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싯 몸, <서머싯 몸 단편선 2>
단편 ‘탈출’(170~176쪽)에서 발췌함.
어떤 여자가 어떤 남자와 결혼하기로 일단 결심했다면 그 남자가 살길은 당장 도망치는 것뿐이다. 이것에 대한 나의 확신은 변한 적이 없지만, 이 방법이 항상 통하는 것은 또 아니다. 한번은 내 친구가 어렴풋이 도사린 그 사악한 위험을 감지하고 어느 항구에서 무작정(직면한 위험과 즉각적 대응의 필요성을 절감한 터라 달랑 칫솔만 들고) 배에 올랐다. 이후 세상을 여행하며 일 년을 보냈지만, 이제는 안전하겠거니 마음을 놓고(“여자들은 변덕스러워. 게다가 열두 달이나 지났으니 나를 까맣게 잊었을 테지.”) 배에 올랐던 그 항구에 발을 내딛자마자 부둣가에서 그를 향해 열렬히 손을 흔드는 사람을 보았으니, 그가 피하려 했던 그 여자였다.(170쪽, ‘탈출’에서)
⇨ 사귀고 나서 자기에게 1년간 연락 없이 지낸 남자에게 열렬히 손을 흔드는 여자가 있다니 놀랍다. 1년간이나 연락 없이 안 보고 지낼 수 있는 남자라면, 그는 상대편 여자를 사랑하는 게 아니다. 이 단순한 진리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실제로 이런 일이 있다면, 여자는 남자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아 떠났다는 걸 알면서도 다시 잘해 보겠다는 마음으로 상대를 반기는 것인지 모른다. 그런데 다시 잘해 보겠다는 것이 성공할 가능성은 낮다. 왜냐하면 떠난 사람은 떠날 만한 이유가 있어서 떠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떠난 이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다른 사람을 만날 생각을 하는 것이 현명하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으니 상심할 필요는 없다.
소설 속 남자는 결국 기발한 아이디어로 여자가 스스로 물러나게 만든다. 그래서 소설 제목이 ‘탈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