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독서 목록에 따르면) 2004년에 읽었고 이번에 재독하였다. 예전에 읽을 땐 발견하지 못한 것을 이번에 깊이 음미할 수 있었던 게 재독의 수확이었다. 첫 문단에서부터 인물 묘사가 뛰어난 작가임을 알았다. 읽다 보면 군데군데에서 만날 수 있는 풍경 묘사도 탁월해서 문장력을 키우고 싶은 이들이 필사해 보면 좋을 작품으로 꼽겠다.
이 책 한 권을 필사한다면 여러 권의 소설을 읽는 것보다 유익하리라고 생각한다.
주인공 한스의 아버지를 묘사하는 글을 밑줄긋기 박스에 넣어 봤다. 요즘 이런 글을 읽는 재미에 빠졌다.
다음 글을 열 번쯤 읽은 것 같다.
(7쪽) 요제프 기벤라트 씨는 중개업과 대리업을 했다. 다른 마을 사람들에 견주어볼 때, 그에게는 장점이나 특성이랄 것이 없었다. 여느 사람처럼 그는 넓은 어깨에 건장한 체격을 지니고 있었다. 어지간한 장사 수완을 지닌 그는 황금을 숭배하는 솔직하고 성실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7~8쪽) 그의 종교 의식은 약간 개방적이기는 했지만, 겉치레에 지나지 않았다. 신(神)과 관료주의에 대해서는 적절한 존경심을 표하였고, 시민적인 예의범절의 확고한 불문율에 대해서는 비굴할 정도로 맹목적인 복종심을 보였다. 그는 가끔 술을 마시기는 했지만, 한 번도 취한 적이 없었다. 때로는 의혹의 눈초리를 받을 만한 일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결코 형식적으로 허용되는 한계를 넘어서지는 않았다.
(8쪽) 그의 내면 생활은 속물적이었다. 그가 지녔던 정서(情緖)는 이미 오래전에 먼지가 되어버렸다. 낡고, 우악스럽기만 한 가족 의식과 자기 아들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이따금 가난한 사람들에게 베푸는 즉흥적인 자선, 이러한 것들이 겨우 그의 정서의 가장자리를 메우고 있었다. 또한 그의 정신적인 역량은 엄격하게 한계가 그어진 타고난 교활함과 계산적인 술책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가 읽는 것은 신문뿐이었다. 그의 예술 감상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는 해마다 개최되는 시민 단체의 소인극(素人劇)과 가끔 열리는 서커스 공연이면 충분했다.
(8~9쪽) 그가 이웃의 어느 누구와 이름이나 집을 바꾼다 하더라도 무엇 하나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그의 영혼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부분, 즉 우월한 힘과 인물에 대한 끊임없는 불신감, 그리고 일상적이지 않은, 보다 자유롭고 세련된 정신 세계에 대한 본능적인 적대감에 있어서 그는 그 도시의 다른 모든 가장들과 다를 바 없었다. 그의 적대감은 옹졸한 질투심에서 싹튼 것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