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 아침을 먹으면서 둘째 아이가 하는 말이 웃겨서 막 웃었다. 내가 닮았다며 어떤 여자 연예인을 말했는데 그녀는 주책맞은 이미지를 갖고 있는 연예인이었다. 나 같은 지성인을 왜 그런 사람과 닮았다고 하느냐고 물으니까 둘째 아이가 이렇게 말했다.

 

 

“엄마 머릿속엔 지성이 있는지 몰라도 요즘 보면 하는 게 비슷해.”

 

 

“까르르~~~” 웃으면서 내가 말했다.

 

 

“나, 밖에 나가면 안 그래. 너희와 재밌게 말하려고 그러는 거지, 밖에 나가면 얼마나 깐깐하게 보이는 타입인데.”

 

 

(여기서 여자 연예인이 누구인지는 비밀이다. 그 사람이 알면 명예 훼손 혐의로 나를 고소할지 모를 테니. 그리고 나를 스스로 지성인이라고 말한 부분은 집에서 한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니 읽는 분들이 이해해 주시길. ㅋ)

 

 

둘째 아이가 한 말로 두 가지 사실을 인정해야 했다. 하나는 내가 어떤 모습으로 말을 하느냐 하는 것은 상대에 따라 다르다는 것. 또 하나는 나이가 들어서 그런 건지 내가 좀 변한 것 같다는 것. 

 

 

예전에 한 남자 후배로부터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나한테 말 한 번 잘못하다가는 뺨을 맞을 것 같다는 말. 내가 그렇게 깐깐해 보였다는 것이겠다. 언제부턴가 느끼는 건데 이젠 나를 깐깐하게 보는 사람이 적어진 것 같다. 이것 좋은 현상이겠지?  

 

 

 

 

 

2.
요즘 부쩍 느끼는 건데 예전엔 내가 아이들한테 지적을 하는 쪽이었는데 이젠 아이들이 나한테 지적을 한다.

 

 

“엄마, 그렇게 입고 나가면 추워. 따뜻하게 입고 나가.”

 

 

“엄마, 빗길에 넘어지지 않게 조심히 다녀.”

 

 

“엄마, 혼잣말 하지마. 늙은 티 나.”

 

 

어쩌다가 내가 자식들한테 잔소리를 듣는 쪽이 되었을까. 이젠 내가 자식들한테 조언을 구해야 하는 쪽이 된 게 흐뭇한 일인지 서글픈 일인지 모르겠다. 

 

 

 

 

 

3.
이른 아침에 (남편이 신문을 집어 올 때가 더 많지만) 현관문 밖에 있는 신문을 내가 집어 올 때가 있다. 그럴 때 난 왜 이런 생각이 드는 걸까? ‘만약 이 신문에 누군가가 똥을 묻혀 놨으면 어쩌지? 난 이 신문을 침대에 가져가서 보느라 신문이 이불에 닿기도 해서 이불에 똥이 묻을 텐데. 만약 나한테 어떤 복수를 계획하는 이가 있다면 이건 확실한 복수가 될 거야. 난 똥이라면 질색이니까.’라고.

 

 

상상력이 주는 공포.

 

 

만약 누군가가 자신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을 상상해 보라.

 

 

“일 년 중 어느 날 당신이 신문을 보려고 펼쳐 드는 순간 경악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일 년 중 어느 날에 제가 당신 집 현관문 밖에 있는 신문 속에 똥을 크게 묻혀 놓을 것이니까요.”

 

 

이 말을 듣고 어떤 이는 공포에 떨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이는 공포에 떨지 않고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 ‘뭐, 똥이 별거야? 실내에서 개를 키우며 사는 사람들은 수시로 개똥을 치우며 사는데.’ 이렇게 생각한다면 별일 아닌 게 되어 버린다.

 

 

난 두 가지를 얘기하고 싶었다. 상상력이 주는 공포의 강력한 힘에 대해서. 그리고 모든 건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것에 대해서.

 

 

 

 

 

4.
친구가 물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냐고. 

 

 

나의 대답 : 건강, 돈, 좋아서 하는 일. 그 다음으로 사랑과 우정을 꼽겠어.

 

 

 

 

 

 

5.
친구가 물었다. 나중에 죽는 날을 위해 스스로 묘비명을 짓는다면 뭐라고 지을 거냐고.

 

 

나의 대답 : 묘비명 - 깝죽대다가 어느 날 자빠졌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이러하다. 깝죽대기만 하다가 아무것도 이룬 것 없이 생을 마감했다는 것.(예를 들면 책을 낼 계획이었는데 책을 내 보지도 못하고 삶의 시간이 끝나 버렸다는 것.)

 

 

그래도 난 깝죽대는 삶이 깝죽대지 않은 삶보다 좋다고 생각하겠어. 그래서 후회하지 않겠어.  

