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당 (무선) - 개정판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9
레이먼드 카버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 소설집 <대성당>의 표제작에 대한 리뷰이다. 

 


1. 줄거리 
아내의 친구인 맹인(남자)이 ‘나’의 집에 방문한다. ‘나’는 달갑지 않다. 맹인에 대해서 관심이 없다. 셋이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아내가 잠들어 버린다. 맹인과 ‘나’는 둘이서 얘기를 나누다가 TV를 통해 여러 대성당에 대해 말하는 방송을 듣게 된다. 맹인은 TV 화면의 대성당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나’에게 대성당이 어떻게 생겼는지 설명해 달라고 부탁한다. ‘나’는 대성당에 대해 설명하기 시작하는데 잘 설명할 수가 없다. 맹인이 ‘나’에게 대성당을 종이에 펜으로 같이 그려 보자고 한다. ‘나’는 눈을 감고 맹인이 되어 대성당을 그리면서 새로운 세계로 진입하는 경험을 한다.

 

 

 

 

 


2. ‘인간 이해’를 할 수 있는 문장에 대한 나의 코멘트
어떤 소설을 읽든 인간의 특성을 보여 주는 문장에 난 관심이 많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눈이 멀었다는 게 뭘까 생각해보면 영화에서 본 것들만 떠오른다. 영화에서 맹인들은 천천히 움직이고 웃는 법이 없었다.(287쪽) :
인간은 자기가 아는 정보나 지식만 가지고 상대를 이해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신이 아는 만큼만 타인을 이해하고 그 이해는 잘못된 이해일 수 있다.

 

 

“어쩐지 전에 이미 본 사람 같구먼.” 그가 쩌렁쩌렁하게 말했다.(294쪽) :
맹인이어서 보지 못하는데도 ‘나’를 이미 본 사람 같다고 초면 인사를 할 만큼 맹인은 유머를 구사할 줄 아는 사람이다. 이것은 맹인이 맹인인 점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임을 말해 주고 있다. 인간은 같은 처지에 있더라도 각기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기차 여행은 어떻게, 좋았습니까?” 내가 말했다. ”그런데 어느 쪽에 앉으셨나요?“(294~295쪽) :
‘나’는 손님이 맹인이라는 사실을 금방 잊어버리고 기차 안의 오른쪽에 앉았느냐 왼쪽에 앉았느냐에 따라 창밖의 경치가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 인간은 타인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나는 항상 맹인들에게는 검은 안경이 필수품이라고 생각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 사람도 그런 안경을 썼으면 싶었다.(295쪽) :
인간은 추한 것을 보기 싫어하고 아름다운 것만 보고 싶어 할 만큼 자기중심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이 소설을 읽고 느낀 점
1) 누구에게나 배울 점은 있다 :
‘나’가 맹인에게 도움을 주는 게 자연스러운 일인데, 오히려 ‘나’가 맹인이 시키는 대로 눈을 감고 대성당을 그리면서 맹인 덕분에 새로운 세계를 경험한다. 

 

 

2) 인간은 상대를 피상적으로 볼 뿐 상대의 입장이 되어 보지 못한다 :
상대의 입장이 되어 보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이 소설의 ‘나’처럼 눈을 감고 맹인이 되어 그림을 그려 보는 노력 같은 게 없이는 상대의 입장이 되어 보지 못한다. ‘나’는 맹인이 되어 대성당을 그림으로써 맹인이 되면 이렇구나, 하고 조금 이해하게 되며 맹인의 처지가 되어 보는 것의 경이로움을 느낀다. 하지만 맹인에 대해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 맹인의 삶과 똑같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3) 우리가 살면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타인을 이해하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나’는 맹인과 다른 삶을 살기 때문에 맹인을 이해할 수 없다. 일례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사람마다 다른 시각으로 보는 것은 제각각 다른 삶을 살아서다. 눈사람을 재밌게 만들었던 누구에게는 눈이 즐거운 추억을 떠오르게 한다. 하지만 눈사태로 가족을 잃었던 누구에게는 눈이 끔찍한 사건을 떠오르게 한다. 같은 ‘눈’이지만 이렇게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니 타인에게는 자신이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4. 나의 독서에 도움을 준 대목

의 머릿속에 턱수염이 난 맹인을 잘 그려 볼 수가 있다는 점에서 다시 말해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해 준다는 점에서 다음 문장을 뽑는다. 


