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특집이다.

 

너무도 슬픈.

너무도 참담한.

그러나 우리가 잊어서는 안되는.

 

노아의 방주는 세상 생물의 종말로부터 생명체들을 구해냈다고 하는데, 세월이라는 이름을 가진 배는 청춘들을 비롯한 많은 생명들을 바닷속에 가두어 버렸다.

 

이 배가 그런 것이 아니라, 이 배를 둘러싼 사회가, 사람들이 그랬지만... 너무도 어이없고, 너무도 덧없는 그런 일이 일어나고 말았다.

 

문제는 일이 일어난 다음에 벌어졌다. 제대로 해결이 되지 않아 지금까지도 미해결의 상태로 남아 있으며, 문제가 발생했는데 아무도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고 있으며, 책임져야 할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책임질 자리에 있는지조차 알지 못하고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있으며, 그 불똥이 온전히 행복한 오늘을 살아가야 할 아이들에게 떨어지고 말았다.

 

수학여행 전면 유보, 더불어 수련회 유보.

 

학교라는 공간을 벗어나 자기들만의 공간과 시간을 갖고자 열망했던 전국의 많은 학생들이 어쩔 수 없이 학교라는 공간과 가정이라는 공간을 벗어날 기회를 놓쳐 버리게 되었으니...

 

이는 그들의 놀이 시간을 뺏은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했다고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성장은 집과 학교와 같은 자신에게 익숙한 공간을 벗어나 다른 경험을 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그러니 사고로 인해서 전국적으로 학생들이 가져야 할 성장의 기회를 교육을 주관하는 교육부에서 박탈한 것이 과연 온당한 것이었는지, 이번 호를 읽으면서 생각하게 되었고...

 

무엇보다도 이번 호를 읽으며 생각한 것은 우리가 한 교육이 과연 무엇이었나 하는 것.

 

도대체 17-18세가 된 아이들이 자신들의 생명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음에도 남의 말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던가 하는 문제.

 

쥐는 배가 좌초할 것 같으면 먼저 탈출을 한다고 하는데, 그래서 선원들은 쥐가 탈출하는 것을 보고 배의 위험을 알아낼 수 있다고 하는데, 동물들이야 본능적인 직감으로 그렇게 한다고 해도, 사람 역시 동물적인 생존 본능이 있을텐데...

 

쥐를 열등한 동물로 취급하는 우리들이, 정작 목숨이 위험한 상황에서 쥐만도 못하게 행동하다니...

 

어쩌면 우리는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이러한 생존본능을 아주 철저하게 죽였던 것은 아닌지...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이들은 학교를 통해서 순응하는 법만 배웠지, 자신이 처한 상황을 판단하는 법에 대해서는 배울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모두가 순응이지 결코 비판적인 사고는 아니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듣는 소리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라.

 

똑바로 앉아. 조용히 해. 왜 말대꾸야. 가만히 있어. 제대로 줄 맞춰. 자세 바르게. 나서지 마라 등등.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처럼 우리는 남과 다름을 인식하고 다름을 강화하는 교육을 할 생각을 하지 않고 오로지 같아야 된다는 신념으로 모두가 같아지는 교육을 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생각까지도 같아지는 교육.

 

그래서 남과 다른 생각, 남과 다른 행동을 하면 눈총을 받고 비판을 받고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는 그런 생활들, 그런 교육들.

 

그 교육의 효과가 바로 이런 사태 아닐런지. 말을 잘 듣는 학생들이 속절없이 자신들의 목숨을 잃을 수밖에 없었던 이런 현실을 낳았던 것은 아닌지...

 

그렇다면 우리들은 이 세월호를 기억하는 일은 이런 교육 현장을 바꿔가는 일에서 시작해야 하지 않을지.

 

남을 보지 말고 우런 나를 보는 연습부터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바로 '세월호 사건'을 잊지 않는 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으니.

 

이번 호에 있는 메르코글리아노의 글 중에 '전자미디어와 이별하기'라는 제목을 단 글이 있는데(78-79쪽) 이 글을 읽으며 세월호와도 연결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계에서 최고속 인터넷망이 가장 발달해 있으며, 국민들의 사용량도 세계 최고이고, 스마트폰 사용도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우리나라에서 그런 스마트폰을 대부분의 학생들이 지니고 있었음에도 자신들의 생명이 위험에 처했을 때 그것이 제 구실을 전혀 하지 못했음을, 그 기계가 신고는 했을지언정 그 다음 생명의 구조로는 이어지지 못했음을 우리는 너무도 잘 알고 있지 않은가.

 

어쩌면 아이들은 이 스마트폰을 믿고 승무원들의 방송을 믿으며, 또 교사들의 지시를 따르며 마냥 기다리고만 있지 않았을까. 직접 현실을 볼 생각을 하지 않고 오로지 스마트폰 화면으로 자신들의 현실을 보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은 나만일까?

 

이런 가정은 위험하고 불필요하지만, 그래도 만약, 만약 스마트폰이 없었다면 그 혈기왕성한 나이의 아이들이 배 안에서 가만히 기다리고만 있었을까... 누군가는 참지 못하고 배 위로 올라가 보지 않았을까. 누군가 올라가 보라고 밖으로 보내 보지 않았을까?

 

스마트폰이 없는 그 시간을 아이들은 절대로 가만히 있지 않았을 것이라는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하여 우리는, 아니 나는 '세월호'을 잊지 않겠다. 아니 잊어서는 안된다. 잊을 수가 없다. 그 잊지 않는 방법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늘 생각하겠다.

 

아이들이 지금처럼 자라지 않게, 이렇게 무능하고 어리석은 어른들로 자라나지 않게... 그렇게 하도록 노력하겠다. 그것이 내가 '새월호'을 잊지 않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민들레 93호.

과연 우리는 '세월호'에서 무엇을 기억해야 하는지, 무엇을 잊지 말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