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개는 물지 않아요.’라고 말하지 않기 :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다 큰 개가 달려들어 깜짝 놀라며 무서워한 적이 있다. 엘리베이터 안에서 튀어 나온 개였다. 끈으로 묶여 있지 않아 무서워하는 내게 개 주인이 말했다. “이 개는 물지 않아요.”

 

 

내가 M. L의 집에 들어서자 그 집 개가 내게로 달려나와 짖어댄다. 내가 깜짝 놀라 뒤로 물러서자 M. L이 말한다. “뭘 그렇게 겁을 내?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는 걸 자네도 잘 알잖아.” 내 대답 : “나야 알지. 하지만 개도 그걸 알까?”

- 미셸 투르니에 저, <외면일기>, 32쪽.

 

 

"이 개는 물지 않아요.“라고 말하는 개 주인을 보면 답답하다. 내가 무서움을 느끼고 있는데 ‘개가 물지 않음’이 중요할까?

 

 

예를 들어 본다. 내가 숲 속을 지나가야만 하는데 밤이라서 무서움에 떨고 있다. 그럴 때 누군가가 말해 준다. “이 숲 속에선 귀신이 나오지 않아요.”라고. 이 말을 들었다고 해서 내가 무섭지 않을까? 그게 사실이라고 해도 나는 무서울 것이다. 여기서 귀신이 나오지 않을 거라는 사실이 중요한 게 아니다. 내가 무서워하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물지 않는 개’라는 사실이 중요한 게 아니다. 내가 무서워하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사람을 한 번도 물지 않던 개도 물 수 있다는 걸 티브이 뉴스를 통해 알고 있다. 어느 동네에서 누군가가 개에 물려서 병원에 실려 갔는데 개 주인이 말하기를, 여태껏 한 번도 사람을 문 적이 없는 개라는 것이다. 나도 어릴 때 개에 물려 본 경험이 있다. 그 개는 친구네 개였는데 나를 물기 전까지 한 번도 사람을 물어 본 적이 없는 개였다.

 

 

개 주인들은 알까? 개를 무서워하는 사람의 마음을.

 

 

(그런데 개를 끈으로 묶어 다니면 개가 불편하려나?)

 

 

 

 

 

 

 

2. 보이는 대로 보지 않기 : 며칠 전, 비가 곱게 내렸다. 비 오는 풍경이 아름다웠다. 그 풍경 속에서 나무들이 비에 흠뻑 젖어 갈증을 풀고 푸름을 빛내는 듯했다. 그러나 나무의 마음을 내가 어찌 알랴. 비의 첫 모금만 좋았을 뿐, 계속 비에 젖는 건 싫었을지도 모를 일.

 

 

나무들이 서로를 미워하며 저마다 공간과 빛을 독차지하려고 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숲 속에 들어가면 강제수용소 같은 증오의 분위기가 느껴지는 것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우리 집 정원의 모습이 달라진다. 어떤 나무들은 사라지고 어떤 나무들은 엄청난 크기로 자란다.

- 미셸 투르니에 저, <외면일기>, 18~19쪽.

 

 

우리 집에서 창밖으로 숲을 볼 수 있다. 내 눈엔 숲 속의 나무들이 이웃 나무들과 다정하게 모여 있는 것만 같은데, 이웃 나무들과 소곤소곤 정다운 얘기라도 나누고 있는 것만 같은데 그게 아니란 말이네. 내가 보는 숲과 다르다는 게 놀랍다. 나무들도 경쟁하다니.

 

 

"이해라는 것은 세계를 보이는 대로 보지 않을 때 비로소 시작된다.“라는 수전 손택의 말이 떠오른다. 이 말에 따르면 우리가 숲을 보이는 대로 보지 않을 때 숲에 대한 이해가 비로소 시작되겠다.

 

 

인간은 뭐든 보이는 대로만 보는 게 문제다. 자기 맘대로 해석하는 게 문제다. 그래서 사람들 사이에서 오해가 생기고 싸움이 생기기도 한다.

 

 

 

 

 

 

 

3. 마음을 안다고 확신하지 않기 : 오늘은 늦잠을 자도 되는 휴일인데 새벽에 눈이 떠졌다. 그래서 이 글을 쓴다. 아니다. 정확히 말해서 이사를 하느라 서재에 소홀했는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예전보다 방문자 수가 많아서 내가 성의를 다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싶은 마음에 이 글을 쓴다. 아니다. 그래서가 아니다. 방문자 수를 보니깐 새 글이 없어 허탕치고 돌아간 분들의 수인 것만 같아서 이 글을 쓴다. 아니다. 단순히 서재 관리 차원에서 이 글을 쓰는 건지도. 결과적으로 다 맞는 얘기다. 여러 이유가 있겠다. 인간이 하는 행동의 이유가 어찌 하나뿐이겠는가.

 

 

오늘 휴일이 아니었다면 이 글을 쓰지 않았다. 새벽에 눈이 떠지지 않았다면 이 글을 쓰지 않았다. 방문자 수가 많지 않았다면 이 글을 쓰지 않았다. 내가 성의를 다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싶은 마음이 없었다면 이 글을 쓰지 않았다. 허탕치고 돌아간 분들을 생각하지 않았다면 이 글을 쓰지 않았다. 서재를 관리할 생각이 없었다면 이 글을 쓰지 않았다. 그러므로 다 맞는 얘기라는 것이다.

