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넬슨 만델라의 말로 시작한다.
"한 사회가 아이들을 다루는 방식보다 더 그 사회의 영혼을 정확하게 드러내 보여주는 것은 없다."
그렇다. 언론을 떠들썩하게 했던 아동학대가 왜 문제가 되는지를 이 말만큼 잘 보여주는 것은 없다. 아동학대로 죽어갔던 아이들이 우리 사회에서 어떤 대접을 받았는지를 생각하면 우리 사회의 영혼이 어떤지 알 수 있다.
이 책은 이런 아동학대에 대해서 쓴 책이다. 제목이 이상한 정상가족이라고 해서 가족의 형태에 대해서 쓴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읽어보면 아동 인권을 주제로 삼았는데, 아동 인권이 가장 심하게 침해당하는 장소가 바로 가족이라는 데서 출발한다.
흔히 가족하면 사랑과 행복이 넘치는 곳, 아이들이 힘들 때 기댈 수 있는 곳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이 책을 읽어보면 아동 학대의 출발점이 바로 가족이다. 그러니 이상한 정상가족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보통 아동 학대하면 정상가족이 아닌 곳에서 일어난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 사실 정상가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문제가 있는 것이다. 도대체 정상가족이 아닌 가족이 어디 있단 말인가?
정상가족이다 아니다는 가족의 형태로 이야기할 것이 아니다. 정상가족과 비정상가족을 나누는 기준은 가족이 서로를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느냐의 여부로 따져야 할 것이다. 그러니 '가족 동반자살'이라는 말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아이 목숨을 부모가 끊어버리는 일, 그것은 동반자살이 아니라 살해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자녀 살해 후 부모 자살'이란 표현이 적절하다는 것에 동의한다. 아이를 자신의 소유물로만 생각하는 부모가 있는 가정은 정상가족일 수가 없다.
그래서 이 책은 체벌로부터 시작한다. 우리 사회는 부모의 체벌에 대해서는 참으로 관대하다. 부모가 아이를 때리는 일은 그럴 수도 있지, 우리도 그렇게 자랐어 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넘어간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제기하듯이 체벌과 학대의 기준은 무엇인가?
그 기준을 나눌 수 없다. 스웨덴에서 린드그렌이 한 연설에서 아이가 회초리 대신 돌을 가지고 왔다는 엄마의 말, 그 엄마는 어떤 형태의 체벌도 교육적이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그것을 잊지 않기 위해 돌을 주방에 두고 늘 살폈다는 것.
법적으로 부모의 체벌을 완전히 금지한 스웨덴, 그리고 그 뒤를 이어 체벌 금지를 택한 많은 나라들, 우리도 형식상으로는 체벌금지지만, 여전히 체벌은 일어나고 있다. 아직도 아동 인권에서는 많이 못 미치는 나라인 것이다.
아동인권에 중요한 요소가 바로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 다름을 인정하지 않음이 비정상가족이라는 이상한 말을 만들어낸 것인지도 모른다.
미혼모, 입양아, 다문화가정, 한부모 가정 등을 비정상가족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것이다. 이런 가정을 삐딱한 눈으로 보게 되면 그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에게 사회가 집단적으로 차별을 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것과 같다는 것.
그런 태도를 버려야 한다는 것. 그래서 우리 사회도 아이들의 인권이 보장받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것. 아이가 제대로 대우받아야 우리 사회가 좋은 사회가 된다는 것이다.
체벌은 학교에서는 거의 사라졌다고 할 수 있는데 - 완전히는 아니다. 여전히 학교에서 체벌은 일어나고 있고, 학교가 아닌 사교육 현장에서는 체벌은 공공연히 일어나고 있다. 소위 돈 내면서 맞으려 다니는 아이들이 수없이 많은 것이 우리나라 현실이다 - 아동학대에 왜 화장이나 염색 규제 또는 교복은 들어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자신이 표현할 수 있는 권리를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규제하는 것, 이것 자체가 이미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누구나 똑같아야 한다는 폭력 아닌가, 그런 폭력이 교칙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고, 교육이라는 가면을 쓰고 행해지니, 이것 역시 아동 학대라는 생각이 든다.
체벌이 법적으로 교육현장에서 금지되었지만, 상벌점이라는 이름으로 화장 등 각종 규제가 아이들을 옥죄고 있는데, 이것으로 인해 아이들이 두려움을 지니고 학교에 다니고 있는데... 아이들의 개성을 인정하지 않는 학교 교칙이 결국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그것이 곧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일을 내면화하게 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한다.
그래서 나는 이 책에서 하고 싶은 말이 결국 폴란드 교육학자인 코르차크의 말로 대변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세상에는 많은 끔찍한 일들이 있지만 그중에 가장 끔찍한 것은 아이가 자신의 아빠, 엄마, 선생님을 두려워하는 일" (217쪽)
그래서는 안 된다. 이 점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