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6펜스>라는 소설에 이런 글이 있다.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이 얼마나 모순에 찬 것이며 성실한 사람에게도 얼마나 많은 위선이 숨겨져 있고 고결한 정신 속에서도 얼마나 많은 비열함이 숨어 있고, 또 사악한 마음속에는 얼마나 많은 선량함이 깃들여 있는가 등을 그 무렵의 나는 아직 모르고 있었다.

 

 

- 서머싯 몸 저, <달과 6펜스>, 51쪽, 소담.

 

 

 

이것을 이렇게 바꾸어 볼 수 있겠다.

 

 

<어떤 사람이 성실하다는 것은 어느 부분에서만 그렇다는 것이고, 고결하다는 것은 어느 부분에서만 그렇다는 것이며, 불량하다는 것은 어느 부분에서만 그렇다는 것이다.>

 

 

내가 아는 사람들 중엔 하얀 색의 수건을 걸레로 사용하는 주부가 있다. 그 집에 가면 걸레가 얼마나 깨끗한지, 걸레인지 행주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다. 하얀 걸레를 매일 빨아서 삶기 때문이다. 그런데 걸레만 보고 그 집의 청결 상태를 판단해 버리면 안 된다. 화장실에 가 보면 바닥에 머리카락이 떨어져 있기가 예사였기 때문이다. 화장실 청소는 자주 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 이런 주부도 있다. 방 청소보다 화장실 청소를 더 열심히 하는 사람으로, 자기는 바쁠 땐 방 청소를 생략하지만 화장실은 매일 청소한다고 한다. 집에서 화장실의 청결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이란다.

 

 

결론은 청결하다는 것은 어느 부분에서만 그렇다는 것.

 

 

이런 사람도 있다. 살림을 알뜰하게 하는 어떤 사람은 돈이 아까워 택시를 타는 일이 전혀 없을뿐더러 마당의 화초에 주는 물도 아까워 빗물을 받아 놨다가 화초에 물을 준다. 그런데 그는 여행을 다니며 쓰는 비용에 대해선 전혀 아까워하지 않아 사계절마다 여행을 다니며 돈을 쓴다.

 

 

결론은 알뜰하다는 것은 어느 부분에서만 그렇다는 것.

 

 

나의 경우, 결벽증이라고 할 만한 버릇이 하나 있다. 책장에서 책 한 권을 뽑아서 보려 할 때 키친타올에 물을 적셔서 책의 겉면을 앞뒤로 닦은 뒤에 책을 보는 것이다. 먼지를 닦고 보기 위해서다. 이런 버릇은 책을 만진 손이 더럽다고 느낀 경험에서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책을 닦아서 보는 게 좋은 버릇이라고 여기지는 않아서 애들이 보는 앞에서는 절대 하지 않고 애들 몰래 닦는다. 애들이 나를 닮는 건 싫기 때문이다.) 이런 결벽증이 있다고 해서 모든 면에서 청결할 것이라고 보면 오산이다. 청결하지 않을 때가 많기 때문이다. 가령 텔레비전이나 전화기에 먼지가 뽀얗게 앉아 있는 걸 보면서도 닦지 않을 때가 많다.

 

 

결론은 결벽증이 있다는 것은 어느 부분에서만 그렇다는 것.

 

 

흔히 사람들은 일부만 보고도 전체를 미루어 안다는 뜻으로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말하지만 이는 틀린 말인 것 같다. ‘열을 알고도 하나를 모르는 게 인간이다.’라는 말이 오히려 맞는 것 같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ren 2013-10-30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때는 이렇게, 저때는 저렇게' 가볍게 이는 바람에도 마구 이리저리 움직이는 게 사람의 마음이니,'사람'을 알기가 얼마나 어려울지요...

* * *

내 의지와 사유는 이때는 이렇게, 저때는 저렇게 움직이며, 그 중에도 많은 움직임은 나 없이도 되어 간다. 내 이성에는 매일 돌발적인 충동과 동요가 있다.

