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통합수업 -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읽는 맘에드림 혁신학교 이야기 7
김정안 외 지음 / 맘에드림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혁신학교에 대해서 말들이 많다.

 

어느 단체에서는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으며, 어떤 단체에서는 교육을 망치는 주범으로 인식하고 절대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교육감에 따라서도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 차이가 대단하다.

 

경기도에서는 이미 혁신학교가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학교들도 혁신학교의 사례를 받아들여 학교를 혁신시키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소리가 들리는데, 반대로 서울은 아직 혁신학교의 성공 사례가 그다지 널리 퍼져 있지 못하다.

 

그러던 참에 서울형 혁신학교들의 실천 사례를 담은 책이 나왔다.

 

경기도는 소위 말하는 시골학교가 아직 존재한다면, 서울은 대도시이고, 또한 거대학교들이 많은 도시형 학교들만이 있다고 보아야 하기 때문에, 서울에 맞는 교육혁신을 실천해야 한다. 그리고 이 책은 서울에서 학교 혁신으로 무엇을 우선으로 시작해야 하나 하는데서, 공통적으로 주제 통합 수업을 한 사례들을 싣고 있다.

 

학교가 교과별로 독립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가 많고, 특히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는 자기 교과목만 잘 가르치면 된다는 생각을 많이 지니고 있고, 그래서 교과들 간에 서로 교류가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수업 혁신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이 주제별로 통합하여 수업을 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한 경우이다.

 

이 때는 교과 교사들끼리 서로 같은 주제를 가지고 특정한 기간에 함께 고민해서 교과에 맞는 수업을 하는 방향으로 나가는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사례가 실려 있어서 아, 이렇게 수업을 했구나, 또는 이렇게 수업을 할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특히 주제 통합 수업은 학생들 자신의 삶과 교과를 연결하는 수업으로써 시험을 위한 수업이 아니라는데 의미가 있다.

 

주로 택한 주제들은 평화, 환경 등에 관한 것이다. 이것들이 바로 지금 우리가 중요하게 여기는 주제들이고, 심각한 주제들이기도 하다.

 

초등학교는 초등학교 나름대로(세 학교), 중학교는 중학교 나름대로(두 학교), 고등학교는 고등학교의 수준(두 학교)에 맞게 실시한 주제 통합 수업. 읽어볼 만하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이제 시작한 지 3년이 되어간다. 교육이 백년을 내다보고 하는 행위라면 서울형 혁신학교에 대해서는 아직 무어라고 말하기가 어려운 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학교를 두고 공방을 벌이는 이유는 교육 외적인 요소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혁신학교가 이미 잘되고 있는 교육청이 있다는 얘기는, 혁신학교가 대안학교와는 달리 또 국제학교나 자사고와 같은 학교와는 달리 공교육을 살릴 수 있는 학교라는 얘기다.

 

교사들이 스스로 서로 협력하여 수업 고민을 하고, 수업 진행을 하고, 학생을 온전한 인격체로 대하려고 노력하며, 학부모들과도 교육에 관한 고민을 공유하려고 하는 모습, 적어도 이 책에 나와 있는 서울형 혁신학교들은 그런 것들을 실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 책에 나와 있지 않은 학교들도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있으리라 생각하는데...

 

막 자리를 잡아가려는 혁신학교를 흔들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비리가 많은 다른 학교들을 제대로 운영되게 하고, 혁신학교가 아닌 학교들도 혁신학교처럼 운영되게 하는 것이 교육관계자들의 의무이지 않을까 한다.

 

공교육이 무너지고 있다는 소리가 많이 들리는 지금, 이렇듯 수업 혁신이든, 생활 혁신이든, 교육을 바꾸어가려고 하는 학교들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희망이 있다는 것 아니겠는가.

 

그러한 희망을 꺾어버려서는 안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이 책이 완전하지는 않아도 이렇게 서울형 혁신학교의 사례를 묶은 이유도 거기에 있지 않나 한다.

 

교육은 백년을 내다보아도 시원찮을 중요한 일이다. 그런데 달랑 3년, 4년을 가지고 성공이니, 실패니 하는 것, 이것 자체가 이미 교육 논리에서 벗어난 일이다.

 

자꾸 성공의 기준을 들이댄다면 혁신학교 또한 자신의 방향대로 나아가는데 지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 공교육의 희망으로 떠오른 혁신학교.

 

지원은 하되, 그냥 지켜보는 그런 교육관료들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