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아의 나라 - 몽족 아이, 미국인 의사들 그리고 두 문화의 충돌
앤 패디먼 지음, 이한중 옮김 / 윌북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서재결혼시키기>를 쓴 앤 패디먼의 다른 책이 뭐가 있을까를 검색하다가 발견해서 산 책이다. 빨리 읽어야 겠다는 생각에 집에 오는 길에 영풍 문고에 들러서 사버렸다. 서점에서 이 책의 원제를 보는 순간 이 책이 <서재결혼시키기>의 저자 프로필에 나온 <유령이 붙들면 넘어진다>라는 알쏭달쏭한 제목의 한국어 판임을 알게 되었다. 간질에 해당하는 몽족의 단어인 '코다페이'를 영어식으로 풀어쓰고, 그걸 한국말로 다시 번역한 것이다. 요즘의 한국말로 바꾸면 간질, 아니 뇌전증이다. 사실 프로필에서 이 책의 제목을 봤을때, 귀신 이야기일 것을 기대했다. 그래서 출판되면 꼭 읽어야지라는 생각을 했는데, 그런 순간이 이렇게 금방 올줄이야.
하지만 그 순간부터 바로 읽기 시작했는데, 영 책장이 넘어가질 않는다
아니, 이럴 수가 수다스럽고 지적인 저자의 의사-환자 관계, 의사소통, 동양과 서양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다룬, 내가 모두 좋아하는 주제를 다룬 책인데 왜 안넘어갈까? 혹시 도입부이기 때문일까? 시간이 좀 더 지나면 나아지겠지. 하지만 십중팔구 도입부에서 독자의 호기심을 끌지 못하는 책은 이야기가 좀 더 진행되더라도 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많다.
몽족의 아이인 리아, 헌신적인 그들의 부모와 논리적인 미국인 의사들, 그리고 탈문명적인 몽족과 첨단 문명적인 미국사회가 대비되면서 이야기는 진행된다. 문명의 차이는 언어의 차이로 시작되고, 언어의 차이는 소통의 단절로 이어진다. 문제는 이 소통의 문제가 한 아이의 생명을 다루는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데에 있다. 이 책이 흥미를 끄는 바로 이것이다. 문명의 충돌이라는 거대담론을 의사-환자 관계라는 문제로 압축시키고, 여기서 좀 더 나아가 리아라는 몽족 아이의 간질, 코다페이, 유령이 당신을 붙들면 넘어지는 병, 을 치료하는 문제로 환원된다.
근데, 왜 지루할까? 책이 지루한 이유야 여러가지지만, 사실 개인적인 취향의 문제일 가능성도 아주 많다, 이 책이 지루한 가장 큰 이유는 뻔한 전개에 있다. 독자의 예상을 전혀 뛰어넘지 못한다는 것. 물론 이것이 논픽션이니 사실 그런대야 어쩔 수 없지 않냐고 항변할 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내가 생각한 최선의 전개방식은, 초반에는 철저하게 미국인 의사의 입장에서 써내려가면서, 중반에는 몽족의 입장에서 미국인 의사들의 해결책을 뒤집고, 마지막에 둘의 의견차이가 맞고 틀림의 문제가 아니라 소통의 문제였다는 저자의 의견을 덧붙이는 형식을 취하는 것이다.
좋거나 말거나 !