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컴퓨터는 또하나의 도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것을 가지고 무엇을 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기술의 생태적 영향력을 무시하는 대응이다. 기술은 절대로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기술은 하나의 환경 속에 있는 모든관계를 재편성하여, 어떤 점은 개선시키고 또다른 측면은 악화시킨다. 컴퓨터는 특정한 유형의 학습방식만을 홍보하고 지지하면서 다른 방식은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다. 기술비평가 닐 포스트먼이 지적한 바와 같다. "우리가 컴퓨터에 관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교육적 도구로서 그것이 효율적인가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컴퓨터가 학습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어떤 식으로 바꾸어놓고 있는가 하는 점을 알아야 한다." - P98

만약 아이들이 감독을 받지 않은 사회적 활동에 발을 담궈보지 못한다면, 그들은 어른이 된 뒤에도 공민적 책임감의 바다에서 결코 헤엄을 칠 수 없을 것이다. 만약 아이들이 흙을 파고, 거미, 벌레, 새, 그리고 포장이 되지 않은 운동장 한구석에 나 있는 잡초를 발견할 기회를 얻지 못한다면, 어른이 되어서도 자연을 탐험하거나 고마워하고 보호할 가능성이 적을 것이다. - P100

랭던 위너는 《고래와 원자로》의 서문에 이렇게 쓰고 있다. "나는 자기값어치를 하는 기술철학이라면 어떤 것이든 궁극적으로 이런 질문을 해야 한다고 확신하고 있다 - 우리는 최량의 인간성과 우리가 만들고 싶은 세계에 부합하도록 현대의 기술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유감스럽게도 오늘날 학교들은 오히려 그 반대방향으로 가고 있다 - 우리는 어떻게 기술이 그 역량을 마음껏 펼치고, 기술이 건설할 세계에 조화될 수 있도록 인간에게 제약을 가할 것인가? 그 결과 우리 아이들은 텅 빈 내면으로 불구가 된 삶을 물질로 채우려는 헛된 시도를 되풀이하면서 이 소외의 과정(자기 자신과 타자, 지구를 하나의 수단으로 대하는)을 계속해서 감내해야 할 공산이 크다. 아이들이 그들의 개인적·사회적 문제들을 자신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거나 공동체 구성원들로부터 용기와 지지를 구해서 풀어나가려고 하지 않고, 마약, 총, 인터넷상의 혐오 표출, 그 밖에도 다른 강력한 ‘도구‘들에 의존하여 해결할 때, 우리는 놀라서는 안될 것이다. 결국 바로 그것이 우리가 가르친 것이니까 말이다. - P1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