 

 

 

 

 

 

 

 

12월에 찍은 감나무 사진.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17-12-14 19: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언니도 한 유머 하시네요.
오늘 페이퍼 재밌어요!!

그러게 말입니다. 옛날엔 엄마가 한 잔소리했는데
지금은 제가 대가 세졌는지 아니면 엄마가 허술해진 건지
제가 더 잔소리가 많아졌어요.흐흐

페크pek0501 2017-12-14 22:02   좋아요 0 | URL
재밌게 읽어 주셨다니 좋네요.

저의 친정어머니는 시시콜콜 저에게 묻습니다. 뭘 살 게 있을 땐 어떤 걸 사는 게 좋으냐, 누구 결혼식이 있는데 축의금을 얼마를 내는 게 좋으냐 등. 이런 일조차 저에게 의지하셔서 거꾸로 되었단 생각을 하게 되지요. 어머니가 늙어 가시는 걸 보면 제 앞날을 보는 것 같아요. 저도 언젠가는 자식에게 의견을 물으며 살겠지요.ㅋ

마립간 2017-12-15 10: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나이 들어 필요한 것 5가지, ‘건강, 돈 & 일, 친구 & 취미‘라고 합니다.

제가 고친 pek0501 님의 묘비명 ; ‘노력하다가 여운을 남겼다‘

페크pek0501 2017-12-17 13:34   좋아요 0 | URL
오우, 마립간 님. 그럼 제가 거의 정답을 말한 건가요?
저는 건강과 돈을 제일로 꼽았어요. 아플 때 병원에 갈 돈이 있어야 하고, 운동을 하려고 해도 돈이 있어야 하고 보약을 먹으려 해도 돈이 있어야 하고...
그리고 좋아서 하는 일이라고 한 것은 취미를 말함이어요. 친구라는 말 대신 저는 우정이라고 쓴 거고요.

고치신 묘비명. 맘에 듭니다. 어떤 여운을 남길지가 문제지만요....ㅋ

마녀고양이 2017-12-15 16: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언니의 묘비명, 저 속상해요. ㅠㅠ

그리고 잔소리를 들을 나이가 되신게 아니라, 언니가 자녀들을 챙기느라 하셨던 말들이 자녀들의 마음에 내재되어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 같네요. 자녀들을 살뜰하게 챙기며 키우셨군요? ^^

페크pek0501 2017-12-17 13:40   좋아요 0 | URL
마고 님. 오랜만이십니다. 요즘 서재 활동이 뜸하신 것 같아 섭섭했는데 이렇게 댓글을 남기시니 반갑습니다.

묘비명이 속상한 건 저의 대한 애정 때문이겠지요?
저는 슬픈 죽음이 아니라 남겨진 자들이 웃으며 제 얘기를 할 수 있길 바라는 거예요. 묘비명이 참 재밌군, 이런 반응을 기대합니다.

으음~~ 마고 님의 시각은 남다르군요. 상담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하셔서 그런 것 같아요....ㅋ 제가 아이들을 챙겼던 그 마음이 부메랑이 되어 저에게 고스란히 되돌아옴이었군요. 잘 알겠어요. 이렇게 생각하고 나니 힘이 솟는군요. 후후~~ 또 봐요.
고맙습니다.

세실 2017-12-17 14: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깜쭉대다가는 님이랑 안어울리는데요^^ 네버!!
호호호 저랑 비슷하다니깐요.
우리는 애들은 제 우아함(?)을 인정하는데, 신랑이 인정을 안해요.
제가 시도때도 없이 방구를 뿡뿡 꾼다며....ㅎㅎ

페크pek0501 2017-12-17 22:16   좋아요 0 | URL
ㅋㅋ
아, 그거 우리 남편 때문이에요. 제가 발레 하러 간다고 하면 꼭 남편이 하는 말이
‘자빠지지 말고‘, 이러잖아요. 그래서 제 머릿속에 자빠지다가 입력이 되어 버려서 묘비명도 그렇게 된 거예요.(생각해 보니 그래요.)
우아한 세실 님이 가까이 살아야 롤 모델 삼아 저도 덩달아 우아해지는 건데... 힝힝...

앞으로 우아하게 살겠다, 생각하고 살겠어요. 우아한 페크가 되기를 소망하며... ㅋ

AgalmA 2017-12-18 06: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이고, 웃겨ㅋㅋ 똥 상상은 왜 하시는 건데요ㅎㅎ 전 상상 안 하고 그냥 맞을 랍니다. 상상보다 직접 겪고 말지ㅋㅋ

페크pek0501 2017-12-18 12:18   좋아요 1 | URL
정말 그래요. 상상하면 공포스러워요. 매는 먼저 맞는 게 좋다는 게 바로 그 무서운 상상력 때문이에요. 흐흐~~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