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나 아내는 풀밭에 참외 씨를 뿌린 적이 없다. 아마, 먹고 버린 참외 씨들이 어쩌다가 싹이 터 자라난 결과 같았다. 그래도 그렇지 하나나 둘도 아니고 여럿이라니. 풀밭을 치다가 낫을 든 채 멍하니 선 아내한테 참외들이 이런 아우성을 치는 것 같았다.

“우리 부모님은 어디 계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8-10-20 1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무심이병욱 2018-10-21 10:32   좋아요 1 | URL
정말, 참외 먹고 남은 씨도 함부로 버리지 못할 것 같은 심정이더라고요. 숲에서 농사지으니까 생각지도 못한 일들이 벌어지곤 합니다.
 

 

과일나무가 경우에 따라서는 아름다운 꽃나무일 수도 있었다. 춘천 율문리 어느 사과 농장에서 깨달은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화초 이름 중에는 참 이상한 이름도 있다. 아내와 함께 오늘 춘심산촌 밭가 담 밑에 심은 화초가‘으아리’란다. 밭가 담 밑을 으아리 심는 장소로 정한 까닭은 으아리가 덩굴식물이기 때문이다. 말이 담이지, 사실은 오랜 세월 밭에서 농사짓다가 나온 돌들을 밭가에 놓으면서 형성된 돌무더기다. 돌무더기에 흙까지 얹히자 자연스레 담 비슷해졌다.

으아리를 심기 전 담을 뒤덮은 환삼덩굴들부터 제거하는데 이런, 아주 작은 철쭉이 그 밑에서 발견되었다. 잎사귀들이 파란 게 다행히도 살아있었다. 우리가 지난봄에 이 녀석을 심어놓고서 그 동안 몰랐던 것은 무심해서라기보다는 환삼덩굴들이 번식력이 대단해 순식간에 일대를 뒤덮어 안 보인 때문이다. 그 지랄 같은 나쁜 놈들 행패 속에서도 죽지 않고 마침내 이 가을 햇빛을 받게 된 작은 철쭉 녀석.

 

박대 받은 기억만 있을 담 밑에 그냥 내버려둘 수 없었다. 내가 삽으로 녀석 밑을 깊이 파서 농막 앞 양지 바른 자리로 옮겨 심었다. 잡초방지매트도 다시 깔아주었다. 아내가 특별히 당부해 물도 한 주전자 부어주었다. 그러자 녀석이 이런 말을 하는 듯했다.

“감사합니다. 잘 크겠습니다. 내년 봄을 기대하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두운 밤거리를 걷다가 모() 부동산중개소의 폐업 인사 글을 봤다.

“죄송합니다”

얼마나 많은 사연이 있기에 인사를 단 한 줄밖에 못 남겼을까? 가던 발걸음이 절로 멈춰질 수밖에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 전 동네 부근에서 도로확포장 공사가 있었다. 4차선 도로를 6차선으로 확포장하기 위해 산 옆을 깎아낸 공사 현장을 보다가 소스라쳤다. 수만 년 전, 어쩌면 수백만 년 전 지층의 속살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빗금 모양으로 가을 햇빛에 노출된 암갈색 지층. 만일 옛 선인들이 보았더라면 ()이 땅속에서 죽은 자국이라 하지 않았을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bkim77 2018-10-11 0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하게 하는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