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상하이. 안창호와 황진남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1919년 3•1운동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탄생하며 독립운 동가들이 선택한 이 명제는 아마 우리 역사에서 가장 극적인 부분일 것이다. 3•1운동의 배경 중 하나가 고종 황제 사망임 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이후 ‘민주공화국‘이라는 국가 정체성은 지난 100년간 단 한 번도 의심되거나 부인된 적이 없고, 여러 번의 개헌과 군사 쿠데타도 이 명제는 바꾸지 못했다. 1789년 프랑스혁명 이후 1870년까지 80년 동안 프랑스가 공 화국이었던 기간이 단 16년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다. - P50
1919년 3월 레닌은 코민테른을 조직하면서 민족 해방과 사회주의 혁명을 연계하는 정책을 발표하게 된다. 코민테른 (Comintern)은 공산주의인터내셔널(Communist International)의 약자다. 한인사회당을 만든 이동휘는 박진순 등 3인을 코민테른에 파견하는 동시에, 심복 김립을 데리고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합류하여 국무총리를 맡게 된다. 대통령은 이승만이었다. 박진순 일행은 내전 중인 시베리아를 120여 일에 걸쳐 목숨 걸고 통과하여 모스크바에 도착해, 코민테른에 가입한 후 레닌에게 선전비 명목으로 자금 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한인사회당의 활동은 중국공산당이나 일본공산당보다 앞선 것이었고, 후에 중국공산당과 일본공산당의 창립 과정을 한인사회당이 지원했다. - P53
이 무렵, 하와이 교포 출신 20대 초반의 황진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외무부 참사로 일하고 있었다. 1920년 8월 미국 의원단이 베이징을 방문했을 때 안창호를 모시고 여운형 과 함께 면담을 주선하기도 했다. 임시정부에서 황진남의 상관은 외무 차장을 맡았던 현순 목사였다.1 1921년 5월 황진 남은 현순 목사와 미국으로 건너가 교포들의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모임을 진행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미 임시정부의 분 열은 극에 달했고, 그는 미국에 가려고 유럽을 경유하던 중 독일에 남아 베를린대학에서 중단된 학업을 이어가기로 한다. - P55
1921년 6월 자유시 참변에 분노한 이동휘와 박진순은 언어 천재 이극로를 데리고 내전 중인 시베리아를 피해 인도양, 수에즈운하, 지중해, 알프스산맥을 넘어 3개월에 걸친 여정 끝 에 모스크바에서 레닌을 만난다. 할 말이 없게 된 레닌은 11월 코민테른 한국 위원회를 만들어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고, 코민테른에서 상해파의 권위가 회복되었지만, 두 파의 계속되는 대립을 중재하던 레닌은 결국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모두에 해산을 명령하고 남은 금화 140만 루블의 지원을 중지 한다. 역사는 이를 ‘고려공산당 자금 사건‘이라고 부른다. 당시 김구는 좌파 지도자들이 횡령했다고 의심하고, 1922년 이동휘의 심복 김립을 상하이 대로변에서 사살했다. 이 사건으로 임시정부 지도 체제가 무너지며, 조국을 되찾기도 전에 ‘대한민국‘은 이미 좌우 분열이 시작되었다. - P57
한편, 이동휘와 동행을 마친 이극로는 황진남과 마찬가지 로 독일에 남아 1922년부터 베를린대학(Universitat zu Berlin)에서 경제학을 전공한다. 언어학을 부전공했던 그는 이 대학에 한국어 강좌를 만들어 스스로 강의했다. 2019년, 이극로가 개인적으로 진행하던 이 강좌를 1923년 독일 교육 당국이 정식 강좌로 허가하는 문서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 문서에서 조선 어는 독일어로 ‘Koreanische Sprache(한국어라는 뜻)‘라고 표기되어 있다. 학생 신분이던 그는 한발 더 나아가 한국어 강좌의 정식 강사로 보수를 받기 위해 당국을 설득했는데, 그 문서도 발견되었다. 여기서 이극로는 베를린대학이 왜 ‘한국어‘를 가르쳐야 하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 P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