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정기 구독을 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책 가운데 하나.

 

두 달에 한 번 나오지만, 그 동안에 내가 살아온 방식을 반성하게 만드는 책이기도 하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까 고민하게 하기도 하는 책이기도 하고.

 

근본주의자라는 말을 듣기도 하지만, 세상에서 근본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없다면 세상은 더 좋아질 가능성이 없다는 생각도 든다.

 

근본을 추구하되, 다름을 인정하고, 근본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고, 자신의 삶으로 보여주는 일.

 

그것이 지식인의 역할이고, 지금 녹색평론과 같은 책이 해야 할 역할이다.

 

이번 호는 " 대안학고, 희망의 교육을 위하여"이다.

 

녹색평론이 생태주의를 표방하고 있는데, 이 생태주의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교육을 간과할 수가 없다. 교육은 생태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도 있는데, 그럼에도 어떤 교육이냐가 중요한데, 이런 교육에 대해서 우리는 제도권 교육이나 학원 교육으로 대표되는 사교육에 대해서는 이야기도 많이 하고, 고민도 많이 하지만, 대안교육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많이 하지 않는다.

 

대안교육. 말 그대로 이것이 아닌 저것을 추구하는 교육. 이곳이 아닌 우리가 원하는 세상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교육이 대안교육이라고 해야 할텐데, 지금 수많은 대안학교들 중 대안교육을 실질적으로 행하고 있는 학교는 그리 많지 않다는 생각이다.

 

이번 호에서 대담에 참여한 분들도 우려하고 있는 것이 대안이라는 이름으로 전혀 대안적이지 않은 기관까지 묶여 있으며, 정부에서는 대안교육을 인가라는 무기로 간섭하고 통제하려 한다는 점이다.

 

대안교육은 그냥 놓아두어야 한다. 마음껏 할 수 있도록, 대신 대안교육이니 너희들 맘대로 할 것이니 우린 모른다 하는 자세가 아니라, 너희들이 꿈꾸는 교육을 해라, 그런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우리가 뒷받침해주겠다 하는 자세를 지녔으면 하는데...

 

꿈꾸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된다면 지금처럼 대안교육이 들불처럼 일어나지도 않았겠지.

 

그럼에도 대안교육은 필요하다. 왜냐하면 대안교육이 제도권 교육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좌담에서도 나오지만 혁신학교가 만들어지고 나름 성과를 거두게 된 데에는 대안학교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육은 죽었다. 학교는 죽었다는 말이 아직도 사라지지 않는 지금 이 시대, 대안 교육은 여전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제도권 교육과 대안 교육이 함께 가야 한다.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다. 제도권 교육과 대안 교육이 함께 가는 사회, 이런 사회는 생태적 사회가 될 수 있다.

 

생태적 사회라는 이야기는 다양성이 존중받는 사회, 다양성을 이루는 사회일테니 말이다.

 

이런 대안 교육에 대한 글과 더불어 배병삼의 글이 마음에 와 닿았다. 한자어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아니 유교 경전을 읽어내는 과정에서 우리에게 늘 다가왔던 말, 인(仁). 이 말을 이야기하면서, 배병삼은 날것 그대로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대체 지식인으로서 감정을 숨기기에는 지금 우리 사회가 너무 저열하다. 그들에게 고급스런 단어(이런 말이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그걸 사교적인 언어라고 하지)를 쓸 수가 없는 상태라는 사실을 이 글을 읽으면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단장의 슬픔을 애써 외면하려는 그런 집단에게 인(仁)이란 눈을 씻고 찾아보아도 찾을 수 없는 그런 족속들이니, 어찌 고운 말이 나올 수 있겠는가.

 

이런 애타는 마음이 날것 그대로 글에 드러나 있는데, 이것이 바로 공부한 사람들이 지닌 마음의 자세 아닐까.

 

공부란 나를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남을 위해서 하는 것일텐데, 이기적이기 위해서는 이타적이어야 하듯이, 공부는 남과 나를 잇는 다리가 되어야 할텐데, 오로지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서 공부를 하는 집단. 오로지 제 말만 하는 집단. 그런 집단들에게 이번 호 배병삼의 글을 그대로 들려주고 싶다.

 

"불인하도다, 이 땅이여. 잔인하도다, 이 땅 사람들이여. 아! 슬프다." (71쪽)

 

이 땅, 이 땅 사람들. 누구를 말하는지 꼭 짚지 않아도 알만한 사람은 다 알 터.

 

두 달에 한 번 여전히 내 생각보다 앞서 간 책을 읽는 재미는 단지 재미로 그치지 않는다. 나를 되돌아 보게 한다. 내 삶을 성찰하게 한다. 내가 어떤 삶길을 걸어가야 하는지 보여준다.

 

그래. 이것이다. 이것이 바로 책의 역할이다. 책은 시간을 때우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책은 단지 시간을 때우게 해서는 안된다.

 

한 사람의 영혼에 자리잡아 그 사람의 삶을 이끌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14-11-09 2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녹평 독자를 만나면 언제나 반가워요!!
그나마 녹평이 있어 이 사회가 이 정도라도 유지하고 있는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