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미인초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5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 제목의 첫 느낌은 우아함이었다. 꽃 이름을 의미하는 건가 짐작은 했지만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낯익은 개양귀비라는 꽃이었다. 내 고향집 문 앞에서도 보았던 그 꽃. 선명한 빨간색이 정말 예뻤던 꽃. 이 제목은 어떤 연유로 지어졌을까. 소세키의 많은 작품들의 제목은 내용과 맞아떨어지지는 않는다. 기이한 발상으로 제목을 짓기로 유명한 그답게 그 후가 그랬고 이 그랬다. 다 읽고 나서는 강렬한 첫인상을 주었던 후지오의 캐릭터 이미지와 드높은 자존심이 꺾인 것을 스스로 용납을 못해 죽음을 택한 영혼의 애잔함을 한껏 느낄 수 있었다.

 

 

 무네치카와 고노가 교토의 히에이잔 산을 오르는 장면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문장 자체가 너무 시적이어서 그런지 꽤나 안 읽혔다. 작품풀베개가 생각났다. 산에 오르는 것만큼이나 지루하게 별 의미 없는 대화가 계속된다. 배경이 되는 장면은 교토와 도쿄를 교차적으로 반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첫 신문소설이라는 것을 의식한 구성이라고 한다. 인물간의 갈등 구조를 심리 묘사에서 자세히 그려내는 장면은 역시 탁월한 소세키의 영역이 아닌가싶다. 연애소설처럼 읽히기도 하고 성장소설처럼 읽히기도 한다. 무네치카와 고노를 중심으로 각각의 여동생과 오노와 얽히고설킨 남녀관계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외관이 네모나고 각진무네치카의 털털한 말투와 달리 고노는 철학적이다. 상대방의 말에서 꼬투리를 잡아서 철학적인 말을 기어이 뱉어 놓고야 만다. 각각의 인물들의 개성적인 성격이 뚜렷함을 감지하게 되면서 흥미롭게 읽힌다.

 

죽음에 직면하지 않으면 인간의 변덕은 좀처럼 그치지 않는다네.”(P32)

 

색을 보는 자는 형태를 보지 않고, 형태를 보는 자는 질을 보지 않는다.’(P75)

 

 특히 오노와 후지오가 함께 책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장면은 묘한 분위기를 느끼게 된다. 선명한 자주 빛 기모노를 입은 후지오의 책을 읽는 모습, 후지오가 오노에게 작업을 거는 것 같은 미묘한 분위기를 싫지 않은 듯 즐기는 모양새다. 시적인 오노는 후지오에게서 클레오파트라의 카리스마를 느낀다. 만남을 거듭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빠져드는 오노의 모습이 보인다. 박사 논문을 준비 중인 오노는 어두운 과거를 털어버리고 싶다. 교토에서 도쿄로 이사오는 선생 부녀를 마중나간 오노의 너무 많이 변한 모습을 보고 두려워하는 사요코가 있다.

 

 어린 시절 거두어 키워준 고도 선생과 그의 딸 사요코는 자신의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데 부담이 되기 시작한다. 어서 딸을 데려갔으면 하고 바라는 고도 선생의 마음과 달리 오노의 마음은 후지오를 향해 달려간다. 과거를 떼어버리고 싶은 오노와 어떻게든 과거를 연결시키려는 이들의 마음이 안타깝고 팽팽하게 밀고 당기는 느낌이다. 재산이 있는 후지오와 결혼하여 그 경제력으로 고도 선생 부녀를 도와주겠다는 얄팍한 생각으로 친구 아사이를 동원하여 거절의사를 밝히게 한다. 미안함을 갖고 있으면서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도덕적인 양심을 버리려 한다. 그것도 직접 나서지 못하는 나약한 비굴함으로 말이다.

 

개미는 단것에 모이고 사람은 새로운 것에 모인다. 문명인은 격렬한 생존 가운데서 무료함을 한탄한다. 서서 세 번의 식사를 하는 분주함을 견디고 길거리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병을 걱정한다. 삶을 마음대로 맡기고 죽음을 마음대로 탐하는 것이 문명인이다. …… 문명은 사람의 신경을 면도칼로 깎고 사람의 정신을 나무공이로 둔하게 한다. 자극에 마비되고, 게다가 자극에 굶주린 자는 빠짐없이 새로운 박람회에 모인다.”(P193)

 

  박람회에 모이는 사람들을 묘사한 문장이다. 삶의 지루함을 식히기 위해 새로운 자극을 받기 위해 모여드는 수많은 사람들의 살아있음을 느끼는 표정이 보이는 듯하다. ‘놀라기 위해모여드는 것일까. 오노와 선생 부녀 일행은 마침 박람회에 온 무네치카 등 일행이 한데 모이면서 들통이 난다. 모든 재산을 후지오에게 넘겨주고 집을 나가려던 고노, 그것을 알고 놀란 무네치카, 속으론 좋으면서도 세상의 이목을 두려워하는 수수께끼 같은 여자 후지오의 엄마 등 갈등 구조가 역력히 드러나면서 속도감 있게 전개된다. 지식인 오노를 구하기 위한무네치카의 진지한 도움으로 어둠의 유혹에서 빠져나온다. 사실 이건 예상치 못했다. 도덕적 양심을 찾은 오노에게 환영의 마음이 들면서도 누구의 선택도 받지 못한 상처받은 분노로 주검이 되었던 후지오. 한 사람의 죽음이 있고서야 인간은 자신들의 허물을 깨닫는 존재인가.

 

비극은 희극보다 위대하다. 이를 일컬어 죽음은 모든 장애를 봉쇄하기에 위대하다고 말하는 이가 있다. 돌이킬 수 없는 운명의 나락에 떨어져 빠져나올 수 없기에 위대하다는 것은 흐르는 물이 되돌아오지 않기에 위대하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운명은 단지 최후의 결말을 고하기 때문에 위대한 것만은 아니다. 홀연히 삶이 변해 죽음이 되기에 위대한 것이다.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때 잊고 있던 죽음이 불쑥 나타나기 때문에 위대한 것이다.’(P432~433)

 

 다른 작품과 달리 소설의 작법을 밝히는 부분이 있어서 흥미를 배가시켰다. 심리묘사에 치중된 지루함을 달래주거나 긴장감을 유지시켜 독자의 참여와 몰입을 심화하는 느낌도 들었다. 짧고도 긴 여운을 주는 하이쿠의 삽입, 삶과 죽음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색의 장을 마련해주는 소세키의 문학을 역시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운명의 수레바퀴는 어떤 생각을 품고 어떻게 처신하느냐에 따라 굴러가는 방향이 달라짐을 다시금 깨닫게 한다. 오래전이나 지금이나 사람들의 마음이나 살아가는 모습은 그다지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그것이 옛 작품에서 들끓는 심연의 마음을 지금도 공감할 수 있는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