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사체, 신고합니다! - 총알과 폭탄 그리고 까다로운 윤리
코허는 - 라가드 역시 어느 정도는 - 사체들을 상대로 하는 탄도학 연구가 좀더 인도주의적인 형태의 총격전으로 이어지기를 바랐다. 코허는 전투의 목표가 적을 죽이는 게 아니라 싸울 수 없게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총알 크기를 제한하고 재료로는 납보다 녹는점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라고 권했다. 변형이 덜 되면 인체조직을 덜 파괴하기 때문이다. 무력화, 군수업계의 용어로 ‘저지능력’이 탄도학 연구의 지상목표가 되었다. 적이 나를 불구로 만들거나 죽이기 전에, 내가 먼저 적을 확실히 저지시키면서 가능하면 불구로 만들지도 않고 죽이지도 않는 방법! 실제로 1904년에 라가드 대위와 매달린 사체들이 다시 무대에 올랐 을 때의 목표는 저지능력 향상이었다. - P151
"그것은 무게가 다양한 물체들을 매달아놓고, 그것들의 운동량을 서로 연관지어 측정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게 저지능력과 관련하여 뭔가 의미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가정에 바탕을 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 의심스러운 실험으로부터 의심스러운 자료를 추정해내는 작업이었다." 라가드 대위는 총이 사람을 어떻게 저지시킬지를 알아보려면 이미 영구적으로 저지된 대상을 상대로 실험해서는 안 된다는 걸 깨닫는다. 다시 말해 살아 있는 대상이 필요했다. 라가드는 "대상으로 결정된 짐승 들은 시카고 도축장에서 도살될 예정인 비프들이었다"고 기록했다. - P152
만일 내가 옛날 전쟁부의 결정권자였다면, 사람들이 총에 맞고도 가끔씩 그 자리에서 쓰러지지 않는 까닭에 대해서가 아니라 그토록 쉽게 쓰러지는 까닭에 대해 연구하게 했을 것이다. 출혈로 인해(그래서 결국 뇌에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의식을 잃기까지 10~12초가 걸린다 고 한다. 그렇다면 총에 맞은 사람 대부분이 바로 그 자리에서 쓰러지 는 까닭은 뭘까? 텔레비전에서만 그러는 게 아니라 실제로 그렇다. 나는 이 질문을 덩컨 맥퍼슨에게 해보았다. 그는 탄도학 전문가로 존경받고 있으며 로스앤젤레스 경찰서의 고문이기도 하다. 맥퍼슨은 그게 순전히 심리적인 효과라는 입장이다. 쓰러지느냐 마느냐는 마음 상태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동물들은 총에 맞는다는 게 뭔지 모르고 따라서 바로 그 순간 그 자리에 쓰러지는 경우가 드물다. 그는 총알에 심장을 관통당한 사슴 대부분이 40~50미터 달아난 다음에야 쓰러진다고 지적한다. "사슴은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를 조금도 모릅니다. 그래서 10초쯤 그대로 사슴답게 행동하다가 더 이상 그러지를 못하는 거죠. 좀더 성질이 포악한 짐승이라면 그 10초라는 시간을 이용해 우리에게 달려들겠지만요." - P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