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의 섬 - 1921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아나톨 프랑스 지음, 김우영 옮김 / 다른우리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아나톨 프랑스는 프랑스 소설가로 인간에 대한 경멸과 풍자를 중심으로 한 지적회의주의자로서 

인상비평가 자전적 작가로 알려져 있다. 

1921년 발표된 펭귄의 섬은 마엘신부가 여물통을 타고 악마의 꾀임에 빠져

북극으로 건너가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북극에 도착한 마엘신부는 극도로 노화상태에 빠져

앞이 잘 보이지 않고 소리도 미약하게 들리는 상태에서 "펭귄"을 "사람"으로 착각하여

세례식을 거행함으로써 사건이 발달이 된다.

 

인간이 아닌 펭귄에게 세례식을 거행하게 됨으로써

천국에서는 펭귄들의 세례식을 인정하느냐 하지 않느냐로 논쟁을 벌이는데

이것은 마치 형식이 중요하냐. 내용이 중요하냐 는 사회를 비판하고 있는것 같았다.

 

거친 논쟁의 끝에 펭귄을 사람의 형상화 시켜 그들의 삶을 지켜보기로 한 천국은

그 사실을 마엘신부에게 알리고 마엘신부는 인간들이 사는 세상으로 펭귄들을 이끌게 된다.

 

역사의 시작이 되었던 이사건을 계기로 그들은 고대시대를 형성하고 점차 진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인간의 욕구를 갖게된 펭귄들은 서로의 땅을 주장하며 살인도 마다하지 않는 참혹함을 보이며

점차 사유에 대한 욕망을 키우게 되고 이를 통제하기 위해 국가회의도 개최하지만,

부를 축적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끝맺게 된다.

 인간의 5단계 욕구 즉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존경의 욕구,  사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를 말했던 매슬로우의 말처럼 그들은 생리적 욕구와 안전의 욕구를 채우려 끊임없이 서로에게

날카로운 이를 들어내게된다.

우리나라 역사에서도 그랬듯이 역사의 순간에 미모의 여성들은 등장한다. 그리고 그녀들은 언제나

사악한 꾀임에 빠져 남자를 유혹하고 파멸의 구렁텅이로 밀어넣는다.

역사의 순간순간마다 등장하는 여인과 왕비들은 끊임없는 욕망속에서

남자들을 유혹했고 그 결과 국가의 양상은 크게 달라지게 되기도 한다.

한가지의 욕망으로인해 서로를 죽이게 되는 일들이 반복되면서

그들은 각자의 영웅들을 배출하게 되고  영웅을 둘러싼 당파들이 생겨나면서

나라안은 끊임없는 분쟁이 들끓게된다.

산업화 시대가 진전됨에 따라 각 나라마다 무력을 사용하게 되고

전쟁이 발생하게 된다.

역사의 흐름은 신을 옅고 희미한 기억속에 남겨두고

그들의 표독스러운  내면 소리에 귀를 귀울이게하며  "욕망"이라는 단어에 갇아버린다.

 

" 부와 문명도 가난과 야만 못지 않게 전쟁의 씨앗을 담고 있구나

 인간의 광기와 사악함을 아무리해도 고칠수 없다면

취해야 할길은 오직 하나다. 충분한 양의 다이너마이트를 긁어보아

이 행성을 날려버리는 거야. 이 행성의 조각조각나 흩어지면

우주 전체적으로 미세한 개선이 이루워지고 우주적 양심은

만족감을 누기게 될꺼야 " (P190)  

 

신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상실해 가는 인간들의 추악한 모습과

끊임없는 악마의 유혹속에 빠져 허우적 거리는 인간의 참옥한 모습들이

펭귄들의 모습을 통해 그려지고 있다.

천국의 회의중 사제들에 대해  지식이 부족해

그들이 추구하고자하는 본질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지만,

어느 나라의 역사건 탐욕스러운 인간의 욕망은 감출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훗날 사회를 보는 안목이 더 커진다면 다시한번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