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시가 단지 존재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말하기 위해, 동무가 되기 위해 쓰인다는 걸 배웠다. 모든 것이 필요할 때 시는 필요한 모든 것이었다. - P92

나는 가르치는 걸 좋아하긴 하지만 다른 것들 - 쓰기와 걷기, 그리고 물론 모든 시인이 해야만 하는 중요한 일인 ‘빈둥거리기와 꿈꾸기‘ - 을 포기하고 싶진 않다. - P93

파브르는 또 하나의 걸리버다. 그는 본능과 학습된 행위의 경계를 찾는 일에 인내심과 열정을 아끼지 않았으며, 곤충 왕국에 대한 그의 설명은 기적에 가깝다. - P95

우리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아름다운 사람들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것은 하늘을 그리는 것과도 같다. 어떤 별들이 누락되거나, 잘못된 자리에 놓이거나, 잘못 해석되거나, 전혀 주목을 받지 못했을까? 나는 밀레이에 대해 많이 안다고 생각한다. 반 바구니쯤 되는 양일까? 누구든 타인의 삶에 대해 충분히 알 수 있을까? 우리는 그러기를 희망해야 한다. 하지만 위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건 무서운 일이다. 밤이 어둡다. 나는 가공할 힘을 지닌 바람의 소리를 듣는다. 한밤중의 전화벨 소리, 이해되거나 오해될 열정적인 말들을 듣는다. 나는 심장이 몸의 문간에서 긴 돌계단을 내려가 홀로 이 세상에서 나가는 걸 느낀다. - P115

모두가 야성적이고, 용감하고, 경이롭다. 우리는 아무도 귀엽지 않다. - P118

시를 사랑하고 시를 짓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시 한편을, 그다음에 몇 편을 사랑해야만 한다. - P1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