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천히 깊게 읽는 즐거움 - 속도에서 깊이로 이끄는 슬로 리딩의 힘
이토 우지다카 지음, 이수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하시모토 다케시 (일명 에티, 에티오피아 별명 줄임말) 선생님의 50년의 교단 생활동안

"은수저"라는 소설책 1권을 교재로 채택하고 3년동안 수업했던 내용을 인터뷰 형식으로 기록한 책이다.

 

일본의 나다중학교는 우리나라로 치면 상고공고 계열인가보다. 국어 교사로 처음 부임하던날

국공립학교로 가는 동기생과는 달리 사립중학교로 배정받은 하시모토 선생님은 국공립 학교에서는 할 수 없었을 자율성 교육에 큰 힘을 받고 <은수저>를 교재로 채택하여 아이들과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3년 동안 1권의 소설책. 이게 과연 수업이 될까?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하는 의문에 그는 이런 질문을 던진다.

 

" 혹시 중학교 국어 시간에 무엇을 읽었는지 기억합니까? 선생님이 되었을때 나는 그렇게 자문해보고 깜짝 놀랐어요. 아무것도 기억이 나지 않으니까요" p22

 

맞다. 국어시간에 읽은 책은 물론 올 한해 읽었던 책들도 기억에 남지 않지. 그런 부분에서 큰 공감이 갔다. 그렇게 천천히 ,깊고, 넓게 은미하는 즐거움은 어떤 즐거움일까? 도대체 은수저라는 소설로 수업이  어떻게 진행이 되었을까?

 

" 손에 받아든 작은 봉투를 들여다본 유이치는 자기도 모르게 "아"도"어"도"오"도 아닌 기묘한 탄성을 질렀다. 작은 봉투를 책상으로 기울이자 봉투안에서 쏟아져 나온 것은 공모양. 막대모양.물고기모양을 한 빨강.파랑.갈색의 막대과자였다. "p 16

 

" 미술 시간에 1일 연 만들기를 제안한 사람은 다름아닌 에티 선생님이었다. 학생들에게 <은수저>주인공의 기쁨의 순간을 보내던 아련한 장면을 체험시키려는 의도에서 였다.p34

 

"단락마다 "내용"을 정리하고, "감상"에는 자신이 아름답다고 생각한 문장을 발췌해서 쓴다.

'단문 연습'에는 <은수저>에서 사용한 어구를 활용해서 자유롭게 문장을 만든다"p88

 

" 각자 1년동안 쓴 자신의 인쇄물들을 모아 맨위에 좋아하는 색의 표지를 씌우고, 뒷 부분에 색인을 붙인 다음, 오른쪽에 송곳으로 구멍 4개를 뚫고 끈을 꿰어 단단히 제본했다. 에티 선생님의 <은수저> 어구해설, 일러스트 설명, 읽기 쉽고 재미있는 교양과 지식, 학생 스스로 써 넣은  '감각이 뛰어났다고 느꼈던 문장''아이다운 표현''단문연습' 성과가 고스란히 담긴 한권이였다. 바로 학생들의 인생에 보물이 된 <은수저 보물 노트 > 제 1호다 p95

 

이렇듯 책을 무심히 읽고 지나치기 쉬운 부분를 세심히 살펴 직접 느끼고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특히 학생들이 어려워할 것 같은 단어의 뜻풀이나 은수저의 주인공이 이모님과 막대사탕가게가서 사는 부분에서 직접 막대엿을  아이들이 먹으며 들을 수 있도록 신경쓰는 부분에는 큰 감동이 생겼던것 같다. 이게 바로 하시모토 일명 에티 선생님의 3년동안의 1권으로 수업을 하며

깊이읽고 넓게 읽히는 기술이였던것. 은수저의 배경을 조사하고 모르는 단어가 생겨나게된 배경을 꼬리에 꼬리를 물어가며 수업이 진행되었다. 에티 선생님이 그리 말하는 옆길로 빠져라 를 3년동안 실천하며 3~4명의 조를 짜고 학생끼리 토론을 할 수 있도록하여 의견을 종합할 수 있도록  하는  모습들은 1권의 책을 읽고 내 의견으로만 마무리했던 내 습관들을 돌아보게 만들어준 것 같다.

 

이런저런 고민들에 의해 <은수저>를 교재로 채택했지만, 무엇보다 어린시절이 참 중요하구나 하고 생각하게 만들어준 대목이있었다. 어린시절에 경험이라는게 정말 중요한게 아닐까? 깊이 생각해보게되는 부분이였다.

 

이부분은 하시모토 선생님의 어린시절을 술회하는 대목이다.

" 담임 선생님은 수업중에 독본은 소홀히 하고 자주 소설책을 읽어주셨습니다. 이 수업이 어찌나 재미있던지.. 마치 내가 영웅 호걸인양 깊이 빠져서 열심히 들었지요. 교과서는 펼치지도 않은채, 옆길로 새는 수업, 완전히 몰입해서 체험하는 즐거움"  소설책에 매료된 아홉살짜리 소년은

처음으로 엄마에게 뭔가를 사 달라고 졸랐다p34

 

" 아버지는 나를위해 책꽂이를 짜주셨습니다. 어찌나 기뻤던지.. 그 책꽂이에 책을 한권 한권 꽂아가는 것도 큰 즐거움 이였죠" p52

 

 

 하지만, 어쨌거나 인터뷰 형식의 책인데 <은수저 연구노트> 라거나 인터뷰한 사람에 대한 사진 자료 한장없이 진행된 부분은 큰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은수저 몇기 학생이라는 인터뷰 내용이나 도쿄 대학에 입학한 학생 수치에 관한 반복적인 이야기들은 조금 눈쌀을 지푸리게 된다.

뭘랄까. 연필과 노트가 필요한데 지우개만 양껏 준비한 꼴이랄까?

뭔가 조금 부족하다 싶어 검색을 해보니 <하시모토 다케시 선생님이 직접쓴 - 슬로리딩> 을 알게 되었다. 별책으로 보니 <은수저 연구노트>도 들어있는 모양이다.

이 부족한 마음을 달래줄 저 책을 얼른 사서 읽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