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전 2 - 발해! 황제의 나라가 되다 - 문왕
KBS 한국사傳 제작팀 지음, 문재인 스토리 / 세모의꿈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어내리면서
현재 아이들은 얼마나 좋은가 를 놓고 생각해 보게 되었다.
나의 유년시절.
외워지지도 않는 역사적 연대기를 설명하시는 선생님의 이야기가
자장가 처럼 들리던 그때.
시대적 흐름을 놓쳐버리면 앞뒤가 맞지않아
무슨말인지 모르고 방황했던 그순간에  비해
이렇게 재미난 그림과 스토리들을 가지고
역사를 배울수 있다니!

 

요즘 드라마 바람의 화원이 인기몰이 중이다.
책을 읽지 않은 많은 사람들이 스토리가 가미된 드라마에 열광하는 것 처럼.
어려운 한문과 친숙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는 역사책보다.
흥미로운 스토리가 접목되어
역사적 사실을 이야기해주는 이책에 흠뻑 빠져들길 권장한다.

 

중국을 정벌한 무왕에 이어 그의 아들 문왕(대흠무)은 외교적 정책을 폈다.
무왕이 군사적인 힘을 이용했다면 문왕은 계략적인 전략이였던것.
두딸은 지방으로 보내어 넓은 영토를 효과적으로 다스리는 혼인정책을 이용하고 당나라안에 이정기라는 인물을 두고 군사적 힘을 길렀다.
외적교인 교역을 활발하게 하여 초피와 솔비가 특산물이 되었다.
안녹산의난을 슬기롭게 헤쳐나갔고 각국의 군사적 도움요청에 평화를 외치며 쉽사리 나서지 않았다는것.

중국에서만 사용할수 있었던 황제라는 칭호를 발해의 왕이 당당히 사용하였고
두 공주의 묘비에 황상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으니 그당시 발해의 위상을 알수 있다고 한다.

 

가끔 만화책은 제한적인 사고를 유발하므로 권하지 않는게 바람직하다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내생각은 약간 다르다.
아이들의 상상력은 경험에서 오는 것이고 학습은 경험에 뒷받침한다.
아이들이 늘상 다니는 학교길에서 보는 모든것들이 아이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것.
하지만, 인물의 표정이나, 묘사, 기발한 상상력의 기반이 되는것은
아무래도 인간이 표현할수 없는 가상의 세계 즉 만화속에서 볼수 있는 자료가 된다.
아이가 상상력이 부족하여 많은 생각들을 끄집어 낼수 없다면
좋은 밑거름이 되어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
다만 이 만화책을 읽는것으로 그치는게 아니라.
각 인물들의 대화에 더많은 대화를 첨가도 해보고
삭제도 해보며 독서의 즐거움을 두배로 느껴보라는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