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남씨 이야기
선남은 매일 저녁 일기장에 이렇게 썼다. ‘비극의 자리에 자신을 가져다놓지 않기‘. 아빠 없는 아이를 가졌다고, 아빠 없이 홀로 아이를 키워야 한다고, 천지간에 아이와 나뿐이라고, 이런 불행의 문장들은 처음부터 선남의 것이 아니었다. 불행의 문장은 선남의 마음이 물러지거나 몸이 약해졌을 때를 기다렸다가 튀어나오곤 했다. 약한 틈새를 알고 단박에 공격해 들어오는 음험한 문장들을 선남은 경계했다. 지금은 오로지 자신과 아이의 삶에 집중할 때다. 더욱 단단해져야 한다. 그러려면 하규의 기억마저 버려야 한다. 선남은 마음을 다잡기 위해 수시로 되뇌었다. 하규에게 죄책감을 느끼지는 않았다. 당장 이 험악한 세계를 살아가야 하는 사람은 하규가 아니라 선남과 아이였으므로. - P219

그동안 용기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사실은 무모함과 무식함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자 얼굴이 숯처럼 달아올랐다.
- 봄의 왈츠 - P236

온은 이마를 찌푸리며 나를 탓했다. 간절히 기다리던 일이 무산되었을 때 슬프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어? 짜증이 솟구친 나는 율을 두둔하는 온에게 버럭 화를냈다. 간절? 고작 그런 일 따위에 간절하다는 말을 붙여? 네가 자꾸 오냐오냐하니까 애가 진짜 뭐라도 되는 줄 알고 철딱서니 없게 굴잖아! 너는 개새끼처럼 며칠 예뻐하고 헤어지면 그만이지만 네가 망쳐놓은 애 버릇을 상대해야 하는 사람은 바로 나야! 나뿐이라고! 온이 단박에 상처받은 얼굴을 했다. 눈치 빠른 율이 분위기 수습에 나섰을 때야 나는 또 아이한테 감정노동을 시켰구나, 깨닫고 입을 다물었다. 우리 셋은 주섬주섬 짐을 챙겨 들고 어색하게 호텔을 나와 오도리공원으로 걸어갔다.

이게 저승길을 환히 밝혀준다네. 이렇게 일주일 간격으로 봉숭아 물을 들이면 손톱에불이 들어 나중에 죽으면 저승길을 밝혀준다네. 내 팔자에 저승길을 마중 나올 살뜰한 부모도 없고 애틋한 남편은 더더욱 없으니 내 저승길은 내가 미리 밝혀야지 싶어서. 돈도 안 들고 얼마나 좋으냐? 안 그러냐, 이년아? 그러면서 엄마는 또 징그럽게 깔깔 웃었다. 나는 아랫입술을 꾹 깨물고 뭔가를 참으며 엄마의 손에 둥글게 빚은 봉숭아 반죽을 하나씩 올렸다. 그때 내 안에서 치밀어 올랐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저 순도 높은 분노만은 아니었기를, 백반 가루 같은 연민이 조금은 섞인 마음이었기를 바랄 뿐이다. (그런데 이제야 나는 궁금해진다. 내가 스무살에 집을 떠난 이후 엄마의 봉숭아 물은 누가 들여주었을까? 엄마가 딱히 사랑하지 않았지만 미워하지도 않으며 짐승처럼 풀어 키웠던 어린 남동생들 중 한명에게 부탁했을까? 서울로 떠난 후 나는 엄마의 손을 자세히 들여다본적이 없다.)
- 그 시계는 밤새 한번 윙크한다 - P2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