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란 무엇인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국가'라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 본 것은 2005,6년 즈음이었던 것 같다. 특별한 계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그 즈음에 아버지와 함께 평택 2함대에 들를 적이 있었다. 2함대 내에는 연평대 해전 전사자 기념비가 있는데, 그해 기념식 때는, 아마도 노무현 대통령 시절이었을 것이다, 대통령도, 국무총리도, 심지어 국방부 장관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한다. 전사자 유족중의 누군가는 한국이 아닌 어딘가로 이민을 갔다고도 했다. 아버지와 아버지 친구 분들은 '국가'의 변심에 분노했다.
그 때 내가 깨달은 것은 '국가'라는 존재가 보이지 않는, 무형의, 서류상의 단어가 아니라 문맥을 생각하고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인격적인 존재라는 사실이었다. 자신을 위해서 죽은 이들을 위해 애도를 표하기 위해서도 정치적인 입장을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관계망 속에 있는 존재, 그것이 그 당시에 내가 느꼈던 국가라는 존재였다.
언젠가 '국가'라는 존재에 대해서 누군가 설명해주길 기다려 왔는데, 제대로 된 선생님을 만나게 것 같다. 이 책은 국가라는 존재에 대한 철학적 해석과 그 역사를 다루고, 그 설명들 사이에 한국이라는 국가와 그 국가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이전의 그의 책에서도 느꼈지만 명쾌하고 시원시원한 설명과 논리전개는 여전하다.
고등학생 시절 내게 국가는 곧 학교였고, 학교는 감시자이면서 절대자였다. 대학생 때는 있는지 없는 지 알 수없는 존재였고, 나와 전혀 별개의 조직체였다. 사회에 나와서 직장을 다니면서 부터는 국가는 의지해야 하는 존재임과 동시에 아쉬움의 존재이기도 하다. 내 국가관의 변화도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그리 다르지 않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