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리와 나 - 한 초보 부부 그리고 강아지 한 마리의 가족 만들기
존 그로건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작년에는 고향에 내려가면 귀엽고 작은 말티즈 강아지 "몽"이가 있었다.

 올해로 3살을 맞이하는 녀석은 엄청난 참견쟁이 돼지코 변태라는 별명이 지어졌다.

큰 눈망울에 비해 형편없는 코를 갖은 녀석은 온갖 소음에 참견해서 하루도 조용할 날이없었다.

사람으로치면 ADHD 행동장애를 보인다 할정도로 이러저리 우왕좌왕 뛰어다니기 바쁜 녀석을

말리와 나라는 책을 읽게되면서 다시금 추억하게 되었다.

 

존과 제니는 이른바 예비부모 수업을 위해 강아지를 키울 결심을 하게된다.

그들의 계획은 빠른 실행을 이어지고 로리를 통해 말리를 가족으로 받아들이기로 하던날. 돌아오던 길에

 한쪽으로 축쳐진혀에 입가로 내뿜는게거품  반짝이는 눈동자의 말리의 아빠 모습은 존과 제니의 귀엽고 사랑스러운  강아지 말리와의 생활이 순탄하지 않을것을 예고한다.

 

천방지축 좌충우돌 하는 말리와의 동거생활로 인해 유산되는 아픔도 있었지만, 말리가 성장해가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가족들도 성장해감을 알수 있었다. 존과 제니 그리고 말리라는 가족이 되기까지 순간순간들이 시한폭탄처럼 아찔하고 초조하고 긴장되어 걱정이 앞선것도 사실이지만, 
서로 배려하고 아끼고 생각하는 매 순간들이 그들을 결속시키고 단단한 끈으로 매듭지어줌을 알수있었다.

어떻게 동물과 인간의 유대관계가 형성될수 있을지 의아할수도 있지만, 개를 키워본 입장으로써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진심으로 정성을 다하게 된다면 개의 의사표현을 읽을수 있는 시간이 오게되고  믿음과 확신이 생기는 순간이 있음을 알게된다.

하지만 조심하자. 의사표현을 잘못읽어서 큰 낭패를 경험할수도 있으니 말이다.

이건 어디까지나 크나큰 신뢰에서 비롯되어짐을 명심해야한다. 경험해본 사람만이 알수 있는 끈끈함이란!!

성장의 막바지에 이른 말리의 모습은 인간이 성장해서 퇴화되어가는 과정을 단축시켜놓은것 같다.

힘겹게 이층 방으로 올라와 존의 손을 장난스럽게 물었던 말리의 모습은 더이상 활동적인 움직임을 할수 없지만 마음만큼은 처음 존과 제니를 만났던 그 순간을 기억하고 있음을 전달하고 있어서 가슴이 먹먹해진다.

늘상 이순간이 전부인것 처럼 행동했고, 노년의 시간이 찾아오지 않을것 같은 지금의 내모습도 훗날 말리처럼 추억으로 간직되어질 순간이 있음을 부정할수 없으니.

 

시간을 거슬러 살아갈수 없음에도 사사로운 이익에 치우쳐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보다도

자신에게 보여주는 사랑에 만족하고 배고픔만 해결되면 행복을 주는 말리의 이야기는 많은질타와 반성거리를 안겨준다.

실화를 바탕으로 영화로 제작되어진 책속에는 영화의 장면들이 첨부가 되어서 사랑스러운 말리이야기에 흠뻑 빠져들수 있었다. 봄향기 가득한 날 가족이라는 의미를 되새겨볼수있는 시간이 되어서 감사함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