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은 무엇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을 말할 수 없는가 부키 경제.경영 라이브러리 1
로버트 하일브로너. 레스터 서로우 지음, 조윤수 옮김 / 부키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의 시장이 흔들리고 있는 요즘의 경기속에서 어떻게하면 이런 난관을

헤쳐나갈수 있을까라는 거시적인 안목을 키우기 위했다기보다는

 매체에서 떠들어대는 글로벌 경제의 위기가 무엇인지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싶어 책을 접하게 되었다.

 

 국가와 기업 과 가계는 씨실과 날실처럼 복잡하게 엉켜있는 사회적구조를 지닌다.

시장이라는 거대한 흐름속에서 국가의 개입 정도에 따라서 기업의 흥망성쇄가 달라지게되고

그로인해 가정이라는 울타리가 붕괴되어 가족 해체라는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게 되기도 한다.

이런 문제점들로 인해서 국가는 여러가지 방안점을 세우고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게 되지만,

 탁상공론으로  이루워지는 시스템은 안전한 보호막의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맹점을 지닌다.

이런 국가의 개입을 반대하는  입장의 애덤스미스 학자와 신 자유주의를 내세워 국가의 개입을  옹호하는  입장의 카를 마르크스혁명가 두 입장에서 경제을 바라보자면 어떻다 규정지을수만은 없는 어려운 일이다.

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보다도 경쟁이라는 이익다툼 애덤 스미스가 말하는 보이지 않는 손 이다.

좋은 의미에서의 경쟁은 제품을 향상시키고 능동적인 사람을 만들고 소득이 올라가는등의 좋은점도 있지만

과열된 경쟁은 엄청난 빈부의 격차를 발생시킨다.

 

이책은 무엇보다도 경제의 흐름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앞으로의 경제환경은 어떻게 전개될것인지 초점을 맞추고  인플레이션, 경제 성장, 소득 분배, 환율 등 우리가 늘 접하는 경제 주제를 중심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이야기한다.(p330)

급속하게 발달하는 기술과 노동시장의 변화는 세계화가 어떻게 진전하게 될것인지 짐작하게 한다.

다각도로 쏟아져나오는 대책안들도 아직까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장기간의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불어오리라 생각이 든다.

 

1부에서 4부까지 구성되어진 책을 살펴보면1부에서 다루는 경제학의 기초에서 그간 궁금했던 애덤 스미스나,  카를 마르크스에 대한 궁금증을 풀수 있었고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사유재산과 시장의 출현에서 발생된것임을 이해하게 되었다.  제 2부 거시경제에서는 GDP(국내총생산)의 정의와 책정하는 방법, 국가와 기업 가계의 상호연관관계 와 흐름을 짚어볼수 있었다. 3부 미시경제에서는 시장의 움직임과 문제점 에따른 국가의 개입에 관한 이야기들이 담겼고.4부 현대 졍제학의 고민에서는 소득의 불균형에 관한 이야기 아직 풀리지않는 자본주의의 흐름등이 담겨있는데 책을 읽으며 경제학에대한 흐름이 어느정도는 보이는듯 하지만 갈길이 정말 먼것같다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변수요인을 내포하고 있는 경제라는 거대한 틀속에서  그 흐름을 잡는다는것은 어려운 일인것 같다. 그저 이 책을 읽으므로써 발생되어진 시발점을 토대로 이렇게 흘러가고 있구나 느낄수 있는 시간이어서 좋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