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60회를 맞는 국제우주대회가 세계 70개 나라 3천여 명의 항공.우주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10월 1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16일까지 개최된다. 

이날 개막식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은 개막식 축사를 통해 "우주기술은 인류의 미래를 열어갈 성장 동력이요 인류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 됐다'며 "국제 달 탐사 프로그램에 참여를 검토 중이며 아·태지역 국가의 위성공동 개발 사업에도 적극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 달 탐사 계획은 미국 나사가 중심이 돼 2010년대 후반 탐사선 발사를 목표로 한국과 러시아, 일본, EU 등 9개 나라에 참여를 제안한 국제협력 우주개발 프로젝트로 우리나라는 지난해 의향서에 서명한 이후 워킹 그룹에 참여해 세부 계획 등을 논의해 오고 있다. 

개막식이 거행된 대전국제우주대회는 국제우주연맹총회, 우주기술전시회 등 공식행사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로켓을 직접 발사하고 아폴로 15호가 달에서 가져온 암석도 보며 세계의 우주인으로부터 우주 체험담을 들을 수 있는 우주 축제가 될 예정이다.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달에는 과연 토끼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달은 별도 아니고 행성도 아니랍니다.
달은 '돌로 된 커다란 공'이라 할 수 있지요.
비록 햇빛을 받아 반사하지만
달은 지구의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천체랍니다.

원래 달에는 토끼가 없어요.
그런데도 지구에서 달을 보면
방아 찧는 토끼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건
달 표면에 있는 구덩이 때문이랍니다.
달 표면에는 수많은 구덩이가 있는데, 이것을 '크레이터'라고 합니다.
크레이터는 우주에서 날아온 바위가 부딪쳐 생긴 거예요.

 그리고 달에는 바다가 있어요.
바다라고 해서 정말 물이 있는 건 아니지만....... 

우주에서 날아온 커다란 바위가 부딪쳐서 생긴 큰 구덩이에
어두운 빛깔의 용암이 흘러나온 것을 바다라고 일컫는 거지요.
지구에서 보면 달의 바다는 어둑어둑한 무늬로 보여요.
그리고 달 표면에 높이 솟아 있는 부분은 밝은 빛깔의 돌들입니다.
지구에서 보았을 때는 하얗게 보이지요.
달에는 날씨 변화도 없고, 지형도 수십억 년 동안 거의 변함이 없었지요.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달에 토끼는 없답니다!!!! 

(출처: GoGo 지식박물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