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음_공유지에서 살아가기
그래서 우리는 스스로 집의 주인이 되기를 사양했다. 손님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그렇지만 그들보다 좀 오래 머무르는 장기투숙객으로 살기로 했다. 우리끼리는 구구한 설명도 필요하지 않고 크게 고민할 것도 없었던 설정이었다. 그리고 재미가 없어지면 바꾸면 될 것이었다. ‘빈집‘의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었다. 그때 우리는 몰랐다, 우리가 시작하는 일은 구현하기도 어렵지만 쉽게 포기될 수도 없는 일이라는 것을. ‘빈집‘의 원칙은 나중에야 언어로 표현되었는데, 그것은 공유, 자치, 환대였다. - P189
키키는 건물 이름이자 공동체의 이름인데, 웃음소리에 친구와 친족(kith and kin)이 되어 함께 살자는 뜻을 담아 만든 이름이다. 혈연도 아니고 같은 공간에 살지 않아도 같은 종족으로 살자는 의미에서 키키족으로 부르기도 한다. - P195
강수돌_인간노동, 인공지능, 가치원천
K. 맑스의 《자본》은 자본주의 상품가치의 원천이 인간노동임을 명확히 했다. 왜 그런가? A. 칭의 <세계 끝의 버섯>처럼, 황폐한 숲속에서 돋아나는 송이버섯은 그 자체로 (자본주의) 가치가 없다. 사람이 힘겹게 숲속을 헤매다 땅바닥 솔잎을 조심스레 들추어야 송이버섯을 찾을 수 있고 이것을 잘 따서 깨끗이 정리한 다음 시장까지 잘 날라야 비로소 가치를 지닌 ‘상품‘이 된다. 산속의 송이 그 자체는 상품이 아니며 가치 개념도 성립되지 않는다. 자연에 인간노동이 가해지고 시장 거래 대상이 되어야 비로소 상품이 되고 가치를 갖는다. 만일 자연산 송이 구하기가 너무 힘들다면, 손쉽게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할 것이다. 그게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이다. 자연산 송이에 비하면 양송이나 새송이는 훨씬 싸다. 즉, 상품가치는 인간노동량에 따른다(가치공식 1). 그리고, 노동량이 많이 든 상품은 가치가 높아 더 많은 화폐와 교환되고, 노동량이 적은 건가치가 낮아 더 적은 화폐와 교환된다(가치공식 2). - P200
요컨대, 가치의 원천은 인간노동이다. 인간노동이 없다면 가치는 생산되지도 재현되지도 실현되지도 못한다. 그런데 각종 자본주의적 혁신은 결국 노동효율을 증가시키지만 두 가지 면에서 자기모순에 이른다. 첫째는 가치공식8처럼, 무한대를 향한 가치 증식 욕망이 각종 기술혁신을 추진하면서 역설적이게도 상품 단가를 무한소로 축소하기에 갈수록 마진(잉여가치)이 얇아진다는 모순이다. 가치 증식 욕망의 무한대 경향과 가치 축소 현실의 무한소 경향이라는 자가당착! 둘째는, 각종 혁신의 결과 노동효율이 높아지는 경우, 이것이 노동시간 단축과 일자리 나누기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엔 노동자에 대한 정리해고, 즉 잉여인간만대량 방출된다. 노동자 입장에서는 자기 기업을 위해 ‘열심히 일한 죄‘밖에 없는데, 바로 그 열심히 일한 결과 스스로 해고 대상자로 내몰리는 자기모순에 빠진다. 이런 일이 설사 한 기업 안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회 전반적으로 보면 더욱 뚜렷하다. 자본주의에서는 (재산, 소득 불평등뿐 아니라) 한쪽에서는 실업이, 다른 쪽에서는 과로가 상존하는, 지극히 불합리한 노동 불평등이 전 사회적으로 관철되기 때문! - P203
바로 이런 면에서 독일 사회학자 마리아 미즈의 ‘빙산 모델‘이나 영국경제학자 케이트 레이스의 ‘도넛 경제‘가 눈길을 끈다. 이들은 우리가 아는 노동-자본 관계는 (눈에 잘 보여 GDP로 산입되지만) 그야말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본다. 그 빙산 아래엔 더 어마어마한 덩치가있는데,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기에 무시당한다. 그것은 비공식 부분, 자급농부, 가사노동, 식민지와 제3세계, 그리고 자연 등이다. - P205
정형철
《지그문트 바우만, 소비사회와 교육을 말하다》에서 지그문트 바우만이 이야기했던 것처럼, 소비지상주의 "현실을 변화시키려면 그야말로진정한 ‘문화혁명‘이 일어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 P223
부희령
이러한 맥락에서 책에 인용된 호주의 철학자이자 환경활동가 발 플럼우드의통찰이 예리하다. "남성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 자민족중심주의 등을 비롯한 모든 중심주의는 ‘지배자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자기중심적충동이 기반이다." - P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