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본래 이름 앞에 호 붙이는 것을 꺼려했다. ‘자기 이름 갖고 살기도 바쁜데 무슨 호까지 붙여?’ 하는 거부감이었다.

대학시절, 문학동인 활동을 할 때 시 쓰는 친구가 어느 날부터 스스로 자기 호를 지어서 작품마다 이름 대신 활용하는 것을 보고는, 나는 속으로 얼마나 경멸했는지 모른다. 이런 경멸이었다.

자식. 그럴 시간에 시나 더 열심히 쓰지.’

이 자리를 빌려 그 친구한테 용서를 빈다. 정작 나 자신도 소설을 열심히 쓰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 후에 무심이란 호를 쓰는 문인이 됐기 때문이다.

 

사실 무심이란 호는 친한 후배가 몇 년 전, 같이 만나는 모임자리에서 내게 선사한 것이다. 후배는 웃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제가 형님을 그 동안 쭉 지켜봤는데 이 호가 아주 잘 어울릴 듯싶습니다.”

격식을 갖춰 한지(韓紙)에 붓으로 써 선사한 호라 그랬을까? 나도 모르게 무심호를 즉각 받아들인 것이다. 그뿐 아니다. 이런 말까지 했다.

정말 내게 맞는 호일세. 하하하.”

그 날부터 모임자리에서 나는 무심선배 혹은 무심씨로 불리기 시작했다.

 

모임자리에서나 쓰이던 무심이 공식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이다.

아내가 남편의 문필생활의 매니저를 자임하고 나면서부터다. 아내는 내 앞에서 컴퓨터를 켜 인터넷 화면을 띄워 보이며 이렇게 말했다.

“SNS로 당신과 책을 많이 알려야 하는데 문제는 당신과 같은 동명이인이 너무 많다는 거야. 국악 하는 이병욱, 의사 이병욱, 장어를 파는 이병욱. 이러니 그냥 이병욱 이름만 갖고는 절대 구분도 안 돼. 천생 필명을 따로 지어야 돼.”

필명까지는 그렇고그러잖아도 모임에서 나한테 무심이라 부르기 시작했거든.”

하면서 그간의 무심이란 호를 받게 된 과정을 털어놓았다. 놀라운 것은 아내의 반응이다. 박장대소하며 이랬다.

어쩜, 당신한테 딱 맞는 호를! 내가 결혼해 30년 넘게 살면서 그 동안 당신한테 느낀 심정을 그리도 잘 표현할 줄이야!”

 

무심(無心).

사실 얼마나 깊은 뜻의 한자어인가. 그 뜻을 제대로 풀이해 나가면 나 같은 범부(凡夫)는 결코 사용할 수 없는 단어다. 그래서 고민 끝에 나는 무심 이병욱의 문학산책블로그에 짤막하나마 변명을 달았다. 다음은 그 중 일부다.

 

지인이 내게 '무심'이란 호를 붙여주었을 때 마음에 썩 들어 흔쾌히 받아들였다. 그리고 말했다.

"정말 내게 맞는 호일세. 그런데 내가 무심한 것은 사실, 워낙 유심하다 보니 그리된 거지."

지인은 고개를 끄덕였다.(후략)

 

이제 돌이켜보니 더 알쏭달쏭한 무심해명을 늘어놓은 것 같다. 따지고 들면 한이 없다. 이 정도만 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알벨루치 2019-05-29 1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심...너무 좋아요! 사모님께서 강력한 후원자이시네요 ㅎㅎ잘 지내시죠?

무심이병욱 2019-05-30 10:12   좋아요 1 | URL
그저 노후에는 아내 말을 잘 듣고 사는 게 최선입니다. ㅋㅋㅋㅋ

카알벨루치 2019-05-30 12:00   좋아요 0 | URL
ㅎㅎㅎ그것이 평화의 첩경인가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