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더글라스 케네디의 장편소설  <빅 피쳐>의

책 표지를 이해하게 된다면 책의 내용을 90% 이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할

정도로 책의 내용을 가장 잘 나타낸 표지입니다.

 

 

풍요로운 삶을 위해 뉴욕 월가의 변호사로 살아가던 벤의 꿈은 사진가입니다.

탄탄히 보장된 자신의 변호사의 길을 버리고 아내와 아이들을 둔 가장으로써 자신의 꿈인

사진가는 취미생활로 묻어두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아내 베시와의 사이에서 갈등이 생길수록  " 행복"이 없는

 자신의 일상에 불안해하게 됩니다.  아내 베시 역시 남편과의 갈들이 커질수록  

이웃집  사진가 게일에게 의지하며  외도를 하게되지요.

 

 

우연히 아내의 거짓말 속에 외도를 알게된 벤은 우발적으로 게일을 죽이게 되고  요트사고로 위장해  시체를 불태우고 자신이  게일로 위장하여 도망자가 됩니다.

몬태나 라는 소도시에 안착을하게된 벤은 마을 사람들의 인물 사진을 찍어 자신의 꿈인 사진가 로써의 인정을 받게되면서 사진가가되고 앤디라는 여성과 사랑도하고 행복을 발견하게 되지만, 

언제 들킬지 모를 두려움에 빠져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려 애쓰며 살아갑니다.

 끝내 술주정뱅이 루디를 통해  게일을 살해하게 된 사건이 들어나게될 위기에 처하게된 벤은

가깟의 사고로 위기를 모면하지만 그사고로 인해 게일이라는 삶이 또한번 송두리째 없어지게되는 계기가 되는데요

 

어쩜 이 책을 읽으며 서머싯몸의 <달과6펜스>와 이리도 닮았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소설의 구성이 탄탄했고 스토리 전개도 빨라 읽는 동안 재밌게 읽었고

많은 이들의 찬사를 받았던 부분이 이해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씁쓸한 기분이 드는 이유는

소재가 주는 진한 아쉬움 때문이겠지요.

 

우리 사회는 언제가 부터 <꿈>과<외도>그리고 <살인>이라는 단어의 조합들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게 되었는지 이렇게 극단적인 소재만이 꿈을 위한 하나의 길이

되어버린양 비춰지는게 못내 안타깝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내의 외도를 뒤집어 보면

아내 역시 작가라는 꿈을 꾸고 있었지요

그런 아내를 아이의"엄마","아내"의 역할로만 바라봤던

벤의 모습에서 소통되지 못한 가정이 결국 파멸할 수 밖에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생각이 듭니다.

 

벤의 꿈이 사진가였던거 처럼 베시의 꿈이 작가였다는 사실을 기억해냈더라면

서로에게 든든한 지지자이자 멋진 동반자가 될 수 있었다는 사실은 보지 못한채

단순히 <외도>와 <살인>이라는 극단적인 소재에 끌릴수 밖에 없는 우리의 모습이

너무 자극적인것들에 길들여지지 않았는지 한번쯤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가깟의 사고로 위기에서 벗어난 벤이

시골마을에 숨어 또 다른 인물로 살아가게 될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끝이 나는 마지막 장면은 많은 이들에게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살인이라는 죄를 짓고도 벌을 받지않고 살아가는 벤의 모습이 과연 타당하는가 하는

문제가 논란의 요점이였지요. 처벌이 자명할 수 밖에 없는  이 결말을

작가는 왜 도망자로 계속 남겨뒀을까 하는 깊은 고민을 하게 되는 책

가볍게 읽기 좋지만, 무겁게 생각해봐야할 바로 그 책  <빅 피쳐>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