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훔친 위험한 冊들 - 조선시대 책에 목숨을 건 13가지 이야기
이민희 지음 / 글항아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고 가까이 두고자 노력하는 사람이라면 책에 대한 관심은 대단해지기 마련이다. 

 책에관한 역사이야기, 책을 읽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 조선시대 책읽는 선비들의 이야기등이 

 내 관심 대상이 되어버린지도 참 오래된거 같다. 

 서점에서나 온라인상에서 작은 단서라도 발견하면  발품을 팔아서라도 그 책을 

 직접봐야 하는 내 별란 성격탓에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에 관한 책을 찾던중 우연히 발견하게 

 된 책이 (조선을 훔친 위험한 책들) 이였다.

* 책의 탄생과 소멸. 

 책의 첫 이야기는 채수라는 인물이 나온다. 

 연산군을 몰아내고 반정에 성공한 중종이 왕위에 올랐을때 폭군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많은 이들이 공감하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중종의 반정행위에 대해 암시적인 이야기를 다룸으로 

써 사회파장을 일으킨 <설공찬이> 가 등장하는데 "요서 은장률" 로 엄히 다스려지고 

 불살라지는 곤욕을 거쳤지만, 알고자 하는 욕구까지 억제시키지는 못했는지 국문 필사본이 

 발견되었다. 

16세기 부터 소설의 향유가 이루워졌다고는 하나 지식을 권력으로 알던 사회적 풍조와  

 책을 통해 선악을 내세워 권력자들을 비화시킨것을 보면 "책" 이라는 매체가 썩 달갑지 않았던 

 것 같다.  17세기 이후 전란으로 희귀해진 서적을 구하려는 욕구가 형성되면서 서점이 형성 

 되고 책에 관한 관심들이 높아지게 되었다. 청나라의 문물을 세세히 기록하였던  

소현세자의 <심양장계> 나 전염병이 창궐하여  만들게된 허준<동의 보감>   

전란으로 나라 잃는것을 두려워하던 한교의<무예제보> 가  훗날 정조시대에  

<무예도보통지>로 거듭나는것을 볼때 조선 후기에 이르러 지식은 더이상 권력이 될수 없음을 

알게된듯 했다. 

 

작가의 전작 <조선의 베스트셀러>에서 조선의 세책업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것을 

본적이 있는데 < 조선을 훔친 위험한 책> 에서는 그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수 있는 재미가 있다. 

조선시대 여성이 책을 빌려보던 이야기나 세종시대에 생긴 사가독서제, 

삼치의 유례와 조선의 책 인심등을 찾아볼수 있는 재미가 쏠쏠하다. 

 

16세기부터 시작되는 이야기가 고종에 이르러 멈추기까지 방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많은 자료를 참조하여 힘들게 만들어진 책을 읽을수 있어 감사한 마음이 크나  

몇가지 책에 관한 문제점을 짚어보자면, 

첫째. 책의 중간중간 삽입된 사진이나 그림등이 글의 흐름을 끊어놓고 있다는것.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끝나는 부분에 삽입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둘째. 글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하다. 

고전이라고해서 우리말만 사용해야한다는건 고루한 생각일지도 모른다. 

허나 전체적인 책의 내용을 볼때 생뚱한 단어의 선택이 가져오는 불쾌함은 이루 말할수 없다.  

또한 책쾌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각주를 첨부하지 않고 어떤 부분에서는 이해할수 없는 문장이 

있어서 참 애매모호하게 책을 읽어내렸다. 

어쩌면 내 실력의 한계로 작가의 이야기들을 이해할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앞으로도 조선시대에 관해 끊임없이 알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니 곁에 두고 보다보면 작가의 

말들이 이해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