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사의 마음으로 새해를 맞는다 : 한 해가 끝나고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해가 바뀔 때마다 늘 마음에 어떤 아쉬움이 담긴다.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 때문일까. 여느 때와 다른 감회로 마음이 들썽거리기도 한다. 또 그렇게 한 해가 갔구나, 하면서. 왜 그렇게 시간이 빠르게 가는 걸까, 하면서.
돈을 벌고, 책을 읽으며 글을 쓰고, 살림을 하고, 이 세 가지를 하면서 일주일을 보내는데, 그러면 세상은 일주일의 단위로 돌아간다고 느껴진다. 이 세 가지 중에서 가장 즐거웠던 일이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일’이었다. 특히 글을 지속적으로 쓰게 된 것은 책을 읽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으므로 책과 함께한 시간들은 내게 아주 소중한 시간들이었다. 책이 있었기에 이곳 서재를 가질 수 있었다. 서재를 가져서 1)매일 똑같은 뻔한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니 감사할 일이다. 2)이웃 서재 님들의 글을 읽으며 많이 배울 수 있었으니 감사할 일이다. 3)이웃 서재 님들과 소통하며 정서적 교감을 나눌 수 있었으니 감사할 일이다. 이런 감사의 마음으로 새해를 맞는다.
2. 책과 연인의 공통점 : 흔히 새 연인에게 끌리는 것은 지금의 연인의 단점을 새 연인은 갖고 있지 않으며 또 지금의 연인에게 없는 다른 매력이 그에게 있어서다. 아직 서로를 잘 모르는 새 연인에겐 단점은 보이지 않고, 그저 장점만 부각되어 눈에 띄어서다. 오직 새 상대에 대해 갖는 아름다운 환상으로 인해 신비롭게 느껴져 설렘만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연인’을 ‘책’으로 바꿔 써도 무방하리라. 새로 갖게 되는 책은 늘 셀렘이란 그림자를 달고 나타나기 마련이다.
3. 새해에 첫 번째로 설렘을 준 책 : 새해에 첫 번째로 설렘을 준 책은 다산의 책이다.
정약용 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비
정약용 저, <정선 목민심서>, 창비
다산의 책은 여러 출판사에서 다양하게 출간되어 고르기가 힘들었는데, 책을 받고 보니 두 권 다 탁월한 선택을 한 것 같다. 역시 창비 출판사는 믿을 만하다.
사실 이 두 권의 책은 내가 구입한 게 아니라 서재의 ㄱ 님으로부터 선물을 받은 것이다. 얘기하자면 이렇다. 알라딘에서 해마다 각 서재에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댓글을 남긴 다섯 명을 알려 주는 게 있는데, 그 다섯 명 안에 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ㄱ 님이 그 다섯 명에게 감사의 뜻으로 책을 선물하겠다며 두 권의 책을 고르란다. 비밀댓글로 책의 제목과 주소와 이름을 적으라고 해서 그렇게 했더니 두 권의 책이 내 손 안에 들어왔다. (다시 말해 내가 좋은 일을 했더니 복을 받았다는 얘기다.)
선물을 받은 두 권의 책을 열심히 읽어서 좋은 페이퍼를 쓰기로 하겠다. (될지 모르겠지만, 두 권의 책으로 좋은 페이퍼를 쓰고 싶다.)
마음 좋은 ㄱ 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4. 새해에 갖는 마음가짐 : 2013년에 갖는 마음가짐을 위해 혜민 스님의 글에서 뽑았다.
....................
“혜민 스님, 장차 법정 스님처럼 큰스님 되세요.” “네, 감사합니다. 하지만 전 법정 스님이 아닌 혜민 스님이 되고 싶어요.” “누구처럼 되기 위해 살지 마세요. 하나밖에 없는 오직 내가 되세요!”(95쪽) - 오직 자신이 되라는 말.
“이 세상 최고의 명품 옷은 바로 자신감을 입는 것입니다.”(154쪽) - 자신감을 가지라는 말.
“사람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은 옳은 말보다는 그 사람을 향한 사랑과 관심입니다.”(157쪽) - 사랑과 관심이 중요하다는 말.
“성숙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내 앞에 있는 분 역시 나와 마찬가지로 행복을 추구하는 똑같은 사람이라는 생각으로, 가끔은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도 내려놓을 줄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잊지 마십시오. 내가 옳은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우리가 같이 행복한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225쪽) - 같이 행복하라는 말.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오직 자신의 부족함을 잘 아는 사람과 잘 모르는 사람만이 있을 뿐입니다.”(231쪽) - 자신을 잘 알라는 말.
....................혜민 저,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에서.
좋은 글을 발견하면 필사를 하든지 암기할 정도로 여러 번 읽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혜민 스님의 글은 저절로 여러 번 읽게 만든다.
5. 이런 생각으로 글을 쓰겠다 : 누군가가 내게 어떤 글을 쓰고 싶은가, 하는 질문을 한다면 사유가 깊은 글을 쓰고 싶다고 대답하겠다. 그런데 사유가 깊은 글을 쓰려면 ‘삶의 통찰’이라는 관문을 통과해야만 한다. ‘삶의 통찰’이란 게 쉬운 일이 아니어서 많은 공부가 필요할 것이다.
어디서 읽은 글이다. “태양을 향해 쏜 화살은 그 태양을 맞히지는 못하겠지만, 해바라기를 향해 쏜 화살보단 더 멀리 간다.”
이것을 내가 재구성하여 이렇게 쓴다. “태양을 향해 쏜 화살은 태양에까지 갈 순 없지만 화살을 쏘지 않았을 때보단 태양 가까이 간다.”
태양을 향해 화살을 쏘는 것. 이런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하며 글을 쓰겠다, 2013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