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런 게 행복이었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올봄에는 꽃놀이를 갈 수가 없었다. 게다가 마스크를 쓰고 다녀야 해서 답답하여 내가 좋아하는 걷기도 즐겁지만은 않았다. 한마디로 올해엔 봄이 주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 채 여름이 와 버렸다.
계절을 만끽하는 것. 그런 게 행복이었네.
2. 날씨
6월인데 벌써 덥다. 일기 예보에 따르면 이번 주에 비가 온다고 한다. 산불 조심을 해야 할 정도로 너무 건조했는데 비 소식을 접하니 반갑다. 꽃들과 나무들이 목마를 것 같았는데 비가 내려 물을 실컷 먹을 수 있기를, 그리고 비가 세상의 먼지를 깨끗이 씻어 내기를 바라게 되네.
날씨가 내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가 된 지 오래다. 미세먼지가 없던 시절엔 날씨가 중요한지 몰랐더랬다.
3. 글에 관하여
좋은 글을 쓰고 싶다면 자신에 관하여 글을 쓰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따지고 보면 무엇에 대해 쓰든 자기와 관련 없는 글이 있던가. 어떤 문화에 대해 칼럼을 썼다면 그것은 그 문화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썼을 테니 결국 자신과 관련한 글을 쓴 것이다. 어떤 주제로 소설을 썼다면 본인이 강조하고 싶은 주제로 썼을 것이니 역시 자신과 관련한 글을 쓴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 하나. 자기 경험을 글로 쓰더라도 글과 필자와의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
4. 오디오북
한때 팟캐스트를 즐겨 들었다. 무료로 들을 수 있어 좋았다.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이동진의 빨간책방‘, ’EBS 오디오북‘, ’EBS 낭독 a’, ‘고막친구 팟빵’ 등을 들었다.
그러다가 더 이상 새로운 게 없어 오디오북을 구매하기 시작했다. 안톤 체호프의 <사랑에 관하여>는 7시간 16분 동안 듣는 것으로 6,300원, 막스 뮐러의 <독일인의 사랑>은 3시간 36분 동안 듣는 것으로 7,020원, 니콜라이 고골의 <광인일기>는 단편 소설이라 1시간 9분으로 900원에 구매했다.
오디오북 중 어떤 것은 책 전체를, 어떤 것은 요약본을, 어떤 것은 단편소설 하나를 낭독하는 걸로 구매할 수 있다. 나는 요약본 낭독보다 전체 낭독을 선호하는 편인데 특히 소설은 무조건 전체 낭독을 하는 걸로 구매한다. 에세이는 요약본도 괜찮은데 그 이유는 만약 50편의 에세이가 실린 책이라면 그중 좋은 걸 골라 20편쯤을 낭독해 주어서다.
오디오북으로 듣고 종이책을 사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오래전 종이책으로 읽은 책을 오디오북으로 구입해 듣기도 하는데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이 그런 예다. 탤런트 조여정이 차분한 목소리로 읽어 줘서 귀에 쏙쏙 들어온다.
5. 독서의 가치
독서를 하면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는다. 실생활에 도움을 주지 못하더라도 그 정보와 지식은 값지다. 그것들이 인식의 지평을 넓혀 주고 균형 잡힌 사고력을 키워 주기 때문이다. 또 독서는 간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어 상상력을 풍부하게 만든다. 상상력이 부족한 사람은 타인을 배려하기가 어렵다. 남을 위해서도 상상력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6. 글쓰기와 독서는 49 대 51
작가들은 대체로 독서보다 글쓰기를 조금 더 좋아하는 것 같다. 나는 둘 다 좋지만 굳이 구분한다면 전체를 100으로 잡았을 때 독서를 51프로, 글쓰기를 49프로 좋아한다. 독서를 조금 더 좋아하는 것이다. 왜 그런가 따져 보니 글쓰기는 글이 잘 풀리지 않을 때 고심하게 되는 반면, 독서는 그런 게 없기 때문인 듯싶다. 여러 책을 병행해서 읽고 있어서 그날그날 마음이 가는 대로 책을 골라 읽는 즐거움을 누린다.
7. 필사의 이점
필사는 어떤 이점이 있을까?
필사를 하면 이로운 점이 무엇인지를 잘 정리한 글로 다음의 글을 뽑겠다.
「 마음에 드는 문장을 옮겨 쓰는 일은 곧 문장을 갈고닦는 수련으로 이어집니다. 옮겨 쓰기의 이점을 정리하겠습니다.
하나. 옮겨 쓰면서 글쓴이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둘. 내 문장에서 부족한 점(예 : 진부한 표현 사용 등)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셋. 자신이 어떤 문장을 ‘좋은 문장’이라고 생각하는지 분석할 수 있고 나중에 내 마음의 역사를 되짚어볼 수 있습니다.」
- 다쓰노 가즈오, <어느 노老 언론인의 작문노트>에서.
