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고전 독서법 진경문고
정민 지음 / 보림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문학자이신 정민 선생님의 책들이 집에 제법 있는데 이번 『고전독서법』을 보는 순간 아동용 책인줄 알면서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무엇보다 '고전 독서법'이라는 책 제목이 고전에 관심이 있는 내게 흥미롭게 다가왔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책을 읽어보니 이건 제가생각했던 ' 고전을 읽을 수 있는 독서법' 이 아니고 ' 고전으로 알아보는 독서법'인 셈이여서 제 생각이 보기 좋게 빗나가버렸음을 알게되었다. 그럼에도 이 책을 추천하고 싶은 이유는 이 책에 담겨진 글들과 자료들이 너무 값지고, 깊이 생각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아들 벼리에게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주는 이야기속에는  책이 형성되어진 과정에서 부터 모든 만물이 책이며, 스승임을 잊지 말라는 당부로 끝을 맺기까지의 이야기 들이 참으로 알기 쉽고도 재미나게 담겼다지요.

 죽간으로 묶겨진 책들이 어떻게 종이책으로 발전하게 되었는지, 서양사람과 동양사람의 책읽는 방향에서 부터 책을 읽는 여인들의 그림들을 통해 책의 역사를 알려주기도 하고,  귀하디 귀한 시절에 책을 어떻게 관리하며, 책을 사랑하는 마음이 어떤것인지. 다독과 정독의 차이, 다양한 책들을 읽기 위해 어떤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는지 에 관해 알 차게 담겨져 있습니다

 

1번 훑어 읽기만 반복하는 제게 김득신이나, 이덕무, 박제가, 박지원 , 정조 같은 분들은 감히 표현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책에 대한 사랑이 지독하다못해 간서치(책에 미친 바보)라고 까지 표현한다고 하니 어찌 반성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

필요한 책을 구할 수 없는 사람들은 책을 베껴써 간직하기도 하였고, 빌린 책에서 틀린 부분이 있으면 틀린 부분을 고쳐서돌려주기도 하였으며, 묶은 끈이 낡아 떨어지면 다시 묶어주기도 하는 것은 이시절 책은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 뿐만아니라 서로 정을 확인하고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소통 공간이였지요.

 

또한  여백마다 자신의 생각을 적어놓고 그 부분들을 엮어 다시 한권으 책으로 만들어지는 과정들은 현재 제 모습을 반성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였습니다. 언젠가 김제동씨가 책을 한권 읽으면 그 책을 다른 이에게 빌려주고 함께 읽은 책에 그사람의 느낌을 간략히 적는다는것을 본적이 있는데요  ( 아마,,, 책에서 읽었나? 기사로 읽었나? 아하~~ 기억력하곤!!) 한 권의 책을 돌려 읽어가며 서로의 느낌을 확인하고 더붙이는 과정들은 온라인 매체의 독서 모임에서는 느낄수 없는 책으로 부터 진하고 깊은 맛이 느껴질 수 있을것만 같아 해보고 싶은 생각도 든다지요

 

<다산 선생의 지식경영법>< 미쳐야 미친다><책 읽는 소리><다산어록청산><오직 독서뿐> 등등 현재 가지고 있는 정민 선생님의 책들은 <고전 독서법>을 포함하여 겹치는 부분이 참 많습니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구입하여 읽게 되는것은, 읽을 적마다 따끔거리며 제 모습을 되돌아 반성하게 되고 배우고자 노력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유독 고전으로 독서법을  배워야하는 까닭은  옛 글을 읽는 선비들이 책을 대하며 삶을 배우는 자세들은 1초만에 여러매체를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는 세상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결코 빨리 가는것이 옳음이 아니며, 넓고 깊게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깊이를 , 인생의 안목을 선사하기 때문이 아닌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