 

 

지금 또 하나 생각났다. 이사로 인한 집 정리를 해야 하는데 그게 하기 싫어서 글을 쓰는 것. 이렇게 말하는 게 가장 진실에 가까운지 모르겠다. 말하자면 집 정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핑계거리로 글쓰기를 택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르는 일이다. 진짜 이유는 그러니까 가장 큰 이유는 내일 밝혀질지도 모른다. 혹은 그 이유가 며칠 뒤인 어느 날 산책을 하다가 불현듯 뇌리를 스칠지도 모른다. 내 경험에 따르면 어떤 일의 진실은 시간이 한참 지난 뒤에 밝혀질 때가 많다.

 

 

진실을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진실만을 말하며 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남의 마음의 진실을 헤아려 아는 게 가능할까?

 

 

 

 

 

 

 

4. 같다고 생각하지 않기 : 최근에 바보짓을 했다. 이 얘기를 글로 쓰면 멍청한 페크가 될 것 같아서 쓰지 않기로 한다. 친구에겐 전화로 말해 버렸다. “난, 왜 이렇게 바보 같니?”라고 말하면서. 그랬더니 그 친구가 하는 말, “그래도 바보짓을 해 놓고 바보짓을 한 것도 모르는 것보단 바보짓을 했다는 걸 아는 게 낫잖아. 그건 바보가 아니라는 거지.”

 

 

바보짓을 해 놓고 그게 바보짓이었다고 (똑똑히) 아는 바보가 여기에 있다. 바로 ‘나’다.

 

 

우리 마을 정육점 주인 : “투르니에 씨, 나처럼 진짜 당신을 잘 아는 처지라면 당신이 쓴 책 같은 것은 안 읽어도 되는 거죠, 안 그래요?”

- 미셸 투르니에 저, <외면일기>, 187쪽.

 

 

(아니죠. 읽어야 하죠. 당신이 만난 손님 투르니에와 작가 투르니에는 다르니까요.)

 

 

여러분이 알고 있는 페크와 나는 많이 다르다. 왜냐하면 이 서재에선 적어도 내가 한 바보짓에 대해선 쓰지 않으므로. 그래서 여러분은 내가 얼마나 바보짓을 하며 사는 사람인지 모르므로.

 

 

여러분이 페크에 대해 매긴 점수에서 30점쯤을 빼면 내 점수가 되지 않을까 싶다.

 

 

(혹시 페크에 대해 30점을 매긴 사람은 30점을 빼고 나면 빵점이 되려나. ㅋ)

 

 

 

 

 

 

 

5. 때론 현명하지 않기 : 내가 현명하지 않아서 좋다고 느끼기도 한다. 

 

 

인용 : “골프를 잘 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바보일 필요는 없지만 그것이 도움은 된다.”

- 미셸 투르니에 저, <외면일기>, 94쪽.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반드시 바보일 필요는 없지만 그것이 도움은 된다. - 페크

 

 

내가 바보이기 때문에 1992년부터 갖게 된 글쓰기 취미를 지금까지 갖고 산다. 다시 말해 내가 바보이기 때문에 별 소득이 없는 글쓰기에 에너지와 시간을 소모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서재 주인 페크로서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된 것이다.

 

 

때론 기꺼이 바보가 되리라.

 

 

앞으로도.

 

 

 

 

 

 

 

 

 

 

 

 

글감이 많은 책이다.

그만큼 생각할 거리가 많은 책이다.

그래서 이 책은 내게 좋은 책이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14-07-06 14: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호 충분히 인간적이신 페크님이 좋아요~~~
저도 울 딸은 개가 무서워 오돌오돌 떨고 있는데 '이 개는 물지 않아요'라고 말하는 사람이 젤 싫어요. 제발 개를 풀어 놓지 맙시다. (생각보다 많은 아이들이 강아지 자체를 무서워하더라구요^^)
바보 같은 짓이 뭘까? 문득 궁금하지만 참아야겠죠?
창문 밖으로 숲이 보이는 멋진 곳에 사시는 페크님이 부러워요~~~

페크pek0501 2014-07-07 11:19   좋아요 0 | URL
아휴~ 감사~
사람을 물지 않아요, 라는 말은 자기중심적인 말이죠. 무서워하는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했다면 혹시 개에 물린 적이 있어서 무서워하나?, 라고 생각할 수 있겠죠.

바보짓... ㅋㅋㅋ 세실 님을 언제 만나게 되면 제 바보짓을 말해 주겠습니다. 뭐, 제 친한 친구들은 다 아는 걸요...

부엌에 넓은 창이 있어서 얕은 산의 숲을 크게 볼 수 있어요. 거실에서 부엌으로 갈 일이 많은데, 그럴 때 저절로 그 숲이 그림처럼 들어오니 멋져요. 서울에 이런 아파트가 있다는 게 신기한데 사실 서울엔 의외로 산이 많답니다. 거실 쪽 창도 넓은데 아파트 마당이 보이고 푸른 나무들의 동산이 보입니다. 완전히 이 아파트에 반해 버렸어요.

