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를 읽었을 때의 충격이 생각난다. 그땐 첫째가 태어나기 전이었는데, 내 아이라면? 예상치 못한 무서운 소설이었다.

도리스 레싱은 2007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집 앞으로 취재진이 몰려들었다. 도리스 레싱은 심드렁했다. 노벨상부터 비판했다. 기자들에게도 친절하지 않았다. 도리스 레싱은 행여나 앞으로 글 쓸 시간이 줄어들까 봐 그 걱정만 했다. 88세 생일을 맞이할 즈음이었다. 도리스 레싱은 94세까지 도전을 멈추지 않는 작가로 살았다. 어린 시절의 불행했던 기억이 작가로서의 자산이었다고 쓴웃음을 지으면서도 그 누구보다 자신의 삶을 사랑했다. 런던으로 가기 위해 망망대해를 건너는 순간부터 도리스 레싱은 작가의 길을 걷고 있었다. 글 쓰는 여자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다. - P31

"매일같이 아버지와 어머니 생각을 하곤 했다. 그러나 『등대로』를 쓰고 난 다음에, 나는 그들을 내 마음속에 묻어 버렸다." 버지니아 울프는 "나는 이제 누가 칭찬하지 않아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느낌이 든다."고 선언했다. - P40

콜레트는 누군가를 제대로 격려해 주는 일이 때로는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고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경험하게 된다. 콜레트도 먼저 누군가를 알아보고 응원하는 사람으로 살았다. - P48

그의 믿음은 확고하다. 시간과 싸워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지금 이 순간 무엇을 할 것인가? 작가는 오직 그 질문만을 던진다. "구원은 현재하고 있는 일에, 지금 쓰고 읽는 것에 존재한다." 글 쓰는 여자는 오늘에 집중한다. - P94

"소리 내 싸우는 건/ 아주 용감하다// 하지만 더 용감한 건/ 내면에서 싸우는 슬픔의 기병대/ 이겨도 나라가 알아주지 않고, 쓰러져도 누가 봐 주지 않으며," 결과도 장담할 수 없었다. 에밀리 디킨슨에게 기다림과 희망은 같은말이었다. "나는 가능성 속에서 살아갑니다." - P99

긴스버그에게도 "유대인, 여성, 엄마라서 삼진 아웃"을 당했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다. "오늘 패배했다면, 내일은 이길 수 있다는 희망이 생기는 법이다." 내일 이기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인재들 가운데 적어도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이"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고, 여성을 지지해야 한다. 내일을 위해 긴스버그는 오늘도 연방 대법원 계단을 올라간다. 글 쓰는 여자는 크게 도약한다. - P111

2003년 프랑크푸르트 국제 도서전에서 독일 출판협회 평화상을 수상한 수전 손택은 문학을 "자유의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여권"이라고 정의하며, 문학을 선택했기에 "국가적 허영심, 속물근성, 강제적인 편협성, 어리석은 교육, 불완전한 운명, 불안이라는 감옥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다행스러워했다. - P148

"백인에 대한 책은 언제 쓰실 건가요?" "어째서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쓰지 않습니까?" 토니 모리슨은 이 질문의 의도를 꿰뚫어 보았다. "당신은 글을 잘 씁니다. 그러니까 나에 대해서도 쓰도록 허락하지요." 부당하고 폭력적인 요구였다. 때때로 ‘중심부’에 있는 백인들이 토니 모리슨을 회유하기도 했다. "당신은 글을 꽤 잘 씁니다. 원한다면중심으로 올 수 있을 겁니다. 주변에 머물 필요가 없어요." 토니 모리슨은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아, 그렇군요. 저는 여기 주변부에 머물면서 중심부가 저를 찾도록 할 겁니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