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를 만든 열가지 사건 -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이 함께 읽는 근현대사
아사히신문 취재반 지음, 백영서.김항 옮김 / 창비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언제나 내 관심거리이다. 역사를 잘 이해한다거나 지식이 풍부해서라기 보다는

왠지 역사를 알아야한다는 사명감내지 역사는  우리의 미래를 축소해놓은 이야기일꺼라는 생각이들기 때문이다.

『동아시아를 만든 열가지 사건』은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이 함께 읽는 근현대사라는 글귀가 적어진 표지에서 처럼 

한가지의 시대적 사건을 가지고 각 나라들이 기록해놓은 역사와 교과서에서 가르치고 있는 내용들을 비교분석하여

각나라마다 역사를 인식하는 부분들을 기술한다. 저자가 아사히 신문 취재반이라서 그런지 내용이 간결하고

실제적인 사실을 검증하는 부분들이 참 독특했을 뿐만아니라, 각 나라별 교과서들이 어떻게 기술하고 교육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현재 각 나라들의 싸움의 원인이 되는 부분들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시간이 될수 있었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이 함께 읽는 근현대사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책은  세가지 문제점을 안고 이야기를 시작한다고 했다.

그 첫째로는 일본이 식민지화 시대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생겨나는 문제이고

그 두번째로는 아시아 공통적인 역사의 기반이 없다는 사실이고

셋째로는  그결과 동아시아 각국의 역사가 갈등의 역사에 머물고 만다는 점이다. (p7)

책에서 제시한 문제점 처럼 책을 읽는 동안 모든 이야기들이 갈등을 둘러싼 이익다툼이였다.

특히 이 책으로 새로운 시각은 일본을 다시 알게 되었다는것이다.

한때  군사시설의 물자운송을 위한 수단으로 철로를 놓고 수탈과 억압을 했던 일본

우리나라를 점령하고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참혹함의 대상이였던 일본, 생체실험에서부터

학살에 이르기까지 만행과 횡포를 일삼던 일본에대해  중고시절 얼마나 많이 배웠던가!

하지만 일본의 지배하에 있던 나라들이 우리나라뿐만이 아니였다는 사실은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했던 이야기들인듯 했다.

우리나라를 지나 중국에 이르러서 똑같은 만행을 저지른 일본을 알게 되었고 중국도 우리와 같은 아픔을 간직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나니  그토록 일본이 사죄하기를 바라시는 분들의 조각난 마음들이 하나로 제자리를 찾는듯 했다.

 

 책을 읽으면서  놀라웠던 사실은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의 한 부분이였다.

 

"1966년 2월  아침 9시가 지나 한국군이 마을에들어와 마을 사람 68명을 한곳에 모아서는 모두 엎드리라고 했다.

 사람들을 향해 일제히 총을 쏘더니 수류탄을 던졌다. 12살이었던 여동생 퐁 씨는 머리에 총을 맞았고,

어머니는 두 다리를 한 순간 잃었다. 롱씨는 눈이 새빨게 지면서 울음을 터뜨렸다.

어머니는 죽기직전에 살려달라고 소리쳤다." (p255)

 

이 글을 읽는 순간 가장 먼저 한 일은 책을 덮고 멀리 치워버린 행동이였다.

너무나 놀라웠지만, 당혹스러웠고 두려운 생각이 앞섰다.

일본의 지배하에서 독립의 순간을 기다려오며 단결심을 보였던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베트남 전쟁에 지원을 해서

무고한 어린이와 노인들을 학살했던 이 순간들은 끄집어내고 싶지 않은 기억이고 묻어버리고싶은 아픔이다

이런 마음에서 바라보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왜  그토록 역사를 부정하는가에대해

그들의 심정이 이토록 당혹스럽고 감추고 싶은 이야기일수 밖에 없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제 우리의 역활은 무엇인가를 놓고 본다면 역사의 아픔을  모조리 느낄수 없는 우리 세대들이

역사와의 화해라는 주제로 이야기나누고 생각할수 있을까 란 의구심이 든다.

용서하자라는 단어는 용서를 할수 있는 입장에서만 할수 있으니 일본을 향해 강경하게 사죄를 요구하는 우리도

우리의 만행을 향해  진실되게 사죄를 해야하는게 역사를 배우는 우리의 자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간의 우리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들은 얼마나 딱딱하며 보기에도 답답한 글자들이 올망졸망모여

외워주기만을 바라고 있는가 생각하면 현재 내가 읽어본 이 책은 한가지의 사건을 탐험하듯이 찾아다니며

직접 발로 뛰고 쓰여진 책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만 하다는 생각이 든다.

새로운 시각을 전해주고 역사란 필요에 의해서 기록되어진 다는 사실을 전해준 책에 고마움을 느끼며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