8. 중복 없애기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를 보며 공부하고 있다. 특히 중복되는 단어를 없애는 방법을 눈여겨 봤다.
다음의 글은 ‘있다’라는 낱말이 많이 중복되어 있음을 지적하기 위한 예문이다.
「 청년은 벽에 붙은 지명 수배자 포스터를 들여다보고 있는 참이다. 포스터엔 스무 명 남짓, 지극히 평범하게 생긴 한국 사람들의 얼굴이 적혀 있고 그 밑에 성명, 나이, 범행 내용, 인상 착의 따위가 기록되어 있다. 그중 몇은 '검거'라고 쓰인 붉은 도장이 쿵쿵 박혀져 있다. 수배자들의 사진 가운데엔 대학생인 아는 얼굴도 하나 끼여 있다. 그는 청년의 선배이다. 시위를 주동한 혐의로 선배는 몇 달 전부터 수배되어 있는 중이다. 청년은 지금 그 선배의 사진과 무슨 얘기라도 나누는 양 골똘히 마주 대하고 있다. 바로 그때 역장이 청년을 불렀으므로 청년은 적이 놀란 모양이다.」
- 안정효,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 27~28쪽.
한 문단에 ‘있다’라는 낱말을 일곱 번 사용했다. 몇 개는 없애야 좋은 글이 될 듯하다.
「 글쓰기에서는 모든 중복이 낭비다. 단어와 말을 낭비하면 작품 전체가 해퍼지고, 늘어지고, 탄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낱낱이 단어를 하나씩 짚어가며 때빼기를 해주면 누더기 문장이 생기를 되찾는다. 」
- 안정효,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 362쪽.
글을 쓰고 나서 나도 중복된 것을 빼내는 작업을 꼭 한다. 내가 잘 쓰는 것은 ‘생각’, ‘자신’, ‘때문’, ‘것이다’, ‘경우’, ‘의’, ‘적’ 등등 이다.
‘적’을 빼내는 작업은 이렇게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는 ‘결론을 말해’로, ‘인상적이었다’는 ‘인상 깊었다’로 고친다.
9. 촉촉함이 느껴지는 글
서평도 아니고 독후감도 아니고 그저 소설을 소개하는 글인 것 같은데 내 마음을 사로잡는다. 하나의 소설을 소개하면서 어떤 내용인지 차근차근 이야기를 풀어내며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곁들이는 저자의 솜씨에 감탄하며 읽게 된다. 흡인력 있는 문체는 저자의 강점이라 할 만하다.
예를 들면 레이먼드 카버의 소설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을 소개하면서 쓴 다음과 같은 글.
「 세상에는 슬픔이 한가득입니다. 그 속에서 어쩌면 우리는 누가 더 슬픈지 경쟁이라도 하듯 슬픔의 절정을 향해 내달립니다. 상대도 슬프리라는 생각은 하지 못합니다. 내 슬픔의 레인에서 달리기에만 골몰합니다. 그러나 문득 옆을 돌아보고서 또 다른 슬픔의 주자를 발견할 때, 비로소 슬픔의 달리기는 끝이 납니다. “당신도 그랬구나!” 하는 진한 파동이 느껴질 때 슬픔의 세상에는 빛이 비칩니다. 희미한 불빛이 비치는 빵집처럼 말이지요.」
- 이미령,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41쪽.
이렇게 부드럽고 매끈한 글을 쓸 수 있는 기술을 배우고 싶어 열독하려 한다. 이 글에서 촉촉함이 느껴진다면, 내 글에선 건조함이 느껴진다. 문장을 쓸 때마다 물을 뿌려야 되려나.
10. 훈련할 무엇이 있음에 관하여
요즘 친정어머니가 좋아하여 친정에 가면 함께 시청하는 게 있다. ‘미스터 트롯’의 출신 가수들이 출연하는 티브이 프로그램들이다. 이들이 나오면 어느 프로그램이든 시청률이 높아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미스터 트롯’의 인기가 대단하다.
탁월한 노래 실력을 보여 주는 그들에게서 가수로서의 프로 정신이 느껴진다. 무대에 서기 위해 노래 한 곡을 부르고 또 부르고 또 불렀을 그들의 노력이 고스란히 전달되어 오는 듯하다.
그 가수들이 부러운 건 실력 향상을 위해 스스로 훈련하며 성장할 수 있는 ‘노래’가 있다는 점이다. 그러고 보니 나에게도 스스로 훈련하며 성장할 수 있는 게 있네. 바로 ‘글쓰기’다. 재작년보다 작년이 낫고, 작년보다 올해가 나을 거라는 희망을 갖고 산다. 또는 착각을 하며 산다.
아무려면 어떤가. 훈련할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게 중요한 거지, 라고 생각한다.
‘미스터 트롯’의 가수들이 노래와 더불어 인생을 살며 즐거워하듯이, 나는 글쓰기와 더불어 인생을 살며 즐거워하기로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