는 그림이 가끔 나오는데... 그게 흑백이다. 그림은 칼라로 보여줘야 그림이 왜 이 시와 연관이 있는지를 더 잘 느낄 수 있을텐데.
둘째는 시의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적어도 그 시가 시인의 어느 시집에 실려 있는지를 밝혀주었으면 그 시집을 찾아 다른 시들도 읽지 않을까 하는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