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13에 작성된 페이퍼에서 슬픔과 관련한 문제를 냈습니다. 



답은 몽테뉴의 <에세 1>에 있습니다.  



(프랑스 왕공들 중 한 분인) 그분은 체류 중인 트렌토에서, 온 집안의 지주요, 영광이었던 맏형의 사망에 연이어 두 번째 희망이던 아우의 사망 소식까지 듣게 되었다. 이 두 번의 애사를 감탄스러우리만큼 의연하게 견딘 그가 며칠 뒤 자기 수하 중 하나가 죽게 되자 이 마지막 참사에는 완전히 넋을 잃고 말았다. 이전의 꿋꿋함은 간데없이 어찌나 슬퍼하고 원통해하던지, 어떤 이들은 이 마지막 충격만이 그의 급소를 찌를 수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사실인즉 이미 슬픔으로 꽉 차서 넘칠 지경이었기 때문에 별것 아닌 일 하나라도 더 얹히자 인내의 방벽이 무너지고 말았던 것이다.(46~47쪽)




몽테뉴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 생각에) 우리 이야기도 그렇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야기에서, 캄비세스가 프사메니투스에게 아들과 딸의 불행에는 미동도 않다가 친구의 불행에는 그토록 참을 수 없어 하는 까닭을 묻자, 그가 “마지막 불행만이 눈물로 표할 수 있는 것이었고, 앞의 두 불행은 표현 가능한 모든 수단을 한참 넘어서는 것이었기 때문이요.”라고 대답했다고 덧붙이고 있지 않다면 말이다.(47쪽)




이피게네이아의 희생 장면을 그릴 때, 그 아리따운, 죄 없는 소녀의 죽음에 대해 각자가 기울이는 관심의 정도에 따라 참관자들의 고통을 묘사해야 했던 고대 화가가 생각해 낸 것도 아마 이 주제와 연관되리라. 자기 기교의 마지막 역량까지 다 짜낸 그는 소녀의 아버지 차례가 되자, 어떤 모습으로도 그 같은 슬픔을 표현할 수 없다는 듯 얼굴을 가린 모습으로 그렸다.(47쪽)




페트라르카의 말.


얼마나 뜨거운지 말할 수 있는 자는 그다지 뜨겁지 않은 불 속에 있는 것

페트라르카

(49쪽) 


⇨ 슬픔으로 말하면 얼마나 슬픈지 눈물로 표현할 수 있는 자는 그다지 슬프지 않은 것이고, 큰 슬픔은 무엇으로도 표현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세네카도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작은 슬픔들은 말하고, 큰 슬픔은 침묵한다.

세네카

(50쪽) 




마찬가지로 뜻밖의 기쁨도 우리의 얼을 빼놓는다.(50쪽)


자기 아들이 칸 전투에서 무사히 돌아오는 것을 보고 너무 기뻐하다 죽은 로마 여인, 기쁜 나머지 죽음으로 건너간 소포클레스와 참주 디오니시우스, (중략) (50쪽)

















미셸 드 몽테뉴, <에세 1>




몽테뉴는 이 책에서 큰 슬픔을 느꼈을 때 인간의 반응에 대하여 “이미 슬픔으로 꽉 차서 넘칠 지경이었기 때문에 별것 아닌 일 하나라도 더 얹히자 인내의 방벽이 무너지고 말았던 것”보다 “마지막 불행만이 눈물로 표할 수 있는 것이었고, 앞의 두 불행은 표현 가능한 모든 수단을 한참 넘어서는 것이었기 때문”이라는 것에 더 무게를 둡니다. 



결론은 매우 슬프거나 매우 기쁘면 인간은 넋이 나가고 몸이 굳어져 버린다는 것. 어떤 사람은 큰 슬픔이나 큰 기쁨을 견디다 못해 실신까지 한다는 것.



너무 슬프면 눈물도 안 나온다는 말을 예전에 들은 적이 있습니다. 세네카가 말했듯이 큰 슬픔은 침묵하게 되나 봅니다.



“이미 슬픔으로 꽉 차서 넘칠 지경이었기 때문에 별것 아닌 일 하나라도 더 얹히자 인내의 방벽이 무너지고 말았던 것”이라는 말도 옳은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2번과 3번으로 하겠습니다.



