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화 아래 잠들다 ㅣ 창비시선 229
김선우 지음 / 창비 / 2003년 10월
평점 :
'몸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시집을 펼치고 몇몇 시를 읽기 시작하자마자 든 생각.
'몸시'라는 시를 어디서 본 적이 있는데 하면서 검색을 해보니, '몸시' 연작을 정진규가 썼다. 아예 몸시1, 몸시2...이런 식으로.
우리는 우리 몸과 늘 함께 살면서도 우리 몸에 대해서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몸은 우리와 상관없는 대상으로만 존재하다가 아프기 시작하는 순간, 몸이 나구나 하는 절실함으로 다가온다.
그러니 몸은 우리와 가장 가깝지만 가장 먼 존재이기도 하고, 우리 시의 원천이기도 하지만 너무도 뻔한 내용이 되기도 한다.
김선우의 이 시집에 나온 시들은 직접적으로 '몸시'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읽으면 머리 속에서 '몸'이 자꾸 떠오른다. 몸이 생각난다.
원초적 생명으로서의 몸이 이 시집에서 퍼득이고 있다.
봐라, 이것이 바로 우리 몸이다. 몸이 생명이다. 몸이 활력이다. 이런 살아있는 몸 내음새가 시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아니, 어느 시를 읽어도 몸냄새가 난다. 때론 싱그런, 때론 비릿한 그러한 몸냄새가 시에서 뿜어져 나온다. 그리고 그런 몸에서는 온갖 소리들이 난다. 살아있는 생명의 소리, 살아가고자 하는 소리.
그 소리들이 우리를 살아있게 한다. 몸으로 인해 우리는 살아있다. 살아있는 몸이 풍기는 냄새들, 소리들. 그 생명의 살아있음이 이 시집에서 살아 움직인다.
그런데 그 많은 생명들, 살아 있음을 제치고, 예전에 본 시가 바로 이 시집에 있었다니, 바로 이것이 생명이거니 하는 시가 있다.
단단한 고요
마른 잎사귀에 도토리알 얼굴 부비는 소리 후두둑 뛰어내려 저마다 병드는 소리 멍석 위에 나란히 잠든 반들거리는 몸 위로 살짝살짝 늦가을 햇볕 발 디디는 소리 먼길 날아온 늙은 잠자리 채머리 떠는 소리 맷돌 속에서 껍질 타지며 가슴 동당거리는 소리 사그락사그락 고운 뼛가루 저희끼리 소근대며 어루만져주는 소리 보드랍고 찰진 것들 물 속에 가라앉으며 안녕 안녕 가벼운 것들에게 이별인사 하는 소리 아궁이 불 위에서 가슴이 확 열리며 저희끼리 다시 엉기는 소리 식어가며 단단해지며 서로 핥아주는 소리
도마 위에 다갈빛 도토리묵 한모
모든 소리들이 흘러 들어간 뒤에 비로소 생겨난 저 고요
저토록 시끄러운, 저토록 단단한,
김선우, 도화 아래 잠들다, 창비. 2014년 초판 10쇄. 10쪽.
보라. 온갖 살아 있는 것들이, 그 소리들이 하나로 뭉쳐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는 그런 모습. 도토리묵에서 세상의 생명들이 살아있는 소리를 느낄 수 있는 시인.
그런 시. 이것이 몸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