 
그는 턱수염을 한 번 위로 쓰다듬었다가 놓았다.(303쪽)

 

 

그는 끄덕이다 말고 소파의 한쪽 끝에 몸을 기댔다. 내 말을 들으며 그는 턱수염을 쓰다듬었다.(307쪽) 

 

 

 

 

 


5. 저자의 탁월한 역량은?

‘나’가 눈을 감고 대성당을 그려 나가며 눈이 뜨기 싫을 정도로 경이로움을 느끼게 된 이야기를 생각해 낸 것. 아이디어가 신선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감 2019-11-24 19: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목만으론 감이 안오는 책이었는데 이런 내용이었군요. 매칭은 잘 안되네요. 정상인이 맹인에게 배우고 깨닫는 점이 신선합니다. 페크님 리뷰로 이 책도 목록에 추가하겠어요^^

페크pek0501 2019-11-24 22:28   좋아요 1 | URL
후후~~ 반갑습니다.
소설 속 인물처럼 맹인이라는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유머 감각과 여유를 가지고 사는 사람을 존경합니다. 어떤 불행 속에 있어도 그 따위 불행에 굴복하지 않겠어 하는 비장함이 보이는 게 아니라 아예 그런 불행 따위는 염두에 두지 않고 사는 것 같은 사람이 저는 좋습니다.
굿 밤 되세요...

희선 2019-11-25 02: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눈이 보이는 사람은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이 어떤지 모르죠 귀가 들리지 않는 사람도 마찬가지겠습니다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다르게 느낀다는 것만 아는군요 장애인과 비장애인만 서로를 모르는 건 아니군요 비장애인끼리도 다르고 장애인끼리도 다르고 다 다르겠습니다 장애인이어서 꼭 도움을 줘야 한다 생각하는 것도 안 좋을 듯해요 도움을 바란다면 돕고 그렇지 않다면 내버려두는 게 좋겠지요 장애인은 스스로 잘하기도 하잖아요 그런 거 보면 대단하다 싶어요 이런 생각도 안 해야겠네요 장애인한테는 그게 평범한 것일 테니...


희선

페크pek0501 2019-11-26 22:28   좋아요 1 | URL
좋은 말씀이십니다. 새겨 들어야 할 말입니다.
나 아닌 남을 이해한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닐 터.
저는 요즘 우리 애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밖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도 모르겠는 걸요. 어떤 때는 저 자신도 모르겠더라고요. 무슨 일이 생겨서 제가 하는 생각, 제가 하는 행동을 보고 내가 이런 사람이구나, 하고 알 때가 있어요.ㅋ

오늘 날씨가 포근해서 운동 삼아 많이 걸었네요. 겨울은 그래도 더러 따뜻한 겨울이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여름은 줄창 더웠는데...
좋은 날 이어 가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stella.K 2019-11-25 15: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웬만해서 리뷰를 잘 안 남기는 언니가 이렇게 남기신 걸 보면
무척 흥미롭게 읽으셨나 봐요.
저도 읽어봐야 할 텐데 이렇게 못 읽고 있습니다.ㅠ

어딘지 나뭇잎가 아직 빨가네요.
제 방 창문에서 보이는 나무가 2주 전만해도 저렇게 빨겠는데
지금은 누렇게 변하고 잎도 많이 떨어졌어요. 올핸 유난이 붉었는데
좀 아쉽더군요.

페크pek0501 2019-11-26 22:33   좋아요 1 | URL
맞아요. 제가 리뷰 쓰는 걸 좀 부담스러워하죠. 그래서 스텔라 님처럼 척척 리뷰를 올리시는 분을 보면 존경스럽죠. 저는 어떤 깨달음이나 강렬한 느낌 같은 게 있는 책에 대해서만 리뷰를 쓸 수 있겠더라고요. 다시 말해 나로 하여금 할 말이 많게 만드는 책에 대해서만 쓸 수 있어요. 이런 것도 능력 차이겠지요.

그렇죠. 이 계절에서 저 계절로 넘어가는 고개에서는 항상 어떤 아쉬움이 있는 것 같아요. 여름에서 가을로 갈 때도, 지금처럼 가을에서 겨울로 갈 때도...

전 여름만 빼고 세 계절을 다 사랑합니다...

좋은 날 이어 가십시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