심령의 모양은 변한다.
그리고 그들의 가슴속은 이때는 이 생각,
한 가닥 회오리바람이 구름을 밀고 가면,
그때는 다른 생각을 품게 된다. (베르길리우스)

- 몽테뉴, 『몽테뉴 수상록』 중에서

페크pek0501 2013-11-01 12:35   좋아요 0 | URL
오렌 님, 매일 돌발적인 충동과 동요가 있다, 라는 말이 와 닿아요.
인간이란 어제의 생각과 오늘의 생각이 달라서 변덕쟁이일 때가 많지요.
그래서 일관성 없는 사람이 되기도 하고요.
아, 사진 구경하러 가겠습니다. 님이 본 가을 풍경이 궁금하군요. ㅋ

stella.K 2013-10-30 15: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이 편견의 존재긴 하죠. 근데 어떤 건 맞는 경우도 있는 것도 같구...
아니면 그런 말로 상대를 제압하려고 하는 심리도 있는 것 같아요.ㅋ
아, 달과 6펜스 어렸을 때 정말 재밌게 읽었는데
지금쯤 다시 읽으면 어떤 느낌일까요? 읽었던 책을 다시 읽고 싶은 책 몇 권 안 되지만
그 중 하나죠. 다시 읽을 날이 올지 모르겠지만...ㅠㅠ

페크pek0501 2013-11-01 12:36   좋아요 0 | URL
애태커스 님, 저는 이 책을 여러 번 읽고 싶은 책으로 정했어요.
오래 전, 소담 출판사의 책으로 읽었는데 다시 펼쳐 봤더니 좋은 글이 많더라고요.
그런데 글씨가 작더라고요. 그땐 몰랐는데...
그래서 민음사의 것으로 동네 서점에서 샀답니다.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작은 글씨의 책은 읽지 않으려 해요. ^^



yamoo 2013-11-01 1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런 글을 사랑해마지 않습니다요^^ 가차없이 추천을 날릴 수밖에 없는 글입니다!ㅎㅎ

근데, 문예출판사와 민음사 표지를 모두 고갱의 자화상을 택했군요! 왜 그랬는지 갑자기 궁금증이 커지네욤~^^ 고갱과 몸....뭔 관계가 있을까요? 고갱 전기를 보니, 책에 단 한줄도 서머싯 몸과의 언급도 없던뎅~

페크pek0501 2013-11-02 12:55   좋아요 0 | URL
아, 그렇군요. 저는 이 글의 추천 수가 왜 높은지, 의아하게 생각했습니다요.
추천 수를 보고 깜짝 놀랐다는...ㅋ
바로 야무 님처럼 생각하시는 분들의 추천 수???

이 소설은 폴 고갱을 모델로 한 소설로 유명하지요.
서머싯 몸이 고갱의 생애를 연구하기 위해 떠난 여행에서, 이 책의 줄거리를 구상했다고 하네요. 아마 서머싯 몸이 고갱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모양이에요. 그의 화가로서의 천재성이 흥미로웠을 듯해요.

아무튼 재밌는 소설이에요. 명작 중엔 지루한 소설이 많은데, 이 소설은 그렇지 않답니다. 저는 아무리 명작이라도 유익하다고 해도 재미없으면 점수를 주지 않습니다. ㅋㅋ

yamoo 2013-11-03 22:19   좋아요 0 | URL
오! 그랬었군요~ 고갱을 모델로 한 소설이라니...전 제목만 알고 내용은 전무~ 알라딘 중고서점에 눈에 띄면 얼른 사야겠어욤! 지루하지 않다니, 우와~ 브라보!!

페크pek0501 2013-11-05 13:11   좋아요 0 | URL
아, 모르셨군요. 줄거리도 재밌지만 그보다도 화자의 설명 중에 인간의 내면을 통찰하는 글이 많아 저로선 흥미 있게 읽을 수 있는 소설입니다. 그래서 두 번째 읽고 있어요. ^^


마녀고양이 2013-11-02 15: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을 무엇으로 정의하지 않는다면
불안하니까....... 그래서 우리는 이것은 A이다, 저것은 B이다 라고 정의하고 싶은가봐요.

