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죽어야 사는 여성들의 인권
기지촌 여성을 소재로 한 소설로는 안일순의 <뺏벌》(1995)이 있다. 안일순은 1992년윤금이 사건을 계기로 해 기지촌 여성의 삶에 관심을 쏟게 된 여성주의 작가로서 그들의 이야기를 시, 소설 등 문학 작품으로 형상화하고 여러 매체에 글을 기고하고 있다. 안일순은 기지촌 여성 운동가 김연자와 함께 군사주의와 여성, 군대와 매춘 관련 국제 세미나에 참가하기도 했다. 이교정은 한국같이 사회적 억압이 심한 사회에서는 시민 운동조차 민족 민주 운동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그 예로 윤금이 사건을 동두천시 시민운동과 같이 언급했다. 김현숙은 기지촌 여성 운동에서 기지촌 여성, 중산층 페미니스트, 남성 민족주의자의 정치학이 같지 않다고주장하면서 기지촌 여성이 스스로 말하게 하라‘고 주장한다. - P274
포천, 동두천, 의정부의 뺏벌, 파주의 용주골, 문산의 선유리, 서울 용산의 미 8군 기지, 이태원, 후암동 등도 기지촌으로 유명한 곳이다. 특히 뺏벌은 기지촌을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뱃벌은 ‘한 번 들어가면 다시는 나올수없는 곳‘이라는 뜻으로 경기도 의정부시 스탠리 부대(Camp Stanley)주변의 기지촌 매매춘 집결지를 말한다. 뺏벌은 의정부 시내버스를타면 정거장 이름으로도 표지가 되어 있는, 이 지역에서도 공식화지명이다. 현재 지방의 옛 기지촌들은 단속이 심한 서울을 피해내려간 국내 매매춘 업주들이 정착하면서 국내 매매춘 집결지로 유명해졌다. 매매춘 업소가 한곳에 모여 있는 이유는 포주들이 매춘여성을 감시하고 통제하기 쉽고 행정당국이 단속하기도 쉽기 때문이다. 매매춘 집결지는 다른 사회와 구분되어 매춘 여성들에 대사회적 낙인을 강화한다. - P279
이른바 ‘현장‘ 출신 여성 운동가이자, (이제까지 알려진 바로는 최초의 기지촌 여성 운동가이다. 그동안 각종 여성 인권 대회, 학술 대회에서 자신의 삶을 증언했다. 그는 그동안 한 번도 가시화되지 않았던 기지촌 매매춘의 실태와 기지촌 여성들의 삶을 세상에 알렸다.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기지촌 여성 관련 증언과 생애사는 김연자의 증언과 두레방활동에서 채록된 상담 기록에 의한 것이다. 군위안부 최초의 증언자가 고(故) 김학순이었다면 ‘현대판 정신대‘라는 기지촌에 관해서는 김연자가 최초의 증언자이다. 그러나 김연자의 활동은 ‘증언자‘의 존재를 넘어선다. 그는 한국사회가 기지촌 여성을 다루는 다양한 방식에 문제를 제기한다. 기지촌 여성을 ‘인간 이하‘로 보는 것, 동정하는 것, 반미의 상징으로이미지화하는 것, 제국주의 침략의 가장 큰 희생자로 보는 것에 모두 반대한다. 오히려 그는 한국 사회 내부의 가부장제와 계급 문제를 비판한다. 사회 운동권과 여성 운동 세력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그는 스스로 말하고자 하고 기지촌 여성도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주체화되기를 원한다. - P282
그녀(김연자)는 반미 주장에 기지촌 여성을 연결 짓는 사람들을 대할때 흥분한다. "미군은 나쁘고 양공주는 불쌍하다." 그러한 단세포적 시공녀로, 데이각으로 미군 범죄를 보면 논리의 비약을 가져온다. 신파이로, 닷지로, 아이코로, 티나로 여자들을 이민족에게 바치는 동안조선의 사대부들은 안방에서 처첩을 거느리고 아내를 때리지 않았는가? 자신들은 군대 가기 전에 딱지 뗀다고 사창가로 몰려가면서 첫날밤 신부의 처녀막을 의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영계니, 회춘에 몸보신에 극성인 남자들, 딸이고 처제고 어린이고 가리지 않고 겁탈하는 그들의 정력…… 조금 잘살게 되었다고 태국으로 괌으로 국제 매춘의 대열에 선 남자들 기지촌을 배태시킨 구조적인 문제에 앞서, 케네스 마클(윤금이 살해범)에게 돌을 던지기에 앞서 나는 이 나라 남자들이 먼저 눈뜨기 바란다. - P303
하지만 전반적으로 윤금이 사건은 기지촌 여성의 인권 향상으로이어지기보다는 미군 범죄, 민족 자존심의 문제로 집중되었다. 윤금이 사건에 참여한 운동 주체들이 강조한 것은 매춘 여성 인권 유린 문제가 아니었다. 피해자의 인권 침해 사실보다는 가해자가 우리(민족)를 억압하는 미군이었다는 점이 이 사건에서 더 중요하게다뤄졌다. 그들이 강조한 것은 기지촌 여성의 존재와 그들이 그동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취급되어 왔는가가 아니라, 해방 이후 발생한 미군 범죄가 약 10만여 건이었다는 점, 미군 범죄에 대한 한국 정부의 1차 재판권 행사율이 0.7퍼센트에 불과(필리핀은 21퍼센트, 일본 32퍼센트, NATO는 52퍼센트)했다는 점이었다. 즉 이 사건은우리 민족이 미국의 식민지임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가되었다. - P321
학생 운동 출신이 생각하는 사회 운동의 일반적인 모델은 ‘일상적인 활동을 기반으로 삼아 자신들이 하는 일이 사회·정치적인 이슈가 되어, 문제가 해결되는 역동을 보이는 변화‘이다. 그리고 이것은 이제까지 사회 운동론이 정의한 보편적인 사회 운동의 개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은 기지촌에 들어와서, 기지촌 여성 운동은 다른 사회 운동과 같은 경로를 밟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일상을 조직해 나가는 것, 아니 일상을 견디는 것 자체가 힘겨운 운동임을 깨닫게 된다. 기지촌 여성 운동은 기존 사회 운동의 틀에서보았을 때는 운동이 되지 않을 것 같고, 운동이 아닌 것 같다. 다른운동처럼 운동을 계속하여 조직이 확대되고 ‘명망가‘가 되는 것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기본적인 급여와 활동 시간이 보장되지 않고(저임금 장시간 노동), 자기 충전이 안 되는 소모전과 과로, 무보상, 일상 노동의 지겨움은 ‘나‘(활동가)와 ‘언니들‘기지촌 여성)의 인권이 대립하는 게 아닌가 하는 갈등에 빠지게 한다. 다른 여성 운동은 운동의 주체와 대상이 일치한다. 나를 위한 여성 운동인 것이다. 그러나 기지촌 여성 운동은 활동가가 기지촌 매춘 여성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 P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