둘째 애는 학교가 멀어졌다고 투덜댔지만 이젠 좋아하는 눈치예요. 그래봤자 학교까지 버스 타고 세 정거장만 가면 된답니다.

노이에자이트 2014-07-06 2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도 개와 비슷할 때가 있죠.평소 법 없이도 살 것 같은 사람이 끔찍한 살인자인 경우...주변 반응은 다 그렇죠.저렇게 얌전한 사람이...전에 사람을 한 번도 안 때렸는데...

사람 무는 개는 의외로 작은 개가 많아요.하긴 큰 개가 사람을 자주 물어뜯으면 큰 일이겠죠.

페크pek0501 2014-07-07 11:20   좋아요 0 | URL
누구나 자기가 키우는 개는 무섭지 않고 예쁘겠죠. 저도 작은 개는 예쁩니다만
큰 개가 달려오면 무서워서 스트레스를 받아요. 최소한 남에게 스트레스는 주지 말아야겠지요.

그래서 열 길 물속은 알아도~ 라는 말이 있는 거겠죠. ^^

노이에자이트 2014-07-07 16:27   좋아요 0 | URL
그건 스트레스보다는 그냥 무서움,공포겠네요.

저는 투견이나 군견을 잘 다루는 편입니다.개를 무서워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저의 그런 기술을 부러워하더군요.

개를 무서워한다면 개가 내게 무슨 해코지를 할지 열길 물 속보다 알기 어렵겠죠.사람과 똑같이...

페크pek0501 2014-07-08 11:52   좋아요 0 | URL
아, 님이 그런 기술이 있군요. 저도 부러운 걸요.
어떤 걸 표현하고 싶어서 개가 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예전에 저를 물었던 개도 어쩌면 저와 친해지고 싶어서 물었을 수도 있어요.
개는 말을 못하니까요. 그런데 저는 그 개가 큰 편이라 무서웠답니다.

어쨌든 개를 키우는 분들은 개를 무서워하는 분들을 잘 헤아렸으면 좋겠어요.

stella.K 2014-07-06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니는 저에겐 130이어요.ㅎㅎ
오래 전 미셀 투르니에 단편을 읽은 적이 있는데
정말 대단하다 생각했어요. 그래서 언제고 이 사람의 책을 읽어보리라
마음 먹었는데 여태 못 읽고 있어요.ㅠ
언니는 참 책을 알뜰하게 읽으세요. ^^

페크pek0501 2014-07-07 11:21   좋아요 0 | URL
어머낫! 130점이나요? ㅋㅋ 고마워요.

책을 많이 읽지는 못해요. 그 대신 책 잡았다 하면 끝장을 내죠. 다독 아닌 정독을 해요. 책을 읽을 땐 씹어 먹으려고 해요. 책값이 아까워서라도...



2014-07-07 1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08 11: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08 14: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10 20: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14-07-07 1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늘상 바보짓을 하고 사는 바부탱이라 끄덕끄덕 ㅎㅎ
페크님이랑 동족인가 봐요.
저는 50점 빼고 봐주세요^^

페크pek0501 2014-07-08 11:41   좋아요 0 | URL
님도 그런 생각을 하셨군요. 50점이나요? 저만 그런 생각을 하는 게 아니군요. 동족을 만나서 반갑습니다.

갈수록 바보가 되는 느낌입니다. 하하~~

마녀고양이 2014-07-07 1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니, 요즘 제 자동적 사고에 대해서 생각 중이예요.
많이 힘든 부분들이 있어서요. 어떤 상황이 생길 때 사실이 아님에도 경험적으로 생겨나는 생각들, 어릴 때부터 형성된 생각들을 자동적 사고라고 한답니다. 그것들은 지독히도 저를 괴롭히네요.

페크pek0501 2014-07-08 11:48   좋아요 0 | URL
자동적 사고...
마고 님은 생각이 많으셔서 그런 게 아닐까요? 제가 이 나이가 되어 내린 결론은...
생각이 많을 필요가 없다는 것, 예민해서 좋은 것보단 나쁜 게 더 많다는 것, 입니다.
대충 살기, 이게 저의 바람이 되었답니다. 그저 하루하루 즐겁게 행복하게 그리고 남에게 좋은 일도 하면서 그렇게 보내면 되는 것 같아요.
잡념을 없애기 위해선 많이 움직이기, 가 좋아요. 어제 친구가 왔었는데 월수금은 탁구를 치러 다닌다고 해요. 그랬더니 잠을 푹 자서 좋더랍니다. 정신도 분산되어 덜 고민하게 된다고 해요. 저의 경우엔 하루 한 시간 걷기를 하는데 정신 건강에 좋은 것 같아요. 걸으면서 두뇌 속 스트레스가 빠져 나가는 걸 느끼거든요.
생각이 많은 건 좋은 건데 몸 건강에 해로울 수 있어요.

지혜롭게 대처하시길 믿어요. 또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