실은 혼란덩어리에 수많은 조각에 모순이 내재되어 있는게 인간인데,
그렇게 자신을, 타인을 수용하기가 왜 그리 어려워 방점을 찍으려 할까 싶어지기도 해요.
불안하니까... 모호한 것은, 파악할 수 없는 것은,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 몰라서 불안하니까
그래서 정의하려는 것이다... 라는 생각도 들구요.

저에게 누군가
당신은 이런 사람이야 라고 말하면 참 기분이 불편해져요.
난 그런 면만 있는게 아니야 라고 늘 항의하고 싶어져요, 칭찬에 대해서조차도.

페크 언니, 잘 지내시죠~ 늦가을이네요.

페크pek0501 2013-11-05 13:17   좋아요 0 | URL
잘 지낸답니다. ㅋ
우리가 하는 말의 대부분이 이미 책에 나와 있는 내용일 거라고 생각해요.
불안하니까 정의하려는 것이다, 라는 말조차도요...
이 하늘 아래 새 것이란 없는 것이죠. 반복, 재탕, 약간의 변주곡이 있을 뿐이에요.
제가 쓴 위의 글도, 저 주제로 제가 설마 최초로 썼겠습니까. 다만 제가 책에서 본 적이 없으니 저 나름대로 쓸 수 있을 뿐이죠. 인간의 느낌이나 생각은 다 거기서 거기 아니겠습니까.

늦가을이라니, 이제 초겨울로 접어들겠군요.
좋은 시간 보내세요, 마고님... 반가웠어요. ^()^

노이에자이트 2013-11-03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머싯 모옴 시대가 되면 디킨스 식의 인물 설정은 구식이 되죠.이른바 전형성을 내세우는 인물은 현실성이 없다는 겁니다.악한 사람도 어느 구석엔 착한 성격이 있고, 그 반대도 있고...그게 맞죠.강력계 형사들에 의하면 아무리 흉악범이라도 착한 일을 조금씩은 한답니다.그러면서 흉악범 스스로도 위안을 삼는다고 하죠.나도 착한 성격이 있다고...하면서.

페크pek0501 2013-11-05 13:24   좋아요 0 | URL
아, 그렇군요. 형사들이 그런 말을 했군요.
이분법적으로 어떤 전형의 인물로 나누어 쓴 소설보다는 양면성을 가진 인물을 그린 소설이 더 현실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어요.
또 한 사람이 각기 다르게 평가되는 점도 흥미로운 점이에요.

이번에 두 번째로 책을 읽으면서 서머싯 몸이 이렇게 글을 잘 쓰는 작가인지
새삼 놀라고 있어요. 사실 처음에 읽었을 땐 줄거리에만 반했는데,
이번에 읽으면서는 인간을 꿰뚫어 볼 수 있는 탁월한 능력에 반했답니다.
고전소설이 이 정도면 문학성뿐만 아니라 대중성까지 확보한 게 아닐까 싶어요.
기회 있으면 <달과 6펜스>를 페이퍼로 소개해 올리겠습니다.
반가웠습니다. ^^

노이에자이트 2013-11-06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몸의 소설은 내용이 명료해서 좋은데 중편소설 <비>를 읽어보면 선교사의 자살동기가 뭔지 해석이 다양해요.혹시 안 읽었으면 한번 읽어보세요.몸은 중단편도 읽을 만해요.

페크pek0501 2013-11-06 08:58   좋아요 0 | URL
<비>는 읽어 보지 못했어요. 찾아 볼게요.
몸의 소설은 무엇이든 다 읽고 싶어요. 내용도 문장도 맘에 듭니다.
인간을 통찰하는 능력이 탁월한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