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대로인 것은 없다 :
어제도 그저께도 귀뚜라미 소리를 들었다. 아무리 날씨가 더워도 귀뚜라미 소리가 곧 가을이 온다는 징조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시간은 쉼 없이 흐르고 있고 모든 건 시간과 함께 변하기 마련이므로.
시간과 함께 모든 게 변하므로 두 개의 똑같은 풍경이란 있을 수 없다. 어제의 풍경과 오늘의 풍경은 다르고, 조금 전의 풍경과 지금의 풍경은 다르다. 햇볕을 받고 있는 나뭇잎과 바람에 살랑거리는 나뭇잎은 다르다. 또 햇볕의 세기와 바람의 세기에 따라 나뭇잎은 다르다. 먼지가 89개 앉아 있는 나뭇잎과 90개 앉아 있는 나뭇잎은 다르다. 시간에 따라 나뭇잎에 먼지가 더 앉기도 하고 날아가기도 할 것이니 같은 나뭇잎이란 있을 수 없다.
“우리는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라고 철학자인 헤라클레이토스가 말했다. 강물처럼 흐르는 이 시간은 지나고 나면 다시 오지 않는 시간이다. 그래서 현재는 소중하다.
2. 시대의 변화 :
예전에 내가 글 잘 쓰는 분에게 블로그를 만들어 글을 올려 보라고 했더니 그분이, 정말 글 잘 쓰는 사람은 블로그에 글을 쓰지 않는다고 말해서 할 말을 잃었던 경험이 있다. 그때는 그게 맞을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세상은 변했다.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묶어 책으로 내서 얼마든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3. 모방의 유익함 :
예전에 좋은 문체를 가진 작가의 글을 노트에 필사해 본 적이 있다. 그 문체를 닮고 싶어서였다. 그래서 지금의 내 문체가 그 작가의 문체를 닮았을까. 전혀 닮지 않았다. 그 작가는 나와 다르게 문학적인 문장을 잘 구사하는 작가였다. 그 문체는 내 문체처럼 뻣뻣하지 않고 부드러웠다. 그렇다고 필사의 노력이 헛수고였을까. 그렇지 않다. 나의 문제점을 알게 해 준 것만으로도 유익했으므로.
뛰어난 화가든 작가든 전 시대의 예술가로부터 배워서 자기 나름대로 개성이 뚜렷한 예술가가 되는 경우가 많다.
........................................................
배우기 위해 내가 요즘 읽고 있는 책이다.
황현산,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에서 뽑아 밑줄긋기 칸에 넣었다.
‘인성 교육’ 중에서 : 인성 교육이란 폭넓게 말하면 인문학 교육이고, 인문학이란 결국 사람을 사람으로 대접하려는 생각을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기르는 공부다. 사람은 산업 역군이기 전에 사람이고 국가의 간성이기 전에 사람이다. 어떤 정책이나 정치적 이념에 맞게 사람을 교양하려는 시도는 벌써 사람을 배반한다. 사람이 국가나 제도를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나 제도가 사람을 위해 있다는 것은 지극히 명백한 진실이고, 그래서 잊어버리기 쉬운 진실이다. 학생들의 인성 교육을 위해 국정교과서로 국사를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이 혹시라도 부총리의 마음속에 있다면, 그는 자신의 인성부터 깊이 성찰해야 할 것이다.(112~113쪽)
‘다른 길’ 중에서 : 예술가는 남이 가지 않는 다른 길을 간다는 말이 있다. 그 다른 길은 그렇게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그렇게 추상적인 것도 아니다. 당신이 저 상투적인 ‘살랑살랑’ 대신 다른 말을 써 넣는다면 당신은 벌써 다른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당신은 벌써 예술가다.(119쪽)
‘표절에 관하여’ 중에서 : 문학은 아무리 세속화하였다 하더라도 전통적으로 주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기능을 제일의 기능으로 삼는다. 표절 시비를 국가 제도의 판단에 넘긴다는 것은 주류 권력과 이데올로기의 손에 넘기는 것과 같다. 한 나라의 문학에, 또는 한 나라의 미래 전망에 이보다 더 큰 재난은 없다.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는 작가 자신의 손에 쥐여져 있다고 나는 벌써 말했다. 이 말은 그가 왜 최초에 작가가 되려고 했는지, 자신에게 글쓰기의 진정한 동력이 되었던 것이 무엇인지를 다시 물어야 한다는 말과 같다.(133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