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서로 가는 네 가지 길 ㅣ 어슐러 K. 르 귄 걸작선 2
어슐러 K. 르 귄 지음, 최용준 옮김 / 시공사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용서'라는 말. 참 쉬운 말이라고 생각하지만, 너무도 어려운 말이다. '용서'란 말을 쉽게 써서는 안 된다. 이 말은 피해를 당한 약자들이 자신들의 약함을 극복했을 때, 자신들이 지녔던 두려움을 이겨냈을 때 비로소 할 수 있는 행동이고, 그럴 때에 쓸 수 있는 말이다.
그럼에도 너무도 쉽게 '용서'란 말을 쓰라고 강요한다. '용서'가 무슨 선행이나 베풂인 것처럼 '용서해라, 그래야 네 맘도 편하지.'라는 말을 한다. 특히 자신과 상관없다고 여길 때 더 자주, 더 편하게 이 말을 쓴다.
하지만 '용서'는 함부로 할 수 있지도, 또 함부로 해서도 안 되는 일이다. '용서'에는 진정한 반성이 앞서야만 한다. 반성, 참회, 행동의 수정, 일명 개과천선을 한 이후에 상대에게 온전히 자신을 맡겼을 때야 비로소 쓸 수 있는 말이다.
그것도 '용서는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 베푸는 것'이다. 결국 용서란 말에는 기존까지 지녀왔던 관계를 뒤집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관계의 전복, 강자와 약자의 역전. 이런 새로운 관계 속에서 '용서'란 말이 쓰이고, 그런 행동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것이 바로 '용서'다.
따라서 '용서'란 말에는 새로운 관계가 포함되어 있다. 새로운 행동, 새로운 질서, 새로운 마음 등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면 '용서'란 말을 쓰는 행위는 미사여구에 불구하다.
르귄이 쓴 소설을 읽는 중인데, 늘 감탄하는 것이 바로 이렇게 다른 방향에서, 또는 기존에 놓치고 있던 부분을 더 깊게 생각하게 한다는 점이다.
'용서로 가는 네 가지 길'이라는 제목에서 어떤 용서가 나올까 궁금했는데, 용서라기 보다는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편이 더 좋겠다. 바로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간다는 것 자체가 기존의 질서를 용서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것이다.
혁명과 해방 이후에 이루어진 배신... 혁명은 하기보다는 혁명 이후에 혁명이 추구했던 것들을 이뤄나가는 것이 더 힘들다. 예이오웨이에서 혁명이 일어나고 그들은 식민지에서 벗어났지만, '괴물과 싸우는 자는 괴물이 되지 않으려 노력해야 한다'는 니체의 말처럼 예이오웨이에서도 해방 이후 다시 권력을 쥔 자와 그렇지 못한 존재들로 나뉘게 되는 현실.
여기에 권력을 쥐기 위해서 상대를 이용하거나 지위를 남용하는 일들이 일어나고, 여성들은 다시 노예의 처지로 전락하는 모습들... 첫번째로 실린 '배신'은 이런 혁명 다음에 일어난 일들을 다루고 있다. 세속의 삶에서 벗어나 죽음을 맞이하려는 요스와 권력자에서 배신자로 떨어진 압바캄.
이 둘이 서로 어울리게 되는 과정, 이것이 바로 용서의 한 길일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찾아가면 '용서'는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서의 달'이라는 소설에서는 에큐멘 특사인 솔리와 그를 경호하는 테예이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웨렐에 자유와 평등을 관철시키려는 솔리라는 특사. 그를 경호하는 일을 맡은 테예이오. 여전히 여성을 하등존재로 취급하는 웨렐에서 솔리는 그런 행동이 부당함을 이야기하지만... 암살 사건에 연루되고..
소설은 솔리와 테예이오가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식민지 전쟁에 참여했던 테예이오가 변해가는 모습. 그가 정신적으로 성장해 가는 과정. 그래서 솔리와 결합하는 과정은 지배계층에서도 자유와 평등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이 생겨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용서'란 일방적인 것이 아니다. 기존 지배층의 반성과 그것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선행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늘 있음을, 외부의 지원만으로는 그것이 불가능함을. 그래서 솔리와 테예이오는 다른 곳으로 떠나게 되는 것이고.
'사람들의 남자'로 가면 이런 외부인이 예이오웨이에 정착하면서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과정이 그려지고 있다. 내부에서 개혁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하는 사람. 합찌바... 그가 그동안 겪는 과정들을 통해 르귄이 어떤 세상을 상상하고 있는지를 알아가게 된다.
이 합찌바는 네 번째 소설 '한 여자의 해방'에 다시 나온다. 라캄... 노예로 태어나 지내다가 자유민이 된 사람. 그럼에도 웨렐에서는 여전히 남성들의 지배가 공고하니, 노래로 듣던 예이오웨이로 가기로 하고 그곳에 가는 라캄.
그러나 말로만 듣던, 책으로만 알던 해방된 예이오웨이에서도 권력관계가 있음을 알게 되고, 그곳에서 여성들의 해방을 위해 일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합찌바와 만나게 되고. 결국 그들은 비밀투표를 통해 자유와 평등이 명문화된 헌법을 만들어내게 된다.
그렇게 된 다음에야 비로소 '용서'가 시작될 수 있음을... 이 소설들을 통해 관계의 역전 없이는 '용서'가 있을 수 없음을 생각하게 된다. 혁명 이후 다시 존재하게 되는 과거의 권력관계... 사람들이 바뀔 뿐 제도는 바뀌지 않는다면 그 속에서 '용서'는 있을 수 없다.
우리가 원하는 혁명은 제도를 그대로 두고 사람들을 바꾸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바뀌는 만큼 제도 역시 바뀌어야 한다. 식민지에서 벗어났다고 다시 새로운 권력관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권력관계 자체를 없애려는 활동들을 해야 하는 것.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가장 약했던 존재들의 바람을 실현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
[용서로 가는 네 가지 길] 읽으면서 끝에 가면 갈수록 책을 덮고 싶지 않아 일부러 천천히 읽은 그런 책. 혁명보다는 혁명 이후가 더 중요함을, 혁명 이후에 진정으로 '용서'란 말을 쓸 수 있으려면 철저한 전복, 그리고 과거의 것을 반복하지 않는 자유와 평등이 중요함을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