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주문한 책 <작가의 문장수업>이 오늘 도착했다. 알라딘 멋지네!
글쓰기에 대한 책을 그만 보자고 하다가 이번 책만 보자, 하면서 주문한 책이다. 아니다. 글쓰기에 대한 책은 무조건 봐야 해, 하면서 주문한 책이던가.
왜 어릴 때 ‘글쓰기 기술’을 몸에 익혀야 할까? 이것에 대한 답을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고가 후미타케의 설명은 이러하다.
..........
왜 어릴 때 ‘글쓰기 기술’을 몸에 익혀야 할까? 글쓰기는 생각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글쓰기 기술을 몸에 익히면 생각하는 기술이 몸에 배게 된다. 일이나 인생에서 곤란한 사건에 부딪혔을 때, 아무리 머리를 끌어안고 생각해도 제자리걸음일 뿐 제대로 된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런 고민을 문장으로 써 내려가다 보면 의외로 해답을 발견하게 된다. (...) ‘쓰기’라는 표현 작업은 생각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
글쓰기 기술이 몸에 배면 사물을 보는 눈이 바뀐다. 사고방식이 바뀐다. 그리고 분명히 세상을 보는 눈도 바뀐다.
고가 후미타케, <작가의 문장수업>에서.
..........
이 글을 읽고 나서 A 님과 B 님이 말한다.
..........
A : 저는 글을 쓸 때가 아니라 산책을 할 때 머릿속의 복잡했던 생각들이 정리가 됩니다. 어떤 문제에 대해 명쾌한 답을 얻을 때도 있고, 제가 해야 할 일과 해서 안 되는 일이 구분되어지기도 하고, 고민했던 '일의 순서'도 정해집니다. 그러니까 저자가 말한 대로 ‘글쓰기가 생각하는 행위’가 아니라 ‘산책이 생각하는 행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B : 그게 아니죠. A 님에게 글을 썼던 많은 시간이 없었다면 아무리 산책을 해도 그런 효과를 보기 힘들었을 거예요. A 님이 그런 효과를 본 것은 그동안 글쓰기를 하면서 훈련된 ‘생각의 과정’이 있기 때문이에요. 그러므로 저자의 말이 맞아요.
A : 아, 얘기가 그렇게 되는 건가요?
..........
참고로, 고가 후미타케는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이다. <미움받을 용기>는 한 번 손에 잡으면 놓을 수 없을 만큼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 이 책도 그러려나? 이번 책도 베스트셀러가 될 수 있으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