 

* 문제의 답을 댓글에 쓰신 분들은 슬픔에 관해 깊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으므로 그 ‘유익한 시간’이 상품이 되겠습니다. 문제를 낸 제 덕분에 답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ㅋㅋ




....................<후기>


큰 슬픔에는 침묵한다는 세네카의 글에 동의할 수 없는 분들을 위해서 추가로 씁니다.


위의 글은 부모가 자식의 죽음을 처음 알았던 순간에 대해 말하는 것입니다. 큰 충격을 받았던 첫 순간인 거죠. 큰 충격으로 침묵하게 되는 수가 있다는 걸로 해석하면 좋을 듯합니다. 실어 상태가 될 수도 있겠지요. 물론 이들도 시간이 지나면 울겠지요. 제 생각입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22-09-15 13:1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페크 님, 저도 저 대목에서 참 공감되었어요.
슬픔도, 기쁨도, 분노도 그렇습니다.행복도 불행이라는 느낌도요.
임계점을 넘겨야 터져나오는 것이지만 그마저도 넘게 되면
또다른 경지에 이르는듯요. ^^

페크pek0501 2022-09-15 16:37   좋아요 3 | URL
경험한 자만이 알 수 있는 경지에 이를 것 같습니다. 뭐든 경험해 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듯요.
소설을 쓰고 시나리오를 쓰는 분들이 어느 부분은 상상력을 동원해 쓰겠지요. 그 점이 존경스럽습니다.
인간에 대해 잘 알아야 쓸 수 있겠다는 점에서요.^^

mini74 2022-09-15 17:0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유익한 시간이란 상품 참 마음에 듭니다 페크님..그러고보면 나이가 들면서 질문을 받을 기회도 점점 줄어드는거같아요. 그러니 생각하고 답할 기회도 당연히...저는 너무 큰 슬픔은 실감도 나지 않고, 부정하게 되는 거 같아요. 울면 기정사실이 되어버릴까봐, 슬퍼하면 인정하는게 되니까요. ..

페크pek0501 2022-09-15 17:13   좋아요 2 | URL
맨 마지막 줄에 쓰신 댓글. 그런 걸 잘 정리해 놓으시면 좋을 듯합니다, 그런 게 인간 관찰기, 인 듯해요.
신기한 존재입니다. 인간이란...^^

서니데이 2022-09-16 22:0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사람이 이해할 수 있고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다음부터는 감당할 수 없는 크기라서 받아들이기가 어려울거예요.
사람마다 그 범위는 다를 수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범위라는 것도 있긴 하겠지요.
경험하지 않았지만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려는 마음도 있었으면 좋겠고요.
페크님, 밖에 비옵니다. 즐거운 주말과 기분 좋은 금요일 되세요.^^

페크pek0501 2022-09-17 14:20   좋아요 3 | URL
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타인의 고통을 생각하는 마음을 갖는다면 스토킹에 시달리는 사람도 없을 텐데 말이죠.
요즘 일어나는 사건을 보면 안타깝습니다.

그러고 보니 오늘이 토요일이군요. 하루는 더디게 가지만 일주일은 빨리 가는 것 같습니다. 굿 데이~~~

서곡 2022-09-21 17:1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 부분과 관련하여 전에 제가 읽은 글이 있는데요. 제 페이퍼에 담아 놓았습니다~

서곡 2022-09-22 12:28   좋아요 1 | URL
문학평론가 신형철 교수가 칼럼으로 쓴 글인데 그의 단행본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에 수록되어 있어요

페크pek0501 2022-09-22 13:14   좋아요 1 | URL
아, 서곡 님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서곡 님의 댓글을 보고 생각났어요. 신형철 님의 그 책을 갖고 있거든요. 아마 저도 밑줄을 쳐 놨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잊고 있었어요. 왜냐하면 몽테뉴의 위 글은 오디오로도 많이 들었던 것이라 익숙했거든요. 예전에 ebs 방송의 오디오로 들었어요. 그것도 반복해서 들었었지요. 남녀 성우 두 분이 읽어 주는 거였어요. 이것만 생각났었어요. 감사합니다. 저도 책을 찾아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