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그 유명한 《자기 앞의 생》을 이제야 읽었다. 전에도 한두 번 주절댄 바 있거니와 축생 따위의 같잖은 것이 가당찮게 베스트셀러에 대한 반감이 있어 그동안 읽지않고 힘써 버티고 있었는데, 남들이 모두 좋다고 하는 데는 역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헛되이 전해진 이름은 없더라는 이야기. 이건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늙으면 뭐든지 계속 버티기가 조금 곤란해진다. 골육이 약해져 뼈에는 구멍이 숭숭 뚫리고, 관절은 수시로 쑤시고, 조여주면서 버티는 근육은 한번씩 풀어져 참 황당하게도 본인의 의도와는 전혀 무관하게(아니,,,의도에 반하여) 몸속에 갈무리되어 있던 내용물들을 밖으로 조금 찔끔 내보내기도 한다. 내용물은 물론 밑에서 나오지만 앞 쪽으로 나올 때도 있고 뒤로 나올 때도 있다. 보석처럼 영롱하게 빛나는 젊은이들은 이런 이야기를 무슨 안드로메다로의 우주여행 비슷한 이야기로 여기겠지만 시간이란 놈은 북조선이 호기롭게 쏘아올린 대포동 미사일보다도 훨씬 더 날쌘 것이어서, 인간이나 축생이나 개나 소나 뭐든지간에 세월가면 찌그러지고 쭈그러지고 삭고 닳아 결국은 썩어 흙이 되는 것이다. 말인즉슨 발광(發光)을 하고 발광(發狂)을 하고 용천을 하고 승천을 해도 결국에는 한 웅큼 부토로...한 덩어리 똥떵거리로....돌아가는 것이 인생이라는 말씀되겠다. 어머!!! 이야기가 너무 멀리 나갔네. 호호호
각설하고, 비록 철은 지났지만 어쨌든 아직도 회자되고 있는 유명한 대중가요 ‘모모’의 ‘모모’가 마하엘 엔더(이것도 별 쓸데도 없는 이야기인데, 옛날엔 ‘미카엘 엔더’ 라고 했다. 외국어 표기법이 어떻게 바뀌어지고 있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는데, ‘까라마...’ 어쩌고를 쓴 유명한 러시아 작가를 혹자는 ‘도스토예프스키’라고도 하고 또 혹자는 ‘도스또예쁘스끼’라고도 하고 또 다른 혹자는 ‘토스토옙스키’라고도 하면서 혹자들 입맛대로 주절거리니 우리 고명하신 작가께옵서 어느날은 ‘도’선생도 되었다가 다른 날은 ‘토’선생도 되었다가 또 ‘또’선생도 되고 뭐 그렇다. 고호는 고흐가 되었고, 노통은 노통브가 되었고, 리건은 레이건이 되었고, 소생은 축생이 되었다. 다행이다. 뭐라도 되어서...)의 소설 <모모>의 그 ‘모모’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혹 계시는지 모르겠다. 한심한 소생은 얼마전까지만 해도 그런줄 알았다. 소생은 작년 연말인가 ‘모모’를 부른 가수에 대한 신문기사를 보고 그 모모가 그 모모가 아니라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아 부끄럽다....음...
금일에야 이 책을 읽으니 ‘모모’의 노래 가사 중에 나오는 ‘인간은 사랑없이 살 수가 없다는 것을’, ‘너무 기뻐서 박수를 치듯이 날개짓하며, 날아가는 니스의 새들을 꿈꾸는’ 이 구절들이 모두 책 속에 그대로 나오는 문구였다. 옛날에는 ‘날아가는 니스’ 가 과연 무슨 말인가 약간 의아하기도 했던 것이관대, 뭐 나름의 깊은 의미가 있을 것이라 홀로 짐작하고 애써 궁구하여 보지는 못하였다. 아둔한 소생은 다만 ‘니스’가 날아간다고 생각했었는데 ‘니스’는 프랑스의 도시 이름이니 날아갈 리가 없고, 날아간 것은 역시 새였다. 아무렴!
쓸데없는 이야기 하나 더. 또다른 철지난 유행가 중에 ‘걸어서 하늘까지’라는 노래가 있다.(드라마 주제곡이기도 하다) 가사 중에 ‘...말이 없이 살아가라고, 아주 쉽게 충고하지만, 세상 사는 어떤 사람도...’ 이라는 구절이 있다. 소생의 친한 친구 중 한 명(이 친구의 별명은 ‘장소팔’이다. 짐작하셨다시피 역시 유유상종이다.)은 이 구절 ‘아주 쉽게 충고하지만’을 ‘아저씨께 충고하지만’ 이라고 불렀다. 소생도 그런 줄 알았다. (왜 유유상종이겠는가?) 물론, 왜 아저씨에게만 충고를 해야하나??? 아줌마에게는 과연 필요없나??? 하는 생각도 잠깐은 하기는 했지만, ‘아저씨께’가 ‘아주 쉽게’로 밝혀지자 우리는 모두 깜짝 놀랐다. 왜 아니겠는가!!! 노래를 한번 들어보시라. 분명히 아줌마가 아니라 아저씨에게 충고하고 있다.
전직 창녀이자 아우슈비츠에서 살아 돌아온 유태인 할망구가 창녀들이 낳아 버린 자식들을 맡아 키운다. 모모는 그 아이들 중 한명이다. 모모는 모하메드의 줄임말이다. 모모는 아랍인이고 이슬람교도다. 힘없는 늙은이들, 역시 힘없는 버려진 아이들, 유대인, 아랍인, 여장남자, 창녀들....저 밑바닥에서 이것저것 끌어모은 느낌이다. 인물 설정이 다소 작위적이라는 생각도 든다. 연이나 어쨌든 소설은 잘 읽히지만 독후에는 마음이 쓸쓸하고 속이 허하다. 로맹 가리하면 역시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가 먼저 떠오른다. 책 뒤에 있는 작가 연표를 보고 인터넷에서 ‘진 세버그’를 찾아봤다. 숏카트 머리의 보이쉬한 미인이 검색된다. 그녀가 흑인인권운동가였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로맹 가리와 별거 중에 진 세버그가 임신을 하자 FBI는 진이 흑인 아이를 가졌다고 비열한 모략을 했다. 나중에 진은 그녀의 차 뒷자석에서 시체로 발견된다. 사인은 과음후 치사량의 약물복용. 진 세버그 사망 일년 후 로멩가리도 권총 자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