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집 ‘K의 고개’(2018년 발간)에 수록된 작품 7편마다 삽화를 넣었다. 서현종 화백의 귀한 그림들 중에서 작품 내용에 맞게 7점을 받아 삽화로 활용한 것이다.

 

매 작품 작가로서 친 자식 같은 정을 갖고 있는데 그 중 ‘이발 유정’에 대한 정은 남다르다.

사양길에 들어선 재래식 이발관 모습을 적나라하게 표현하느라 작가로서 심혈을 기울였으며 삽화 그림 선정에도 공을 들였다. 그 결과 ‘어느 뒷골목 동네 풍경’을 담은 삽화가 선정된 것이다.

정확히는 서현종 화백이 이메일로 보내 준 ‘어느 뒷골목 동네 풍경’ image이다. 내가 컴퓨터에 능하지 못해 아내가 나서서 그 image를 출판사에 다시 메일로 보내는 고생을 감수했다.

 

참 놀라운 세상이다. 저 70년대만 해도 책에 그림을 실으려면 반드시 원본 그림을 출판사에 보내야 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원본 소지와는 상관없이 image를 메일로 보내면 되는 세상!

 

얼마 전 최돈선 선배님의 미소 짓는 그림을 내 블로그에 실은 적이 있다. 그 때도 서 화백의 image를 활용한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서 화백이 원본을 최 선배님께 전하는 과정에서… 전달을 맡은 이의 실수로 그 원본이 행방불명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원본 없이 image가 살아남은 채 서 화백 블로그에서 내 블로그로 옮겨진 것이다. 원본은 없는데 image는 존재하는 기막힌 세상.

 

그렇기에 이번에 서현종 화백한테서 ‘이발 유정’ 그림 원본을 선사받은 것은, 여러 모로 뜻 깊고 감사하다.

 

작품 ‘이발 유정’에서 노인네(이발사)가 근근이 꾸려나가는 이발관 모습이 나온다. 그 이발관을 무시하듯 동네 사람들이 제멋대로 이발관 입구에 주차하는 짓을 감행한다.

바로 그러한 행태가 벌어질법한, 좁은 골목에 제멋대로 주차한 원본 그림이다.

 

 

아내가 원본 그림을 보자마자 감탄했다.

“그림 참 곱네!”

흑백 삽화로 책에 실렸는데 이제 유채색 원본을 보니 감탄을 금하지 못하는 것이다. 단순한 유채색이 아니다. 무채색처럼 착각을 일으키는 잔잔한 색칠이다.

볼수록 잔잔한 감흥이 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알벨루치 2019-10-15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그림이군요 감회가 남다르시겠습니다^^

무심이병욱 2019-10-16 11: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렇습니다. 원본 그림이 유채색으로 그려졌음에도 무채색 그림 같지요. 화려하지 않은 잔잔한 감흥이 있습니다

무심이병욱 2019-10-16 11: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실제 원본 그림 크기가 2호에 불과해서 처음에는 놀랐습니다 ㅎ ㅎ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