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만리 3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3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먼저 중국의 역사와 더불어 현재와 미래까지 세세하게 그려내주신

전대광씨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더불어, 리엔링과 사랑의 결실을 맺게되실 송재형씨에게 축하 인사 드립니다........ 이건 아니잖아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건 좀 아니다 싶습니다.

다양한 인생의 이야기로 1권 부터 등장했던 인물들이

3권으로 갈 수록 다 사라져 버리고 오직 전대광씨가 자신의 후임에게 중국의 역사와 미래를

조망하며 끝낼수 있나 허무하고 화가나기도 했습니다.

 

<정글만리> 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은 "얼라이""꽌시""G2""G1""돈을 좋아하는 중국인들"화류계여성들" 툭하면 튀어나오는 화류계여성들에 대한 잡담. 잡담.잡담.

왜 중국은 성적인 문화가 개방적인가. 특히 여성들에 문란함을 꼬집어 내는데

왜 굳이 여성의 시각으로만 보시는지, 젓가락도 두짝이 있어야 집어먹는데 말입니다.

돈을 좋아하는 중국인들이 싫다는 것인지, 자연스런 순리란 것인지,

얼라이를 들이는 중국의 문화가 싫다는 것인지, 부럽다는 것인지

1권 부터 3권까지 징글징글 하게 반복되는 이야기들에 지치기도 했습니다.

 

요즘 세상에 이슈되는 성형붐이라던지, 한국 드라마 열풍뿐만아니라

동북공정, 다오위다오, 독도, 중국 사회의 문화, 중국의 역사속에 일본과 한국의 역사 그리고 인생이라는  다방면에 걸쳐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내시기까지 참 많은 자료 수집만큼 긴 시간속에 나온 작품임은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너무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 하고자 하셨기에

이야기가 너무 분산되고, 한곳으로 모아지지 못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물론 소설로써 참 값진 문구를 발견했을때

늦은 밤임에도 일어나 노트에 필기하며, 이런 맛이 소설을 읽는 맛이구나 싶은 생각도 했더랬습니다

 

"고달프지 않은 인생이 어디있고, 외롭지 않은 인생이 어디있더냐

 자기 인생은 자기 혼자서 갈뿐이다.

 남이 가르쳐 주는건 그 사람이 겪은 과거 일뿐,

 네가 할일은 혼자서 겪어 나아가야하는 너의 미래다 "P271

 

"높이 나는 새가 멀리보고, 일찍일어나는 새가 먹이를 찾으며, 파도를 두려워하지

 않고 노젓는 자만이 대륙을 얻는다"P354

 

 

여튼. 이책을 계기로 그동안 미루고 있던 유흥준 교수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시리즈를 꺼내들어야 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